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서면어(문어체) 중국어, 즉 한문에 대비되는 구어체 중국어를 의미하는 백화(白話, Vernacular Sinitic)를 한자로 그대로 옮겨 적은 글을 백화문(白話文)이라고 한다.중국 역사 중 초창기를 제외하면, 중국에서 글말(문어)로 썼던 한문은 중국어의 입말(구어)인 백화와는 상당한 차이가 있었다. 이미 한나라 대에 들어서면서부터 구어와 문어의 차이가 생기기 시작하고, 수나라나 당나라 대에 이르러서는 구체적인 한문 지식이 없으면 둘이 완전히 다른 언어로 보일 정도로 달라졌다. 그래서 공식적인 기록은 대부분 한문으로 적었지만 가끔 입말 그대로 옮겨 적는 기록도 있는데 이러한 문체를 '백화문'이라 한다.
관화(官話)를 받아적는 관백(官白) 또는 경백(京白, 주로 북경관화를 받아적으므로), 오어(吳語)를 받아적는 오백(吳白) 또는 소백(蘇白, 주로 소주화(蘇州話)를 받아적으므로), 월어(粵語)-광동어(廣東語)-를 받아적는 월백(粵白) 또는 광백(廣白), 민어(閩語)를 받아적는 민백(閩白) 4종이 대표적이고 이외에 중주운백화문(中州韻白話文), 줄여서 운백(韻白) 등이 있다.
현대 표준 중국어도 북경화 백화문을 표준화하여 규범으로 정립한 것이다.
2. 역사
한자로 쓴 텍스트(한문)이라고 해도 시대와 국가, 지역에 따라 종류는 다양하다. 한국의 이두나 향찰 또한 한문이라면 한문이지만, 중국 사대부들이 읽고 해석할 수는 없다. 전근대 한자 문화권에서 지식인들이 여러 한문들 중에서도 품위 있고 격식을 갖춘 표준으로 생각한 정격한문(正格漢文)은 대체로 기원전 5세기 춘추전국시대 무렵 상고한어의 문법에 기초한 글말이다.상고한어를 쓰던 시절에 중국(중원)에서 입말과 글말이 차이가 거의 없었다. 그러나 시대가 지나고 주변 군장국가를 정복하고 강제이주를 단행할수록 주변 이민족[1] 어휘와 문법 요소가 도입되며 입말이 점차 변하고, 피정복민 언어가 중국어(한어) 방언화 되며 입말과 글말의 괴리가 커지는 상황에서 한자를 정격한문 문법이 아닌, 구어법을 따라 배치한 텍스트가 바로 백화문이다.
백화문은 수나라, 당나라 대에 발생하여 송나라, 몽골제국(원나라), 명나라, 청나라를 거치면서 발전하게 되는데, 시대에 따라 다르지만 대부분 북경관화와 오어(吳語) 소주화(蘇州話), 광주화(廣州話), 민동어 복주화(福州話)를 글로 옮겨 적었다. 입말이 시대가 지나며 끊임없이 변화하기 마련이므로, 이미 문법이나 구조적인 면에서 정격한문과는 차이가 있다. 당연히 후대에 사용된 백화문일수록 현대 중국어에 가까워진다.
백화문을 쓸 때에 입말 그대로 옮기기 위해 기존의 한자를 빌려와 표기하거나 새로이 한자를 만든다. 그래서 백화문에 쓰인 한자들 중에서는 한국이나 일본, 심지어 중국에서도 다른 방언을 쓰는 사람이라면 못보던 한자들이 튀어나오기도 하며, 같은 한자라도 정격한문과 다른 뜻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백화문은 당시 시대상을 반영해 생동감을 불어넣어야 하는 소설 작품들에 종종 사용되곤 했는데, 이를 백화소설(白話小說)이라고 한다. 삼국지연의, 서유기, 수호전, 금병매, 유림외사, 홍루몽 등이 대표적인 사례다. 당대 중국인들은 백화문을 한문보다 수준 낮은 글로 여겼다. 이 글들은 사실 준백화문으로, 문어와 구어가 절충된 문체이다.
신해혁명 이후에 신문화운동의 일환으로 어려운 한문 대신 입말 그대로 써서 대중과 더 친밀하고 배우기 쉬운 백화문을 쓰자는 '언문일치 운동'이 일어나면서 글을 쓸 때도 점점 정격한문 대신 백화문을 쓰는 것으로 바뀌었다. 루쉰이 1918년에 내놓은 광인일기(狂人日记)를 최초의 백화문 소설로 보는 견해는 여기에서 시작된다. 과거에는 마땅히 정격한문으로 써야 한다고 여긴, 격식을 갖춰야 할 글들(공문서 등)도 백화문으로 쓰게 되었다. 오늘날 표준 중국어의 문어체 역시 북경 방언의 백화문에 기초한다.
처음에 백화문 운동이 일어났을 때에 반발이 꽤 있었다. 기존의 한문에 익숙한 사람들이 '저급한' 백화문을 문어로 씀에 반감이 컸다. 그리고 백화문 도입 대신에 한문의 어휘 수를 제한하고 사자성어, 고사성어를 비롯한 전고(典故, 옛 문학작품에 사용된 표현을 인용) 사용을 제한한 쉬운 한문을 만들어서 보급하자는 대안을 주장한 사람들도 있었다. 그러나 결국엔 그냥 백화문을 쓰자는 쪽이 승리해서 쉬운 한문이나 고전 한문 모두 서면어로 쓰지 않게 되었다.
표준 중국어뿐만 아니라 다른 중국어 방언(사실상 중화제어)도 백화문으로 적을 수는 있다. 대표적으로 광동어가 그렇다. 백화문은 사람들의 입말을 그대로 글로 옮긴 것이니 각 지역 방언으로 된 백화문이 존재함이 당연하다. 그러나 오늘날에는 광동어 정도를 제외하면 방언이 백화문으로 작성되는 예는 흔하지 않다. 한국에서 글을 쓸 때에 사투리 화자라도 표준어 문법과 맞춤법을 따라 쓰지 사투리 그대로 옮겨적지 않는 것과 비슷하다.
더군다나 방언 백화문은 광동어같이 따로 백화문 규범을 정해놓은 몇몇을 빼면 한자 표기의 표준화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아서 같은 뜻인데도 문헌에 따라 표기가 중구난방이다. 또한 글말로 잘 쓰지 않기 때문에 오늘날 컴퓨터에서 방언 백화문에 쓰이는 한자를 입력하려고 해도 유니코드에 해당하는 한자가 없어 제대로 입력할 수 없는 문제점도 있다. 그나마 활발하게 쓰이는 광동어 백화문마저 백화문 전용 한자가 유니코드에 모두 포함된 것이 2009년이니 다른 방언은 말할 필요도 없을 것이다.
일본어의 한자 표기나 한자어 조합들은 중고한어~근고한어 시절의 백화문으로부터 많은 영향을 받았다. 한국식 한자 용법은 일본식 한자 용법에 비해 보수성이 좀 더 강한 편이다. 과거제 때문에 고전한문의 정석인 유교경전 수십권을 통달해야 하는 양반이 정립하였기 때문에 굳이 수천년 전부터 사용된 '고상한' 용법을 놔두고 "격 떨어지는" 표현을 쓸 필요가 없었기 때문이다.
3. 둔황 변문
둔황 지역의 고문서에서 쓰인 둔황 변문(敦煌變文)이라는 문체 양식도 존재한다. 문어체와 구어체가 섞여 있으며, 문언문(한문), 백화문 어느 쪽으로도 분류되지 않고 그냥 둔황 변문 자체가 별도 카테고리를 이룬다.불교 경전을 해설하는 이야기와 노래를 글로 적은 것이 많은데, 그 독특한 문체는 중국문학사에서 예외로 취급될 정도로 이질성이 강하다. 이야기(산문)에는 주로 당대 백화문이 쓰였고, 노래(운문)는 당대 지역 구어체가 섞인 7언 형식을 취하는 경우가 많았다. 당시에는 쉽게 해설한다고 쓴 글이지만, 오늘날의 관점에서 보면 옛 둔황 지역의 온갖 이체자와 구어체가 폭넓게 쓰이고 산문으로 쓰인 부분도 불교의 영향이 강하며 가끔 변려문도 튀어는 데다가 문장부호가 없다 보니 문체가 상당히 난해하다. 중국 고전에 웬만큼 익숙한 중국인 학자들조차 둔황 변문으로 쓰인 강창문학은 따로 공부하지 않으면 잘 읽지 못한다.
4. 관련 문서
5. 둘러보기
- [ 역사 ]
-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1f2023><table color=#373a3c,#ddd><colbgcolor=#ee1c25><width=16%> 역사 ||역사 전반(홍콩) · 등용제도 · 세금 제도 · 연호 · 역대 국호 · 백년국치 ||
- [ 사회 · 경제 ]
-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1f2023><table color=#373a3c,#ddd><colbgcolor=#ee1c25><width=16%> 경제 ||경제 전반(홍콩 · 마카오) · GDP · 경제성장률 · 상무부(투자촉진사무국) · 재정부 · 공업정보화부 · 중국인민은행 · 세무총국 · 중국 위안 · 중국증권 감독관리위원회(상하이증권거래소 · 선전증권거래소 · 베이징증권거래소) · 홍콩증권거래소 · 국가금융감독관리총국 · ECFA · AIIB · FTAAP · 세서미 크레딧 · 차이나 머니 · 아시아의 네 마리 용(홍콩) ||
- [ 문화 ]
-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1f2023><table color=#373a3c,#ddd><colbgcolor=#ee1c25><width=16%> 문화 전반 ||문화 전반(홍콩 · 마카오) · 문화 검열(검열 사례 · 할리우드 블랙아웃) · 문화여유부(문물국) · 영화(목록) · 홍콩 영화 · 상하이물) · 드라마(목록 · 문제점) · 방송(CCTV · CETV · 라디오 방송 · 홍콩 · 마카오) · 신경보 · 중앙신문(인민일보 · 환구시보 · 광명일보 · 경제일보 · 해방군보) · 사우스 차이나 모닝 포스트 · 명보 · 미술 · 2021년 중국 규제 · 파룬궁 · 선전물 일람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15%" {{{#!folding [ 정치 · 군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 상징 | 국기 · 국장 · 국가 · 국기가 |
정치·행정 | 정치 전반 · 오권분립 · 입법원 · 행정원(조직) · 사법원 · 헌법(중화민국 임시약법 · 동원감란시기임시조관) · 정당(범람연맹 · 범록연맹) · 총통(총통부 · 대총통선거법 · 수정대총통선거법 · 총통 전용기) · 행정구역(성 · 미수복지구) · 행정조직 · 정부총통선거 · 총선 · 지방선거 · 국민대회 | |
국가원수 | 쑨원 · 위안스카이 · 쉬스창 · 차오쿤 · 돤치루이 · 왕징웨이 · 탄옌카이 · 장제스 · 린썬 · 옌자간 · 장징궈 · 리덩후이 · 천수이볜 · 마잉주 · 차이잉원 · 라이칭더 | |
국가원수(명단) · 총통(명단) | ||
기타 정치인 | 옌시산 · 성스차이 · 우페이푸 · 리위안훙 · 장쭤린 · 후웨이더 · 옌후이칭 · 두시구이 · 구웨이쥔 · 펑위샹 · 마부팡 · 마훙빈 · 위유런 · 탕성즈 · 마훙쿠이 · 리쭝런 · 바이충시 · 룽윈 · 장쉐량 · 황싱 · 한궈위 · 장치천 · 주리룬 · 허우유이 · 쑹추위 · 커원저 · 쑤전창 · 셰창팅 · 천젠런 · 샤오메이친 | |
부총통 · 행정원장 · 입법원장 · 감찰원장 · 대성지성선사봉사관 | ||
외교 | 외교 전반 · 여권 · 양안관계(하나의 중국 · 대만 해협 위기 · 92공식 · 양안통일 · 화독 · 대독) · 중화권 · 한국-대만 관계 · 대만-일본 관계 · 미국-대만 관계(타이완 관계법 · 타이완 동맹 보호법 · 대만 보증법 · 2022년 낸시 펠로시 대만 방문 및 중국 군사훈련 사태) · 한국-대만-일본 관계(자코타 삼각지대) · 재외공관 | |
감정 | 친화 · 친대 · 반대 · 중화민국빠 · 대만빠 | |
사법 · 치안 | 사법제도 · 경찰 · 국가안전국 · 소방 · 사형제도 | |
군사 전반 | 국방부(역정서) · 대만군(육군 · 해군 · 공군 · 국민혁명군) · 계급 · 군복 · 보병장비 · 기갑차량 · 군함 · 항공병기 · 병역법 · 체대역 · 성공령 · 핵개발 · 군벌 |
- [ 역사 ]
-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1f2023><table color=#373a3c,#ddd><bgcolor=#fe0000><width=15%> 역사 ||역사 전반(민국사 · 대만사) · 대만의 민주화 운동 · 등용제도 · 세금 제도 · 연호 · 역대 국명 · 군벌 · 대외 전쟁 및 분쟁 ||
- [ 사회 · 경제 ]
-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1f2023><table color=#373a3c,#ddd><bgcolor=#fe0000><width=15%> 경제 ||경제 전반 · 재정부 · 경제부 · 중화민국중앙은행 · 신대만 달러 · 대만증권거래소 · 타이베이거래소 · 기업(메인보드 제조사) · 이동통신사 · 아시아의 네 마리 용 · ECFA ||
교육 교육부 · 대학 목록 · 재대복교 교통 교통 전반 · 대만의 철도 환경 · 교통부 · 중화민국국도(중산고속공로 · 포모사고속공로) · 타이완 성도 · 공항 목록 · 항공사(중화항공 · 에바항공 · 스타럭스항공) · 타이완철로유한회사(THSR · 쯔창하오 · 구간차) · 대만의 시외버스 · 첩운(타이베이 첩운 · 타오위안 첩운 · 신베이 첩운 · 타이중 첩운 · 가오슝 첩운) · 이지카드 · 아이패스 · 아이캐시 민족 한족 · 본성인(객가) · 외성인 · 대만 원주민(아미족 · 아타얄족 · 따오족) · 인도네시아계 대만인 · 일본계 대만인 · 한국계 대만인 화교 화교(쿨리) · 차이나타운(인천 차이나타운) · 중국계 한국인(재한 화교 · 화교협회) · 중국계 미국인 · 중국계 러시아인(둥간족) · 중국계 브라질인 · 중국계 필리핀인(상글레이) · 중국계 인도네시아인 · 중국계 말레이시아인 · 중국계 베트남인 · 중국계 싱가포르인 · 중국계 태국인 · 중국계 호주인 · 중국계 일본인 · 중국계 캐나다인 · 대만계 한국인 · 대만계 미국인 · 대만계 일본인 · 대만계 캐나다인
- [ 문화 ]
-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1f2023><table color=#373a3c,#ddd><colbgcolor=#fe0000><width=15%> 문화 전반 ||문화 전반 · 영화(금마장) · 드라마 · TV방송(CTV · CTS · TTV) · 라디오 방송 · 스포츠 · 중국시보 · 빈과일보 · 미술 · 파룬궁 · 등려군 · 거류증 · 중화 타이베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