강체가 공간 좌표 내 [math(z)]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한다고 하자.[5] 이때 각속도 [math(\bm\omega = \omega{\bf\hat z})]는 [math(z)]축 방향이다. 강체 내 [math(j)]번째 입자의 질량을 [math(m_j)], 위치 벡터를 [math({\bf r}_j = x_j{\bf\hat x} +y_j{\bf\hat y} +z_j{\bf\hat z})], 속도 벡터를 [math({\bf v}_j)]라 하면, [math(j)]번째 입자의 각운동량은 다음과 같다.
로 쓴다. 즉, 한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강체의, 회전축에 대한 각운동량의 크기는 관성 모멘트와 각속도 크기의 곱으로 주어진다.
지금까지 [math(z)]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하는 상황에 대해 논의했으므로, 위 식에서 각속도와 각운동량은 모두 회전축과 평행하기 때문에 아래와 같이 벡터 표기법으로 쓸 수 있다.
[math({\bf L}_z = I\bm\omega)]
다만, 분석한 상황은 물리적으로 매우 초등적임에 유의해야 한다. 이 문단의 결과로는 모든 각운동량이 각속도와 평행한 것처럼 보이나 팽이와 같은 세차 운동을 하는 물체는 각운동량과 각속도가 평행하지 않다. 이러한 운동의 분석엔 더 높은 수준의 역학적 분석이 필요하다. 관성 텐서 문서를 참고하라.
강체가 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한다면 그 축과 평행한 성분의 각운동량만 가진다.(즉, 위 상황에서 [math(L_x = L_y = 0{\rm\,kg{\cdot}m^2/(s{\cdot}rad)})]이다.) 이는 해당 상황에서 각속도는 회전축과 평행한 성분만 가지기 때문이다.
또한 결과에서 나온 각운동량이 원점에 대한 각운동량이 아닌 회전축에 대한 각운동량(회전축과 평행한 성분)임에 유의하여야 한다.
즉, 물체에 가해지는 회전축에 대한 토크가 없으면 회전축에 대한 각운동량은 보존된다. 이것을 수식으로 나타내면 아래와 같다.
[math(I \bm\omega = {\sf const.})]
흔히 이 내용을 김연아에 빗대 설명하곤 한다. 김연아가 팔을 뻗고 회전을 하다가 팔을 오므리면 회전 속도가 빨라지는데, 이는 김연아가 팔을 오므리면서 관성 모멘트가 줄어드는 대신 관성 모멘트와 각속도의 곱은 일정하므로 각속도(회전속도)가 빨라지기 때문에 생기는 현상이다.
한편, 계의 관성 모멘트가 시간에 의존하지 않는다면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math(\boldsymbol{\alpha})]는 각가속도이다.
[1] 현행 국제단위계에서는 각도를 무차원량, 즉 [math(rm rad = 1)]로 규정하고 있기 때문에 일단 위와 같이 써도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진 공식과 결과적으론 같지만, 사실 각도는 무차원량이 아니기 때문에 [math(\rm rad)] 표기를 살려서 써야 한다. 돌림힘 문서의 유도 과정 항목도 참고.[2] 일부 일반물리학 서적은 이를 구분하지 않고 개념을 전개하여 학습자들에게 혼동을 일으킨다.[3] 이 역시 정확히는 [math(\hbar/{\rm rad})]의 배수로 나타나는 것이다. 이에 대해서, 양자역학 분야에서 이미 잘 쓰이고 있는 [math(\hbar)] 사용의 보정을 피하기 위해 P. Quincey(2021)(arXiv 버전)처럼 [math(\hbar)]는 [math(\hbar = \cfrac h{2\pi{\rm\,rad}})]으로 재정의하고 기존의 [math(\cfrac h{2\pi})]는 [math(\check h)](h-check)라는 새 기호를 도입해서 나타내자고 하는 의견도 있다.[4] 토크는 회전 운동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물리량으로서 [math(\displaystyle W = \int \bm{{\bf N}\cdot{\rm d}\theta})]로 정의되며 회전당 에너지 차원을 갖는다. 따라서 [math(\rm rad)]이 나눠진 표기로 써야 맞다. 자세한 유도 과정은 돌림힘 문서 참고.[5] 아래의 내용은 임의의 축일 때도 성립한다.[6] [math(\bm\omega)]는 [math({\rm rad/s})] 단위를 가지므로 [math(\rm m/s)]단위를 갖는 선속도와 단위 관계를 맞추기 위해서는 우변을 [math(\rm rad)]으로 나눠야 한다. 자세한 것은 각속도 문서 참고.[7] 관성 모멘트에 대한 자세한 논의는 해당 문서에서 다루고 있다.[8] [math({\bf p}_j)], [math({\bf d}_j)]는 모두 [math(x)], [math(y)]성분만 가져서 [math({\bf d}_j\bm\times{\bf p}_j/{\rm rad})]은 [math(z)]축 방향이며, 둘은 수직임에 따라 [math({\bf d}_j \bm\times{\bf p}_j/{\rm rad})]의 크기는 [math(m_jd_jv_j/{\rm rad} = m_j{d_j}^2\omega/{\rm rad^2})]이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