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3-02 21:40:32

놈 자
부수
나머지 획수
<colbgcolor=#fff,#1f2023>
, 5획
총 획수
<colbgcolor=#fff,#1f2023>
9획
중학교
[A]
일본어 음독
シャ
일본어 훈독
もの
[A]
표준 중국어
zhě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2. 상세3. 용례4. 모양이 비슷한 한자

1. 개요

者는 '놈 자'라는 한자로, '사람'을 뜻한다. 그래서 '사람 자'로도 부른다.

2. 상세

유니코드에는 U+8005, U+FA5B, U+FAB2, U+2F97A에 배당되었다.

뜻이 인 까닭은 본디 예전에는 '놈'이 낮잡는 뜻이 아니라 사람을 가리키는 평칭이었다는 점에서 비롯되었다.

여러 주장이 있으나 나무를 쌓아놓고 불을 지피는 모양을 본뜬 상형자로, (삶을 자)의 원 글자라고 한다. 혹은 단맛이 나는 사탕수수를 표현한 것으로, (사탕수수 자)의 원 글자라고도 한다.

본래는 '익히다'의 뜻을 나타냈으며, '놈'이나 '사람'의 뜻은 나중에 가차된 것이다. 접미사, 의존명사로 쓰인다.
한문에서는 ~하는 것, ~이라는 것 과 같은 뜻을 가지기도 한다.또는 명사의 뒤에 놓여서 주제를 강조하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중화권, 일본에서는 주로 日 위에 있는 점을 안 쓴다. 정체자를 쓰는 대만, 홍콩도 예외는 아니다. 참고로 유니코드에서 者의 점의 유무는 통합되지만 (U+7DD2, 점 없음)와 (U+7DD6, 점 있음)와 같이 몇몇 존재한다.

'남자'와 '여자'의 '자' 자는 의외로 이 한자가 아니라 를 쓴다. 子는 아이를 뜻하기도 하며 남자와 여자는 사내아이와 계집아이의 한자어로 볼 수 있다.

3. 용례

3.1. 단어

3.2. 고사성어/숙어

3.3. 인명

3.4. 지명

3.5. 창작물

3.6. 기타

4. 모양이 비슷한 한자



[A] (날 일) 자 오른쪽 위에 있는 점이 없다.[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