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16 20:18:48

이중조음 자음

자음의 분류
{{{#!wiki style="margin: -2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bee,#033><colcolor=#000,#fff> 조음 방법 비음 · 파열음 · 파찰음 · 마찰음 · 접근음 · 탄음 · 전동음 · 내파음 · 흡착음 · 방출음 · 충격음
조음 위치 양순음 · 순치음 · 설순음 · 치음 · 치경음 · 후치경음 · 권설음 · 치경구개음 · 경구개음 · 연구개음 · 구개수음 · 인두음 · 후두개음 · 성문음 · 이중조음
조음 방향 중설음 · 치측음 · 설측음
성대 진동 여부 유성음 · 무성음
기식 흐름 여부 유기음 · 평음 · 무기음 · 비음
}}}}}}}}} ||
파일:이중조음_기호0.png
1. 개요2. 이중조음과 이차 조음
2.1. 순음화2.2. 구개음화
2.2.1. 경구개화2.2.2. 순음 경구개화
2.3. 연구개화2.4. 구개수화2.5. 인두음화2.6. 성문음화2.7. 선비음화
3. 조음 방법
3.1. 양순 연구개음
3.1.1. 양순 연구개 비음3.1.2. 양순 연구개 파열음3.1.3. 선비음화 순음화 양순 연구개 파열음3.1.4. 양순 연구개 내파음
3.2. 순음화 연구개음
3.2.1. 순음화 연구개 비음3.2.2. 순음화 연구개 파열음
3.2.2.1. 순음화 유기 연구개 파열음
3.2.3. 순음화 연구개 파찰음3.2.4. 순음화 연구개 마찰음3.2.5. 순음화 연구개 접근음
3.2.5.1. 무성 순음화 연구개 접근음 (마찰음)3.2.5.2. 유성 순음화 연구개 접근음
3.2.6. 순음화 연구개 탄음
3.3. 양순 치경음
3.3.1. 양순 치경 비음3.3.2. 양순 치경 파열음
3.4. 이외
3.4.1. 양순 경구개 접근음3.4.2. 연구개화 설측 치경 접근음3.4.3. 후치경연구개 마찰음3.4.4. 연구개인두 마찰음3.4.5. 연구개인두 전동음3.4.6. 구개수 후두개 파열음3.4.7. 치 양순 전동 파열음3.4.8. 경구개 구개수 방출 파찰 흡착음

1. 개요

음성학에 따른 조음 방법 분류.

두 조음 기관의 발음을 함께 발음하는 소리이다. 대표적으로 양순 연구개음이 있다. 치경구개음은 이중조음으로 혼동할 수 있으나, 별개의 발음이다.

표기는 보통 두 기호를 이어서 표기하나, 별개의 기호가 있는 경우도 있다.

2. 이중조음과 이차 조음

문서명인 이중조음 자음은 Co-articulated consonant를 말하는데 이는 이중조음 자음(Doubly articulated consonant)와 이차 조음(Secondary articulation)으로 나뉜다. 전자는 두 조음기관이 같은 조음 방법을 쓰는 것이고, 후자는 한 자음에 특정 조음이 따르는 것이다. 때문에 둘이 혼용돼 있다.

2.1. 순음화

Labialization

기호는 ʷ. [w]처럼 입술이 둥그레지는 이차 조음이다. 아래의 연구개화가 함께 나타날 때가 많다. 한국어 '과'에서 'ㅗ'가 이 소리다.

2.2. 구개음화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구개음화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2.1. 경구개화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경구개음 문서
번 문단을
경구개 접근음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기호는 ʲ. [j]처럼 앞쪽 혓바닥을 경구개에 가까이하는 이차 조음이다. 한국어, 일본어, 러시아어아일랜드어 등에서 볼 수 있다.

2.2.2. 순음 경구개화

Labio-palatalization

기호는 ᶣ. 순음화와 경구개화가 함께 나타날 때 쓴다.

2.3. 연구개화

Velarization

기호는 ˠ나 ᵚ를 쓰는데 ᵚ는 유성 연구개 마찰음이 붙는 경우와 구별하려고 ˠ 대신에 쓰기도 한다. 뒤쪽 혓바닥을 연구개에 가까이하는 이차 조음이다. 국제음성기호에서 연구개음화 기호가 붙지는 않긴 했지만 한국어 기준 드라마 너는 내 운명에서 강호세(박재정)가 '분가(分家, /punɡa̠/)'를 '붕가(/puŋɡa̠/)'로 발음하여 화제가 되었다. 자음동화 현상에 의한 것이지만 부주의하게 발음하였을 때 나타나는 발음 현상, 즉 수의적인 변화이기 때문에 [*붕가]는 표준 발음으로 인정되지 않고 [분가]라고 발음해야 한다. 아일랜드어스코틀랜드 게일어에서는 흔히 보인다.

2.4. 구개수화

Uvularization

기호는 ʶ. 아랍어를 포함한 셈어파 언어에 존재하는 인두음화 치경음들은 대부분 사실 이 구개수음화된 발음이다. 원칙적으로 인두음은 혀뿌리를 목구멍 쪽으로 후퇴시키는 게 원칙이지만 이 소리를 낼 때 부차적으로 같이 일어나는 현상 중 하나가 구개수의 상인두(비인두) 통로의 폐쇄, 쉽게 말하면 목젖이 코로 가는 통로를 막는 것이기 때문에 이를 이용하는 것이다. 인두 문서를 보면 알 수 있지만 인두의 범위가 굉장히 넓기 때문에 구개수화와 인두화를 굳이 분리하지는 않는 듯 하다.

2.5. 인두음화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인두음화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기호는 ˤ. 자음이나 모음을 조음할 때 인두나 후두개를 조이는 이차 조음이다.

2.6. 성문음화

Glottalization

기호는 ˀ. 자음이나 모음을 조음할 때 성문을 쓰는 이차 조음이다.

덴마크어에서는 stød(스퇴드)라는 독특한 발성법이 존재한다. 해당 음절을 성문 파열음이 섞인 듯 중간에 음을 끊으면서 내거나 음절을 트림하면서 내는 소리다. 쉽게 말하면 단어 끝에 '끄윽' 비슷한 소리(creaky voice)를 곁들이는 것. 과거 특유의 고저 악센트가 있었다가 소멸하고 나서 흔적으로 남은 것이다. 대표적으로 덴마크어의 어려운 발음을 대표하는 단어로는 덴마크 디저트인 Rødgrød med fløde라는 것이 있는데, 일단 외래어 표기법으로는 "뢰드그뢰드 메드 플뢰데" 정도가 되지만 실제로 이렇게 발음하지 않고 '홇곯멜픓루흐읋'(…) 처럼 발음한다. IPA로는 [ˈʁœðɡʁœðˀ mɛ ˈfløːð̩](뢰드그뢰드 메 플뢰드). 이 스퇴드 현상 뿐만이 아니라 덴마크어 자모음에서 발음하기 제일 어려운 글자들인 'r', 'ø', 'd'가 한 음절로 발음하기 때문에 '홇'이나 '횛'과 같은 표기하기도 어려운 조악한 발음이 나오고 전체적으로 목 뒤에서 세게 내뱉는듯한 느낌을 받는다.

2.7. 선비음화[1]

3. 조음 방법

3.1. 양순 연구개음

여기서 쓰는 양순 연구개음은 Labial–velar consonant[2]로 두 조음위치가 같은 조음 방법을 쓴다.

3.1.1. 양순 연구개 비음

[ruby(양순 연구개 비음, ruby=Labial–velar nasal)]

ŋ͡m

<colcolor=#fff> 조음 위치 <colbgcolor=#ddd,#212121> 이중조음
조음 방향 중설음
조음 방법 비음
[ 발음 방법 보기 · 접기 ]
혓바닥을 연구개에 딱 붙이고 두 입술을 딱 붙인 뒤 코로 기식을 흘려보낸다.
앵커 코드 ngm

두 입술을 붙이고 혓바닥을 연구개에 댄 상태로 코로 기식을 내보내는 소리다.

베트남어에 볼 수 있는 발음으로, [u]나 [w] 뒤에서 나오는 유성 연구개 비음([ŋ])의 변이음이며[3], 이외에는 거의 안 쓰인다고 봐도 좋을 정도다.

발음 방법: 혀쪽은 [ŋ]처럼, 입술 모양은 [m]처럼 만들면 된다. 즉 [ŋ]과 [m]을 함께 내는 거라고 볼 수 있다.

3.1.2. 양순 연구개 파열음

[ruby(양순 연구개 파열음, ruby=Labial–velar stop)]

k͡p

ɡ͡b

<colcolor=#fff> 조음 위치 <colbgcolor=#ddd,#212121> 이중조음
조음 방향 중설음
조음 방법 파열음
[ 발음 방법 보기 · 접기 ]
혓바닥을 연구개에 딱 붙이고 두 입술을 딱 붙인 뒤 빵 터트려 기식을 흘려보낸다.
앵커 코드 kp / gb
(k͡p)
(ɡ͡b)
두 입술을 붙이고 혓바닥을 연구개에 댄 상태로 빵 터트리는 느낌으로 기식을 내보내는 소리다.

양순 연구개 비음과 마찬가지로, 무성음 [k͡p]은 베트남어에서 [u]나 [w] 뒤에서 나오는 무성 연구개 파열음([k])의 변이음이다. 서아프리카나 중앙아프리카 언어에서도 많이 보이는 음가이다. 대표적인 예가 축구선수 드록바(Drogba)의 gb. 한국어에서 ㄱㅂ 꼴을 이렇게 발음하는 화자도 있다.

발음 방법: 마찬가지로 혀쪽은 [k]나 [ɡ]처럼, 입술 모양은 [p]나 [b]처럼 만들어서 함께 내면 된다. [ŋ], [k], [ɡ]은 모두 연구개음이며, [m], [p], [b]는 모두 양순음이다.

3.1.3. 선비음화 순음화 양순 연구개 파열음

[ruby(선비음화 순음화 양순 연구개 파열음, ruby=Pre-nasal labialized labial–velar stop)]

ᵑk͡pʷ

ᵑɡ͡bʷ

<colcolor=#fff> 조음 위치 <colbgcolor=#ddd,#212121> 이중조음
조음 방향 중설음
조음 방법 파열음
[ 발음 방법 보기 · 접기 ]
혓바닥을 연구개에 붙여서 비음을 발음하는것과 혓바닥을 연구개에 딱 붙이고 두 입술을 딱 붙인 뒤 빵 터트리는것을 동시에 조음하고 입술을 둥글게 한다.
앵커 코드 nggbw / ngkpw
서아프리카 대륙에서 종종 확인된다.

3.1.4. 양순 연구개 내파음

[ruby(양순 연구개 내파음, ruby=Labial–velar implosive)]

ɠ̥͡ɓ̥ / ƙ̶͡ƥ̶

ɠ͡ɓ

<colcolor=#fff> 조음 위치 <colbgcolor=#ddd,#212121> 이중조음
조음 방향 중설음
조음 방법 내파음
[ 발음 방법 보기 · 접기 ]
연구개 내파음과 양순 내파음을 같이 조음한다.
앵커 코드 NgM5
(ɠ̥͡ɓ̥)
(ɠ͡ɓ)
이 음가는 이그보어(igbo)에서 발견되었다고 한다. 이 외의 정보는 아직 전무한 상황이고, 전세계적으로 극히 드문 음이기에 보기가 어렵다. 이 음가 중 연구개 내파음을 못하는 사람은 양순 연구개 파열음을 발음하게 된다.

3.2. 순음화 연구개음

순음화 연구개음(Labialized velar consonant)은 연구개음을 조음할 때 ㅜ[w]처럼 입술이 둥그레지는 것이다. '과'에서 '고'가 순음화 연구개 파열음이다.
순음화 연구개음의 영문명을 Rounded Velar 이라고 표기하기도 한다.

3.2.1. 순음화 연구개 비음

[ruby(순음화 연구개 비음, ruby=Rounded Velar Nasal)]

ŋʷ


파일:ŋ̥ʷ.png
조음 위치 <colbgcolor=#ddd,#212121> 순음화 연구개음
조음 방향 중설음
조음 방법 비음
[ 발음 방법 보기 · 접기 ]
ŋ를 발음하면서 입술을 둥글게 한다.
앵커 코드 ngw
(ŋʷ)
(파일:ŋ̥ʷ.png)

3.2.2. 순음화 연구개 파열음

[ruby(순음화 연구개 파열음, ruby=Rounded Velar Stop)]

ɡʷ

조음 위치 <colbgcolor=#ddd,#212121> 순음화 연구개음
조음 방향 중설음
조음 방법 파열음
[ 발음 방법 보기 · 접기 ]
k나 g를 발음하면서 입술을 둥그렇게 한다.
앵커 코드 kw/gw
(kʷ)
(gʷ)
3.2.2.1. 순음화 유기 연구개 파열음
[ruby(순음화 유기 연구개 파열음, ruby=Rounded Velar Aspirated Stop)]
kʍ/kʰʷ


ɡ/ɡʱʷ
조음 위치 <colbgcolor=#ddd,#212121> 순음화 연구개음
조음 방향 중설음
조음 방법 파열음(유기음)
[ 발음 방법 보기 · 접기 ]
k을 발음하면서 공기를 내보냄과 동시에 입술을 둥그렇게 한다.
앵커 코드 khw/ghw
(kʍ)
(g)
콰에서 ㅏ 발음을 빼고 발음해보자.

3.2.3. 순음화 연구개 파찰음

[ruby(순음화 연구개 파찰음, ruby=Rounded Velar Affricate)]

kxʷ

ɡɣʷ

조음 위치 <colbgcolor=#ddd,#212121> 순음화 연구개음
조음 방향 중설음
조음 방법 파찰음
[ 발음 방법 보기 · 접기 ]
k와 x를 동시에 발음하면서 입술을 둥그렇게 한다, 유성음은 여기서 성대를 울려준다.
앵커 코드 kxw
(kxʷ)
(gɣʷ)

3.2.4. 순음화 연구개 마찰음

[ruby(순음화 연구개 마찰음, ruby=Rounded Velar Affricate)]

xʷ (ʍ)

ɣʷ

조음 위치 <colbgcolor=#ddd,#212121> 순음화 연구개음
조음 방향 중설음
조음 방법 마찰음
[ 발음 방법 보기 · 접기 ]
x를 발음하면서 입술을 둥그렇게 한다, 유성음은 여기서 성대를 울려준다.
앵커 코드 xw
(xʷ)
(ɣʷ)

3.2.5. 순음화 연구개 접근음

3.2.5.1. 무성 순음화 연구개 접근음 (마찰음)
[ruby(무성 순음화 연구개 접근음 (마찰음), ruby=Voiceless rounded velar approximant (Fricative))]

ʍ

<colcolor=#fff> 조음 위치 <colbgcolor=#ddd,#212121> 순음화 연구개음
조음 방향 중설음
조음 방법 접근음
[ 발음 방법 보기 · 접기 ]
혓바닥을 연구개에 가까이 대고 두 입술을 좁게 벌린 뒤 h/ɦ를 발음한다.
앵커 코드 wh

마리오[4] 아래 양순 연구개 접근음의 무성음 버전으로 스코틀랜드 영어, 남미 영어에서 보인다. 영어의 다중문자 wh의 원래 발음이 이것이었지만, 현대에는 거의 [w]로 발음하면서 소멸되고 있는 발음이다. 영어 사전에서는 주로 약한 h라는 느낌으로 h에 이탤릭체를 넣은 h로 표기되는 일이 많다. 영어권에서 wh를 [ʍ]로 발음하면 '스코틀랜드나 아일랜드에서 영어를 배웠냐'는 소리를 듣게 될 것이다.

접근음이라 부르지만 무성 접근음을 인정하지 않고 마찰음으로 보기 때문에, /w̥/나 /hʷ/에서 /xʷ/까지 여러 세기를 나타내는데 쓴다. 후파라는 언어에서 /xʷ/와 /hʷ/를 구별한다.

순음화가 아닌 완전한 마찰음으로 이중조음되는 언어는 아직 없다.
3.2.5.2. 유성 순음화 연구개 접근음
[ruby(유성 순음화 연구개 접근음, ruby=Voiced rounded velar approximant)]

w

<colcolor=#fff> 조음 위치 <colbgcolor=#ddd,#212121> 순음화 연구개음
조음 방향 중설음
조음 방법 접근음
[ 발음 방법 보기 · 접기 ]
혓바닥을 연구개에 갖다 대고 '우'를 발음한다.
앵커 코드 w

[u]의 반모음으로, 입술을 둥글게 한 상태로 혓바닥을 연구개에 대고 기식을 내보내는 소리다.

한국어에선 ㅗ, ㅜ 이중모음인 ㅘ, ㅝ, ㅞ 등등에서, 일본어의 わ에서 볼 수 있고 영어의 w도 이 음으로 발음하기 때문에 많이 익숙할 것이다. 이 밖에는 폴란드어의 Ł이 이 발음이다. 로망스어군의 경우 프랑스어의 ou, 나머지 언어의 u가 바로 뒤의 모음과 만나면 /w/로 변하기도 한다. 또, 브라질 포르투갈어에서는 음절 끝의 l이 /w/로 발음되기도 한다.

비슷한 소리로 [ɰᵝ]가 있는데 이쪽이 양순 연구개음(Labial–velar consonant)에 가깝다.

독일어러시아어 등의 몇몇 언어처럼 의외로 없는 언어도 많다. [w] 소리가 없는 언어에서는 [v] 음가로 옮긴다.[5]

3.2.6. 순음화 연구개 탄음

[ruby(순음화 연구개 탄음, ruby=Rounded Velar Tap)]

k̆ʷ

ɡ̆ʷ

조음 위치 <colbgcolor=#ddd,#212121> 순음화 연구개음
조음 방향 중설음
조음 방법 탄음(Tap)
[ 발음 방법 보기 · 접기 ]
k̆ 를 발음하면서 입술을 둥그렇게 한다, 유성음은 여기서 성대를 울려준다.
앵커 코드 kkw/ggw
(k̆ʷ)
(ɡ̆ʷ)

3.3. 양순 치경음

3.3.1. 양순 치경 비음

[ruby(양순 치경 비음, ruby=Labial–alveolar nasal)]

n͡m

<colcolor=#fff> 조음 위치 <colbgcolor=#ddd,#212121> 이중조음
조음 방향 중설음
조음 방법 비음
[ 발음 방법 보기 · 접기 ]
혓바닥을 윗잇몸에 딱 붙이고 두 입술을 딱 붙인 뒤 코로 기식을 흘려보낸다.
앵커 코드 nm

두 입술을 붙이고 혀끝을 윗잇몸에 댄 상태로 코로 기식을 내보내는 소리다.

일상에서 무의식적으로 "음..."을 이 발음으로 하는 경우가 가끔 있다.

Yelî Dnye 라는 언어에서 발견되었다.

3.3.2. 양순 치경 파열음

[ruby(양순 치경 파열음, ruby=Labial–alveolar stop)]

t͡p

d͡b

<colcolor=#fff> 조음 위치 <colbgcolor=#ddd,#212121> 이중조음
조음 방향 중설음
조음 방법 비음
[ 발음 방법 보기 · 접기 ]
혓바닥을 윗잇몸에 딱 붙이고 두 입술을 딱 붙인 뒤 코로 기식을 흘려보낸다.
앵커 코드 tp/db
유성음이 Yelî Dnye 라는 언어에서 발견되었다.
무성음은 압하스어에서 발견되었다.

3.4. 이외

3.4.1. 양순 경구개 접근음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양순 경구개 접근음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ruby(양순 경구개 접근음, ruby=Labial–palatal approximant)]

ɥ

<colcolor=#fff> 조음 위치 <colbgcolor=#ddd,#212121> 이중조음
조음 방향 중설음
조음 방법 접근음
[ 발음 방법 보기 · 접기 ]
혓바닥을 경구개에 갖다 대고 '위'를 발음한다.
앵커 코드 jw

입술을 둥글게 한 상태에서 혓바닥을 경구개에 대고 기식을 내보내는 소리다.

3.4.2. 연구개화 설측 치경 접근음

[ruby(연구개화 설측 치경 접근음, ruby=Velarized alveolar lateral approximant)]

ɫ

<colcolor=#fff> 조음 위치 <colbgcolor=#ddd,#212121> 이중조음
조음 방향 설측음
조음 방법 접근음
[ 발음 방법 보기 · 접기 ]
혓바닥을 연구개에, 혀끝을 윗잇몸에 갖다 대고 혀 옆쪽 공간을 확보한 뒤 '을'을 발음한다.
앵커 코드 darkL

연구개화라고 했지만 저 기호는 인두음화도 나타낸다. 그래서 정확히 나누면 연구개화는 lˠ, 인두음화는 lˤ이 된다.

혀끝을 윗잇몸에 대고 혀 옆구리와 어금니 사이를 살짝 좁힌 상태에서 혓바닥은 연구개에 가까이 하고 기식을 내보내는 소리다. 혀끝이 앞니~윗잇몸으로 이동하기도 한다.

통칭 dark L(어두운 L). 대응되는 무성음이 없다.

생소해 보이지만 영어에서도 종종 볼 수 있다. 미국식 영어에는 /l/로 인식되는 음성이 2~3개 정도 있는데, 일반적으로 모음 앞에 올 때는(초성일 때는) 설측 치경 접근음([l])이고 나머지 자리에서는 연구개음화해서 연구개화 설측 치경 접근음([ɫ])이 되거나 아예 설측 연구개 접근음([ʟ])이 된다. 한국인한텐 'ㅓ' 비슷하게 들리는 특징이 있다. smile, crocodile, ale, also, milk, help 같은 단어들은 각각 스마이을, 크로커다이을, 에이을, 어을쏘, 미역, 헤업 또는 해협 등으로 들리게 된다. 조음 특성에 비추어 본다면 [l]보다는 [ʟ]에 더 가깝다. 다만 각각 스마일, 크로커다일, 에일, 얼쏘, 밀크, 헬프라고 한다고 못 알아듣는 것은 아닌데, 애초에 '어두운 L'은 그저 L의 변이음일 뿐 다른 음소가 아니기 때문이다. 영국식 영어 중 용인발음에서 어말이나 자음 앞에 l이 오면 이 발음이 된다.

영어 이외의 서양 언어에서는 네덜란드어포르투갈어, 러시아어 등에서 이 발음을 들을 수 있는데 포르투갈어의 경우 본토에서는 이 발음을 유지하고 있지만 브라질에서는 /w/가 되어버렸다. 그래서 호날두호나우두의 표기가 다른 것이다. 이와 비슷하게 폴란드어의 'ł'도 원래는 이 발음이었던게 /w/로 변한 것이다.

이슬람교의 유일신인 알라를 말할 때에도 이 음가가 들어간다.

튀르키예어 l도 보통 이 발음이다.

3.4.3. 후치경연구개 마찰음

후치경[ruby(연구개, ruby=Sj-sound)] 마찰음

ɧ

ɧ̬

<colcolor=#fff> 조음 위치 <colbgcolor=#ddd,#212121> 이중조음
조음 방향 중설음
조음 방법 마찰음
[ 발음 방법 보기 · 접기 ]
혓바닥을 경구개와 연구개에 갖다댄 뒤 h/ɦ를 발음한다.
앵커 코드 Sj
듣기
노르웨이어, 스웨덴어, 덴마크어 등 북유럽 언어에서 보이는 발음으로, 후치경음연구개음짬뽕. 대응되는 유성음이 없다.

영문 명칭은 Sj-sound. 방언마다 조음 위치가 달라서 확정된 명칭이 없다. 불어, 서어, 포어권에서는 경구개연구개 마찰음이라고 부르는 듯 하지만 일본측에서 후치경연구개 마찰음이라는 용어를 쓰는지라 여기서는 이를 제목으로 쓴다.

영문 위키백과에서는 대개 순음화된다 하며 위의 예시 음성에서도 '화' 같은 소리가 들린다.

조음 방법은, 혀로 입천장을 전부 덮은 상태에서 살살 흘리는 느낌으로 기류를 내보내면 된다. 최신 IPA에서도 딱히 설명할 방법을 찾지 못했는지 'simultaneous ʃ and x'라고 적어놨다. 여기서 ʃ는 후치경 마찰음(영어의 sh), x는 무성 연구개 마찰음(독일어의 ch, 한국어 '흐'의 ㅎ)이다. 이렇게 발음하면 발음이 그나마 쉬워진다. 다만 ʃ는 치찰음인 점을 주의해야 한다.

이 게시글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IPA가 너무 유럽중심적(eurocentric) 체계가 아니냐" 혹은 더 나아가 "인종차별적이지 않느냐"라는 비판과 관련하여 가장 먼저 화두에 오르는 기호이기도 하다. 실제로 IPA에 단독으로 존재하는 기호들은 상당수가 인도유럽어족 계열 언어에 등장하는 음소인 것 자체는 사실이고[6], 이 발음은 스웨덴, 더 잘 쳐줘도 북유럽 및 독일 일부 지역에서나 간간히 등장하는 발음이라 기호 사용의 효율성 측면에서 떨어진다는 비난은 피할 수 없다. 이런 주장을 하는 이들은 이 문제의 sj-sound는 [xʲ\] 등 보조 기호를 활용하여 충분히 표현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3.4.4. 연구개인두 마찰음

[ruby(연구개인두 마찰음, ruby=Velopharyngeal fricative)]

ʩ

ʩ̬

<colcolor=#fff> 조음 위치 <colbgcolor=#ddd,#212121> 이중조음
조음 방향 중설음
조음 방법 마찰음
[ 발음 방법 보기 · 접기 ]
혓바닥을 연구개와 인두 쪽에 딱 붙이고 숨을 내쉰다. 이때 코로 공기가 나간다.
앵커 코드 fn
구개열이라는 입천장이 갈라지는 기형이 있는데, 이럴 경우 치경 마찰음 같은 소리를 낼 수 없고 대신 이 소리가 나온다. 그 외에 비강 관련 질환으로도 발생할 수 있으며, 발음 교정을 하지 않은 어린이들에게도 간혹 나타난다. 코맹맹이식 [h] 발음.

들어 보면 코가 킁킁거리는 소리가 들린다. 구개열이 없는 경우 아래의 전동음이 나올 가능성이 높다.

참고로 저 ʩ는 Feng이라는 이름이 있다.

3.4.5. 연구개인두 전동음

[ruby(연구개인두 전동음, ruby=Velopharyngeal trill)]

𝼀

<colcolor=#fff> 조음 위치 <colbgcolor=#ddd,#212121> 이중조음
조음 방향 중설음
조음 방법 전동음
[ 발음 방법 보기 · 접기 ]
혓바닥을 연구개에 딱 붙이고 코를 곤다. 그리고 그 입모양을 유지한 채 숨을 내쉰다.
앵커 코드 Snore
파일:VPTrill.png 위 글자가 안 보이는 경우
이게 진짜 코골이이다. 코를 골 때 "끄르르르릉... 끄르르르르릉..."하는 게 바로 이 발음.

유니코드 14.0 버전이 발표되면서 라틴 확장 G 영역에 추가되었다.

유사한 소리로 무성 구개수 마찰 전동음 [ʀ̝̊]이 있다. 목젖만 떨리면 [ʀ̝̊], 연구개까지 떨리는 경우 이 소리이다.

3.4.6. 구개수 후두개 파열음

[ruby(구개수 후두개 파열음, ruby=Uvular–epiglottal plosive)]

q͡ʡ

<colcolor=#fff> 조음 위치 <colbgcolor=#ddd,#212121> 이중조음
조음 방향 중설음
조음 방법 파열음
[ 발음 방법 보기 · 접기 ]
구개수 파열음과 후두개 파열음을 함께 발음한다.
앵커 코드 q
소말리어에서 나타난다.

3.4.7. 치 양순 전동 파열음

[ruby(치 양순 전동 파열음, ruby=Bilabially post-trilled dental stop)]

t̪͡ʙ̥

d̪͡ʙ

<colcolor=#fff> 조음 위치 <colbgcolor=#ddd,#212121> 이중조음
조음 방향 중설음
조음 방법 전동음~파열음
[ 발음 방법 보기 · 접기 ]
치 파열음과 양순 전동음을 함께 발음한다.
앵커 코드 tb
(t̪͡ʙ̥)
(d̪͡ʙ)

무성음이 Wariʼ어에서 발견되었다고 한다.

3.4.8. 경구개 구개수 방출 파찰 흡착음

[ruby(경구개 구개수 방출 파찰 흡착음, ruby=Palatal Uvular ejective affricate Click)]

ɢǂqχʼ

ǂqχʼ

<colcolor=#fff> 조음 위치 <colbgcolor=#ddd,#212121> 이중조음
조음 방향
조음 방법 파찰음 ~ 방출음
[ 발음 방법 보기 · 접기 ]
-
(ɢǂqχʼ)
(ǂqχʼ)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82
, 2.9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82 (이전 역사)
문서의 r182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그 선비 아니다[2] 흔히 쓰는 -가 아니라 en dash인 –다.[3] 베트남의 통화 단위(₫, [ɗuŋ͡m\])를 말할 때 받침으로 이 음이 들어간다.[4] 본 기호는 W를 뒤집은 기호인데,마리오 모자의 M이 M보다는 ʍ에 가깝게 생겼다.[5] 대표적인 예시로 위키피디아의 러시아어 표기는 Википедия(비끼뼤지야)이다. 다만 William을 Уильям(우일리얌)으로 적는 것 같이 [u\] 음가로 옮기는 경우도 있다.[6] 예를 들어 유성 양순연구개 파열음의 경우 아프리카의 많은 언어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음운이며 해당 언어를 사용하는 화자들의 전체 인구는 북유럽 인구를 합친 것보다 더 많다. 하지만 IPA에 이 발음은 독립된 기호로 존재하지 않고, 두 기호를 합쳐 [ɡ͡b\]라고 표기한다. 또 경구개음의 경우 대다수가 독립된 기호를 가지고 있지만, 유럽 언어에서는 잘 등장하지 않는 치경구개음의 경우 슬라브어에서 등장하는 음소인 [(t)ɕ\], [(d)ʑ\] 정도만 독립된 기호가 있으며 나머지는 별도의 치경구개음화 부호를 붙여 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