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28 22:40:52

대만/경제


파일:Document_Protect.svg   편집 보호된 문서입니다.
문서의
ACL 탭
을 확인하세요.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대만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15%"
{{{#!folding [ 정치 · 군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상징 국기 · 국장 · 국가 · 국기가
정치·행정 정치 전반 · 오권분립 · 입법원 · 행정원(조직) · 사법원 · 헌법(중화민국 임시약법 · 동원감란시기임시조관) · 정당(범람연맹 · 범록연맹) · 총통(총통부 · 대총통선거법 · 수정대총통선거법 · 총통 전용기) · 행정구역( · 미수복지구) · 행정조직 · 정부총통선거 · 총선 · 지방선거 · 국민대회
국가원수 쑨원 · 위안스카이 · 쉬스창 · 차오쿤 · 돤치루이 · 왕징웨이 · 탄옌카이 · 장제스 · 린썬 · 옌자간 · 장징궈 · 리덩후이 · 천수이볜 · 마잉주 · 차이잉원 · 라이칭더
국가원수(명단) · 총통(명단)
기타 정치인 옌시산 · 성스차이 · 우페이푸 · 리위안훙 · 장쭤린 · 후웨이더 · 옌후이칭 · 두시구이 · 구웨이쥔 · 펑위샹 · 마부팡 · 마훙빈 · 위유런 · 탕성즈 · 마훙쿠이 · 리쭝런 · 바이충시 · 룽윈 · 장쉐량 · 황싱 · 한궈위 · 장치천 · 주리룬 · 허우유이 · 쑹추위 · 커원저 · 쑤전창 · 셰창팅 · 천젠런 · 샤오메이친
부총통 · 행정원장 · 입법원장 · 감찰원장 · 대성지성선사봉사관
외교 외교 전반 · 여권 · 양안관계(하나의 중국 · 대만 해협 위기 · 92공식 · 양안통일 · 화독 · 대독) · 중화권 · 한국-대만 관계 · 대만-일본 관계 · 미국-대만 관계(타이완 관계법 · 타이완 동맹 보호법 · 대만 보증법 · 2022년 낸시 펠로시 대만 방문 및 중국 군사훈련 사태) · 한국-대만-일본 관계(자코타 삼각지대) · 재외공관
감정 친화 · 친대 · 반대 · 중화민국빠 · 대만빠
사법 · 치안 사법제도 · 경찰 · 국가안전국 · 소방 · 사형제도
군사 전반 국방부(역정서) · 대만군(육군 · 해군 · 공군 · 국민혁명군) · 계급 · 군복 · 보병장비 · 기갑차량 · 군함 · 항공병기 · 병역법 · 체대역 · 성공령 · 핵개발 · 군벌
}}}}}}}}}
[ 역사 ]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1f2023><table color=#373a3c,#ddd><bgcolor=#fe0000><width=15%> 역사 ||역사 전반(민국사 · 대만사) · 대만의 민주화 운동 · 등용제도 · 세금 제도 · 연호 · 역대 국명 · 군벌 · 대외 전쟁 및 분쟁 ||
시대 역사 전반 · 삼황오제 · · · (동주 · 서주 · 춘추시대 · 전국시대) · (초한쟁패기) · (전한 · · 후한) · 삼국시대 · 서진 · 오호십육국시대 · 남북조시대 · · (무주 · 호연) · 오대십국시대 · (북송 · 남송) · · · 서하 · · (남명 · · · 동녕국) · (태평천국) · 일치시기 · 만주국 · 중화민국(임시정부 · 북양정부 · 국민정부 · 호법정부 · 우한정부 · 임시정부(괴뢰) · 유신정부 · 왕징웨이 정권 · 국부천대 · 대만)
관직 한나라의 공경 · 삼국지 관직 · 외명부 · 환관조직 · 후궁제도 · 연성공
사서 흠정이십사사(사기 · 한서 · 후한서 · 삼국지 · 진서(晉書) · 송서 · 남제서 · 양서 · 진서(陳書) · 위서 · 북제서 · 주서 · 수서 · 남사 · 북사 · 구당서 · 신당서 · 구오대사 · 신오대사 · 송사 · 요사 · 금사 · 원사 · 명사) · 오월춘추 · 여씨춘추 · 월절서 · 국어 · 전국책 · 열녀전 · 위서 · 위략 · 화양국지 · 후한기 · 양기 · 자치통감 · 동관한기 · 건강실록 · 정관정요 · 역대명화기 · 신원사 · 원조비사 · 만주실록 · 청사고 · 십국춘추 · 십육국춘추 · 사고전서
사건 신해혁명(계축전쟁 · 호국전쟁) · 선후대차관 사건 · 중화민국 국회 해산 · 홍헌제제 · 부원지쟁 · 장훈복벽 · 제1차 호법운동 · 호법전쟁 · 5.4 운동 · 하남독군 교체 파동 · 안직전쟁 · 제2차 호법운동 · 영풍함 사건 · 외몽골 출병 · 직봉전쟁(1차 · 2차) · 국민혁명(1차 · 2차) · 탕산회의 · 동북역치 · 편견회의 · 호남 사건 · 반장전쟁(제1차 장계전쟁 · 제1차 장풍전쟁 · 중동로 사건 · 봉소전쟁 · 제2차 장계전쟁 · 제2차 장풍전쟁 · 장당전쟁 · 중원대전) · 초공작전 · 중국-티베트 전쟁 · 신강 침공 · 중일전쟁(만주사변 · 열하사변 · 시안 사건 · 국공합작) · 국공내전 · 국부천대 · 제1차 대만 해협 위기 · 제2차 대만 해협 위기 · 국광 작전 · 대만 계엄령 · 2.28 사건 · 중화문명부흥운동 · 중리 사건 · 메이리다오 사건 · 제3차 대만 해협 위기 · 대만 여권운동가 피살 사건 · 천수이볜 암살 미수 사건 · 해바라기 운동 · TWICE 쯔위 청천백일만지홍기 논란 · 8.15 대만 블랙 아웃
[ 사회 · 경제 ]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1f2023><table color=#373a3c,#ddd><bgcolor=#fe0000><width=15%> 경제 ||경제 전반 · 재정부 · 경제부 · 중화민국중앙은행 · 신대만 달러 · 대만증권거래소 · 타이베이거래소 · 기업(메인보드 제조사) · 이동통신사 · 아시아의 네 마리 용 · ECFA ||
교육 교육부 · 대학 목록 · 재대복교
교통 교통 전반 · 대만의 철도 환경 · 교통부 · 중화민국국도(중산고속공로 · 포모사고속공로) · 타이완 성도 · 공항 목록 · 항공사(중화항공 · 에바항공 · 스타럭스항공) · 타이완철로유한회사(THSR · 쯔창하오 · 구간차) · 대만의 시외버스 · 첩운(타이베이 첩운 · 타오위안 첩운 · 신베이 첩운 · 타이중 첩운 · 가오슝 첩운) · 이지카드 · 아이패스 · 아이캐시
민족 한족 · 본성인(객가) · 외성인 · 대만 원주민(아미족 · 아타얄족 · 따오족) · 인도네시아계 대만인 · 일본계 대만인 · 한국계 대만인
화교 화교(쿨리) · 차이나타운(인천 차이나타운) · 중국계 한국인(재한 화교 · 화교협회) · 중국계 미국인 · 중국계 러시아인(둥간족) · 중국계 브라질인 · 중국계 필리핀인(상글레이) · 중국계 인도네시아인 · 중국계 말레이시아인 · 중국계 베트남인 · 중국계 싱가포르인 · 중국계 태국인 · 중국계 호주인 · 중국계 일본인 · 중국계 캐나다인 · 대만계 한국인 · 대만계 미국인 · 대만계 일본인 · 대만계 캐나다인
[ 문화 ]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1f2023><table color=#373a3c,#ddd><colbgcolor=#fe0000><width=15%> 문화 전반 ||문화 전반 · 영화(금마장) · 드라마 · TV방송(CTV · CTS · TTV) · 라디오 방송 · 스포츠 · 중국시보 · 빈과일보 · 미술 · 파룬궁 · 등려군 · 거류증 · 중화 타이베이 ||
요리 요리 전반(대만 요리) · 지역별 요리 · 산둥 요리 · 쓰촨 요리 · 장쑤 요리 · 저장 요리 · 후난 요리 · 광둥 요리 · 안후이 요리 · 푸젠 요리 · 베이징 요리 · 상하이 요리 · 후베이 요리 · 윈난 요리 · 만주 요리 · 청진 요리 · 한국식(종류) · 미국식(종류) · 일본식(종류) · 러시아식 · 중국술 · 대만 술(백주 · 황주 · 맥주 · 금문고량주) · · 팔진 · 만한전석
전통문화 전통악기 · 경극(변검) · 잡극(포대희) · 모란정환혼기 · 샹치 · 바둑 · 마작(국표마작 · 광동마작 · 사천마작 · 홍콩대만마작 · 홍콩마작) · 만만디 · 시누아즈리 · 한푸(여성 한푸) · 치파오 · 변발 · 인민복 · 전족 · 회회력 · 시헌력 · 한시 · 무협물(중국사대기서) · 토루 · 사합원 · 패방 · 얼후 · 고쟁 · 비파 · 싼시엔 · 쓰후 · 싼후
현대문화 만화(팬시 프론티어) · 민국기년 · 정가(傷感情歌)
종교 · 신화 삼교 · 대승 불교(선종 · 정토교 · 시왕) · 도교(종파 · 상제 · 서왕모 · 구천현녀 · 일관도 · 육갑비축 · 도술 · 태극패 · 연단술) · 유교(변천사) · 백련교 · 중국 신화 · 하백 · 관우(관왕묘) · 마조 · 산해경 · 삼황오제(복희 · 신농 · 황제 · 소호 · 전욱 · 제곡 · 제지 · 제요 · 제순) · 헌원검 · 누조 · 창힐 · 치우 · 환상종(사신 · 사령 · 오룡 · 사흉) · 동방번개
언어 중국티베트어족 · 중국어(중화민국 국어) · 관화 · 민어(대만어) · 객가어 · 오어 · 월어 · 상어 · 민어 · 객가어 · 둥간어 · 기타 방언 · 한문 · 대만 제어 · 백화문 · 한자(정체자 · 방언자 · 중문대사전) · 주음부호 · 병음(우정식 병음 · 웨이드-자일스 표기법 · 국어라마자 · 통용병음 · 국어 주음부호 제2식 · 대라병음 · 한어병음 · 팔라디 표기법 · 객가어병음방안 · 월병 · 예일식 광동어표기법) · 중어중문학과 · 제2외국어(교과)/중국어 · TOCFL · 거란 문자 · 여진 문자 · 서하 문자
관광 관광 전반 · 국립고궁박물원 · 국부기념관 · 대만의 성 · 중정기념당 · 충렬사 · 원산대반점 · 예류 · 진과스 · 핑시선 · 우라이 · 타이베이 101 · 가오슝 85 타워 · 지우펀 · 샹산 · 펑후 · 진먼
전시장 타이베이 세계무역센터 · 난강전람관 · 가오슝전람관
}}} ||

중화권 상호관계 관련 문서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6px"
공통
하나의 중국 · 두 개의 중국(화독) · 중화권(중화권/상호 왕래) · 화교 · 한자문화권 · 중국 본토
정치관계 대만/외교 · 대만 해협 위기 · 92공식 · 양안관계(2020년대) · 중화 타이베이
정치성향
·
정체성
범람연맹(친중화민국 · 중화민국빠) · 범록연맹(친대파 · 대만빠) · 친중공파 · 대만인(본성인 · 외성인 · 대만 원주민) · 반대만
관련운동 타이완 독립운동(해바라기 운동) · 화독 · 양안통일
관련
사례
TWICE 쯔위 청천백일만지홍기 논란 · hololive 키류 코코-아카이 하아토 대만 언급 논란 · Gen.G 중국 주권 및 영토의 무결성 지지 포스팅 논란
기타 타이완성(중화인민공화국) · 타이완 넘버원 · ECFA
정치관계 홍콩-본토 관계 · 일국양제 · 일국일제 · 홍콩 내셔널리즘
정치성향·정체성 홍콩인(민주파 · 본토파 · 중간파 · 건제파)
관련운동 홍콩 시위 · 홍콩 독립운동 · 홍콩 민주화 운동(2014년 · 2019년)
대만-홍콩 관계
마카오인 · 마카오-본토 관계
티베트 독립운동 · 티베트 망명정부 · 중국-티베트 관계 · 대만-티베트 관계
동튀르키스탄 독립운동 · 중화권-위구르 관계
중국-싱가포르 관계 · 대만-싱가포르 관계 · 중국계 싱가포르인 · 싱가포르(주)
중국-내몽골 관계
기타
중국/정치(중국공산당 · 홍콩/정치 · 마카오/정치) · 대만/정치(중국국민당 · 민주진보당) · 天安門 天安门 法輪功 李洪志 Free Tibet 劉曉波 · 국수주의/행태/중국 · 대만민국 · 중뽕 · 중국/외교(홍콩/대외관계) · 대만/외교 · 중국 대륙 · 타이완 섬 · 중화민족(중화사상) · 중국/경제(홍콩/경제 · 마카오/경제) · 대만/경제 · 중국몽 · 민주당파(중국민주당) · 신중국연방 · 중화권-러시아-만주 관계 · 위구르-티베트 관계 · 제하주의 }}}}}}}}}

동아시아경제
[[몽골/경제|
파일:몽골 국기.svg

몽골]]
[[북한/경제|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대한민국/경제|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일본/경제|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중국/경제|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홍콩/경제|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홍콩]]파일:중국 원형 국기.svg
[[마카오/경제|
파일:마카오 특별행정구기.svg

마카오]]파일:중국 원형 국기.svg
[[대만/경제|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

대만의 경제 정보
인구 23,375,623 명# 2021년, 세계 56위
경제 규모(명목 [[GDP|{{{#fff GDP}}}]]) 7,750억 달러# 2024년 10월, 세계 21위
경제 규모([[PPP|{{{#fff PPP}}}]] [[GDP|{{{#fff GDP}}}]]) 1조 8,430억 달러# 2024년 10월, 세계 21위
GDP 성장률 3.7%#2024년 10월
1인당 명목 GDP 33,233 달러# 2024년 10월, 세계 34위
1인당 PPP GDP 79,031 달러# 2024년 10월, 세계 11위
GDP 대비 공공부채 비율 35.7%2016년, 세계 136위
무디스 국가 신용등급 Aa3(안정적) # 2022년, 4등위
피치 국가 신용등급 AA(안정적) # 2021년, 3등위
S&P 국가 신용등급 AA+(안정적) # 2022년, 2등위
1. 개요2. 국민경제3. 특징과 장단점4. 경제사
4.1. 식민지 시기4.2. 국부천대 이후4.3. 2000년대4.4. 2010년대4.5. 2020년대
4.5.1. 한국과 일본의 1인당 GDP를 넘어섰나? : GDP/임금 간 괴리
5. 중앙은행화폐6. 주요 산업7. 주요 기업8.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대만은 1950년대 이래로 2000년에 이르기까지 연 평균 8%의 경제성장을 이룩했으며 아시아의 네 마리 용 가운데 하나에 포함되며 괄목할 만한 경제성장을 이룩했다. 대한민국과 함께 후진국[1]에서 선진국으로 도약한 유이한 나라에 속한다.[2] 교육 수준이 높고, 전자반도체를 비롯한 제조업에서 강력한 경쟁력을 갖추고 있다.

2000년대부터는 성장률의 둔화가 이루어지기 시작하여 2010년대 이후로는 경제성장률이 3% 아래로 고착화되었고, 거기에 더해 리덩후이 집권말기인 1990년대 후반부터 차이잉원 집권기 이전인 2010년대 중반까지 경제성장률에 비해 임금상승률이 매우 낮았다.[3] 이 때문에 한국은 물론이고, 중국에게도 임금수준을 따라잡혀서 2020년대 와서는 베이징, 상하이, 선전 등 중국 1선급 도시와 큰 차이가 안나게 되었고, 대졸초봉도 대만은 135만 원, 중국은 114만 원으로 차이가 그렇게 크지 않다.[4] 이대로 가면 2020년대 후반에는 중국이 대만보다 초임수준이 높아질것이라는 말까지 나왔고, IT 등 고임금 직종은 이미 중국이 훨씬 급여수준이 높은 상황이다. 그나마 차이잉원 시대때 들면서 임금을 조금이라도 올리고 있고, 2020년대 들어서 중국이 코로나 19와 대졸자 과잉으로 몸살을 앓으면서 역전 예상시기가 늦어졌다. 하지만 임금을 올렸다고 많이 올린것도 아니다. 사실 중국 본토의 대기업 직원은 한국 대기업 만큼 벌어도 대부분의 중소기업 직원들은 월 100만 원대 받아도 감지덕지할 정도로 급여수준이 낮은데다가, 내륙부나 서부, 농촌지역에서는 아예 법정 최저임금보다도 못버는 경우도 흔하기 때문에 중국의 1인당 GDP가 대만의 1/3수준으로 나온다. 그럼에도 실질봉급은 큰 차이가 나지 않는다는 말이 나올 정도면 90년대 말부터 2010년대 초까지 임금동결정책의 폐해가 어느정도인지 알 수 있다는 평이다.

대만 경제 구조의 두드러지는 특징은 완제품을 자기 영업망으로 내놓아서 전면 경쟁하는 전방 산업이 매우 적고, 후방 산업이 중심이 되는 하청 강국인 점이다. 대만의 주요 제조업체들은 하청으로 큰 기업이고, 현재도 세계에서 파운드리 산업이 가장 거대한 국가 중 하나이다. 비슷하게 제조업이 대부분 하청으로 굴러가는 동남아시아가 외국 기업이 설계한 제품을 제조만 하는 OEM이 강세인 것과 달리 여기는 자체적으로 제품을 만들어서 상표만 원청업체 것으로 붙여 파는 ODM이 강세다. 그래서 하청이라고는 하지만 이 하청 산업을 유지하기 위한 기술력은 결코 약하지 않다. 대만보다 과학기술이 좋은 나라는 세계에 그리 많지 않다.# 반도체 올림픽에서도 상당한 강자인 편.

하지만 2020년대 들어서는 중국의 경제규모와 기술수준이 급성장하여 대륙의 실수로 일컬어지는 대만제에 비해 전혀 밀리지 않는 품질의 제품을 더욱 싼 가격으로 팔고 있어 하청 시장에서의 상당한 위협을 받고 있다.

흔히 대만에는 중소기업들이 많다고 알려져 있고 실제로 1980년대에는 중소기업들이 수출량의 상당부분을 점유했었다. 그러나 대만의 중소기업들이 점차 대기업이 되면서 현재는 하청 대기업 중심으로 흘러간다 보는 것이 정확하다. 그래서 대만의 경제를 두고 후방산업이라고 부른다.

1990년대 이전에는 국영 기업이 대만 전체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몹시 높았다. 각종 산업 부문에 국영 기업들이 자리를 잡고 있었으며, 민영 대기업이 성장하기 시작한 것은 1970년대 이후의 일로 반쯤 과장해 얘기하면 경제적으로 성공한 공산주의 국가라고 봐도 무방할 정도였다.[5] 지금도 이런 면이 꽤 있다. 예를 들어 대만의 맥주와 담배는 Taiwan Tabacco & Liquor Corporation라는 국영 기업이 독점 생산했다. 술과 담배를 국가에서 통제하는 나라는 많지만 선진국 반열에 든 국가에서는 매우 드물었다. 한국식으로 비유하자면 KT&G에서 술, 담배 등을 독점 생산하는 것으로, 현재는 주세법 등이 개정되면서 크래프트 맥주의 생산이 자유롭게 가능해졌다. 이러한 국영 기업으로 타이완전력, 타이완당업, 타이완중유, 타이완은행 등이 현재도 경제에 큰 부분을 차지하며, 민영화된 구 국영기업으로 TSMC, 중국강철, 중화텔레콤, 궈광객운, 자오펑은행 등이 있다.

2. 국민경제

제2차 세계 대전 직후 대만은 동아시아에서 일본에 이어 2번째로 1인당 GDP가 높았다. 다만 실제론 이건 통계적인 수치 뿐이었고, 1940년대 대만은 매년 급속한 물가상승에 시달렸고 국공내전에서 국민당이 참패하고 국민당 패잔병들과 중국 본토의 주민이 대거 대만에 정착하면서, 인구가 급증하여 주택부족에 시달리던 어려운 상황이었다. 그래도 산업시설은 대체로 파괴되지 않고 남아있었고 국공내전에서 패전한 국민당이 대만으로 국부천대를 하는 김에 중국 본토에서 긁어모은 금은보화들을 엄청나게 가져오고[6], 부유층들도 공산당을 피해서 같이 이주했기에 경제 성장의 기반이 될 만한 자본금이나 물적 인프라는 한국에 비해서 잘 남아있었다.

당시 국민당 정부에서 국공내전에서 패배한 경험을 상기하면서 대만에서 토지개혁을 대대적으로 단행했고, 물가통제를 위해 고금리 정책을 실행했는데, 일반적으로 고금리정책은 대출을 어렵게 만들어서 기업들의 투자를 감소시키는 효과를 가져오게 되지만, 대만에서는 물가가 안정되고 저축률도 크게 불어나면서 국부천대의 충격을 조기에 진화하는데 크나큰 공헌을 하게 된다. 또한 중국의 공산화와 6.25 전쟁으로 겁을 먹은 미국이 대만에게 막대한 경제원조를 단행함에 따라, 막대한 원조자금을 타낼 수 있었고, 1953년부터 경제 계획을 체계적으로 수립하면서 대만의 경제는 비약적으로 발전했으며, 농업 부문의 육성도 성공해 일찍부터 풍족한 식생활을 누릴 수 있게 되었다.

1955년 유엔 아시아극동위원회[7]가 발간한 '아시아 극동 경제 보고서'에 따르면 대만은 1948~1954년 연평균 12%의 경제성장률로 당시 아시아 지역에서 필리핀에 이어 2위였다. 다만 달러 기준 소득수준의 상승이 생각보다 더뎠는데 이는 두 차례씩이나 화폐 가치를 절하했기 때문이었다. 화폐 개혁을 단행하면서 처음에 환율을 5위안당 1달러로 지정했지만 2차례 절하를 거치면서 35위안당 1달러로 화폐가치가 떨어졌던 것. 이 때문에 실질성장률은 8%대에 달하는 수준이었음에도 생각보다 포텐이 터지지는 않았다.[8] 그러다가 1960년대 들어 미국이 원조금액을 감축하기 시작하자, 대만은 수출에 유리하게끔 환율제도를 개편하면서까지 수출산업을 적극적으로 육성하기 시작했고, 수출 장려정책은 큰 성과를 거두면서 1960년대에도 대만은 고도성장을 지속할 수 있었고, 비슷한 시기에 중국이 대약진 운동문화대혁명으로 2차례 씩이나 경제성과를 말아먹으며 세계 최빈국으로 전락함으로써[9] 중국과 소득격차가 본격적으로 벌어지기 시작했다.

1970년대에 중국이 상임이사국이 되고, 대만이 UN 상임이사국 자리에서 밀려난 것은 물론이고 UN에서 사실상 강제로 축출당하면서 대만의 국제적인 위상이 크게 저하되고, 오일쇼크까지 겹치면서 물가가 크게 상승하는 등 어려움을 겪었다. 대만은 이를 중간재 부품산업의 육성으로 돌파했고, 오일쇼크로 어려움이 있었지만 중화학공업 육성에도 성과를 올리면서 1960년 150달러에 불과했던 1인당 GDP가 1972년 528달러를 기록하며 500달러를 돌파했으며,[10] 1976년에 1159달러를 기록하며 1천 달러를 돌파하고 1980년에 2367달러를 기록하며 2천 달러에 도달했다. 1981년에는 처음으로 세계 평균[11]을 넘겼고, 1982년 칠레를 1인당 GDP에서 추월하는 성과를 올리기까지 하였다.[12] 그리고 1987년 5325달러를 기록하며 5천 달러를 돌파했고 1991년에는 9082달러를 기록하며 세계 평균[13]의 2배를 넘기게 되었고,[14] 1992년 10,716달러로 1인당 GDP 1만 달러를 돌파하며 사실상의 선진국 진입에 성공했으며, 1993년부터 1995년까지는 일시적으로나마 그리스를 추월하기에 이른다. GDP 규모 순위도 1992~2005년에는 세계 20위 안에 들어갈 정도로 높았다.[15]

이 경제성장의 결과로 대만은 아시아의 네 마리 용이라는 별명이 붙었으며, 한국보다 약 4~5년 정도 앞선 경제 수준을 가진 나라였기 때문에 한국에서 모범적인 경제성장을 이룩한 나라이자 따라잡아야 할 국가로 언급되는 나라 언급되었다. 실제로 대만은 이미 1975년 풀타임 컬러 방송을 시작하여 70년대에 컬러 TV가 일상적으로 보급되었고 자가용 보급도 한국보다 훨씬 앞선 시기에 이루어졌다. 참고로 1980년대와 90년대 초반까지의 대만 경제력이 어느 정도였나면 중국 대륙 전체의 40%에 해당되었을 수준이었다.[16][17]

1980년대 오일쇼크가 잠잠해진 이후로는 매년 안정적으로 경상수지 흑자를 기록했기 때문에[18] 외환보유고가 너무 많다보니 1990년대 초반에는 오히려 국가적인 단위에서 외화유출을 시도해보기까지 했으며 이렇게 쌓아올린 외환보유고로 1997년의 아시아 외환위기도 거뜬히 피했다.[19] 경제성장률도 6.1%(1997)에서 4.2%(1998)로 준 정도로 타 국가에 비해 굉장히 스무드하게 넘겼다. 그러나 IT버블 붕괴의 여파로 2001년에 처음 역성장(-1.4%)을 하게 되었고 이후로 성장세는 회복되었지만 계속되는 화폐가치 하락으로 말미암아 결국 2003년 미국 달러 기준 1인당 GDP가 처음으로 한국에게 역전당했다.[20] 2002년부터 2007년까지 대만은 연 5.7%대의 성장률을 유지했지만 도중에 반도체 기업들이 상당수 무너지면서 홍역을 앓았던 적이 있고 또한 대만 기업들의 대규모 중국 진출까지 겹치며 임금상승률은 침체되었고, 1998년부터 2006년까지 최저임금이 무려 10년 씩이나 동결되었는데 이로 인해 대만의 내수경제는 침체에 접어들었다. 또한 임금 억제 정책이 2010년대 중반까지도 지속되다보니 중국에게 인재를 빼앗기게 만드는 계기가 되는 등 엄청난 후유증을 앓았다. 경제 성장이 주춤해 1인당 GDP 2만 달러를 넘긴 것도 2010년(20,839달러)[21], 3만 달러를 넘긴 것도 2021년(33,186달러)였다. 참고자료

IMF의 기준으로 볼 때 대만이 선진국으로 분류된 것은 1997년이다.[22][23] 덤으로 아시아의 네 마리 용(한국, 싱가포르, 대만, 홍콩)은 2000년대까지는 국제적으로 선진국이 아닌 신흥공업국 최상위권 정도로만 인식되었다.

3. 특징과 장단점


파일:Median Wage as % of GDP per capita_대만.png
대만, 한국, 일본2010년대 1인당 GDP 대비 중위소득 #
2021년 기준 1인당 GDP/임금 비교
1인당 GDP[24] 1인당 GDP(PPP)[25] 평균 임금[26] 평균 임금(PPP)[27] 평균 임금/1인당 GDP
대만 US$ 33,775 US$ 62,526 US$ 23,947 US$ 43,948 71.0%
한국 US$ 34,801 US$ 48,577 US$ 38,699 US$ 53,566 111.2%
일본 US$ 39,339 US$ 44,738 US$ 34,819 US$ 38,912 88.5%
PPP로 환산한 대만의 1인당 GDP는 한국과 일본보다 높다. 이 값만 보면 대만의 생활 수준이 한국, 일본보다 높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정작 평균 임금은 GDP를 따라가지 못한다. 위의 표에서 볼 수 있듯 한국은 1인당 GDP보다도 많은 임금을 받고 있고 일본도 1인당 GDP의 88%에 달하는 임금을 받는 반면, 대만은 1인당 GDP 대비 평균 임금이 71%에 불과하다. 다만 한국은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격차가 크지 않은 일본, 대만과 달리 대기업이 중소기업 대비 67% 이상 높은 임금을 받고 있다.#

쉽게 말해 일본은 몇십 년째 상승 없이 정체된 임금이 문제인 거고 한국은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의 높은 임금 격차가 문제라면 대만은 대기업 중소기업 할 것 없이 임금이 너무 낮아서 문제인 것이다. 즉, 한국은 상대격차가 높고 대만은 그냥 절댓값 자체가 너무 낮다.

일례로 대만의 최저시급은 2023년 기준 월급은 26,400신 대만달러(원화로 약 117만 원), 시급은 176신 대만 달러(원화로 약 7,800원)이다.# 참고로 대한민국의 최저시급은 9,620원, 이를 월급으로 환산하면 201만 원이 조금 넘는다.

최저임금이 아니라 대졸자 급여를 비교하면 더 큰 차이가 벌어지는데 대만 노동부가 발표한 '2022년도 초임 인원 임금' 통계에서 2022년 12월 대만의 대졸 졸업자의 평균 급여는 3만1천 신 대만 달러(약 135만 원)로 집계됐다.# 이는 대한민국의 최저임금에도 한참 못 미치는 금액이다. 심지어 이마저도 2021년보다 5000신 대만 달러(약 22만 원) 증가한 수치이다. 대만에서 초봉이 가장 많은 의약·위생학 전공 학사 대졸자의 경우 3만8천신 대만 달러(약 165만 원)를 받고, 정보통신·과학기술 분야 석사 전공자가 6만신 대만 달러(약 261만 원)로 각각 조사됐다.[28]

쉽게 말해 대만의 4년제 대졸 졸업자의 평균임금이 한국의 최저임금에 한참 못 미치고 정보통신·과학기술 분야 석사 정도는 되어야 대한민국의 4년제 대졸 학사 졸업자 평균 급여와 비슷해지는 셈이다.

대만의 하청 대기업들은 해외의 고객사들의 수요에 절대적으로 의존하는 수동적인 산업 성향을 띄고 있다. 결국 이들 기업은 박리다매 효과를 노리며 원가 절감을 통한 마진 관리에 포커싱을 두기에 임금이 올라가기 힘든 구조다.[29] 이외 한국이나 일본처럼 대만 기업들도 중국이나 동남아시아로 경쟁력 유지(= 인건비 감축)를 위해 계속해서 빠져나가고 있는데 최첨단산업은 그나마 붙들고 있지만 나머지는 임금수준이 계속 정체될 수밖에 없다. 더불어 대만은 노조가 별로 활성화되지 않은 국가인데 중국과의 이념 대립 때문에 노동계급 정당이 발전하지 못했고 임금 인상을 요구해 줄 수 있는 정치 세력도 미약하다.관련 기사

다만 많은 외환보유고[30]와 금 보유량[31]으로 안정적인 경제를 이끌어가고 있다는 점은 대만 경제의 강점 중 하나라 할 수 있다.

대만 경제의 특이한 점으로는 GDP와 PPP의 큰 괴리가 대표적이다. GDP와 PPP가 두 배 가까이 차이가 나는데, 이는 세계적으로 드문 현상이다. 특히 1인당 명목 GDP 3만 달러 이상 국가 중에는 대만이 유일하다.[32] 이는 대만의 위태로운 국제정치적 지위로 신 대만 달러가 실제 구매력에 비해 굉장히 저평가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대만의 경우 명목 환율로 평가되는 것에 비해 국내 물가를 감안한 생활 수준이 높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이렇게 비정상적으로 저평가된 환율은 정작 자국민이 해외 물품을 살 때나, 해외여행을 할 때 불리하게 작용한다.[33]

이렇게 낮은 환율은 자국 기업의 보호막이 되어주며 또한 경상수지에 득이 된다는 장점이 있다. 외국인이 느끼기에 대만 제품은 굉장히 싸며, 한국제나 일본제 정도의 높은 신뢰도를 갖고 있다. 전술한 ODM으로 판매된 제품들은 꼼꼼히 뜯어보지 않으면 원청업체가 만들었다고 해도 믿을 정도의 퀄리티를 자랑하는 경우가 많다. 즉, 보통 원청업체는 고급형보다는 보급형을 ODM을 맡기는 경우가 많은데 소비자나 원청업체나 기대를 약간 낮춘다면 충분히 만족할만한 제품을 만든다는 뜻이 된다. 특히 PC 부품 관련해서는 대만이 상당한 인지도를 갖고 있으며, 실제로 전세계에 엄청난 PC 부품을 수출한다. 이는 수출 위주의 대만 경제의 유리한 점이기도 하지만 후술된 문제들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34]

하지만 반대로 대만 사람들은 외국 제품을 사려면 상당한 지출을 감수해야 한다. 그러다보니 이러한 현상은 자연히 국내산 선호 현상을 만든다. 결과적으로 수입액은 줄어들고, 수출액은 늘어나면서 경상수지 흑자를 자연히 보게 된다. 최근 원자재 가격 폭락으로 대만은 더욱 큰 경상수지 흑자를 보고 있다. 대만의 경상수지 흑자는 GDP의 10~15% 수준으로, 국제적으로 흑자가 과다하다고 비판을 받고 있는 한국(3~5%)이나 일본(2~4%)에 비해서도 현격히 높다. 한국이 대표적인 무역 중점 국가다 보니 경상수지 흑자는 항상 좋은 것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꽤 있지만, 과도한 경상수지 흑자는 교역재와 비교역재 부문 간의 소득 격차 발생으로 인한 성장 잠재성 침해, 과도한 외화보유고[35]로 인한 경제 전체의 비효율적 투자, 외국과의 분쟁 가능성 등의 문제가 있고, 이 중 상당수가 대만에서 오랜 기간 문제로서 작용하고 있다.

높은 부동산 가격도 문제로 타이베이의 집값은 서울과 비슷하지만 대만은 공공임대주택시스템이라도 갖추어져있는 홍콩과 싱가포르와는 달리 공공임대주택 시스템이 잘 갖추어지지 않았고, 이 때문에 체감 부동산 문제는 한국보다 더 심각하다. 또한 주택과 주차장을 동시에 제공하는 대한민국과 달리[36] 대만은 주차장을 별도로 매매해야 하며 주차를 원하는 경우는 따로 비싼 돈 주고 주차장 부지를 사야 하는데 주차장 매매가가 원화로 환산해서 한화로 억 단위까지 올라가는 경우도 있을 정도로 매우 비싸다. 배보다 배꼽이 더 큰 사태가 발생할 수도 있는 것. 물론 대만인은 세계적으로 가장 높은 85% 이상의 자가보유율을 보이지만 주택 문제가 심각해서 해결해야 할 사회문제가 되고 있다. 특히 대만의 주택은 대부분 장노년 세대가 가지고 있어서 청년들의 주택난이 한국의 청년 주택난보다 훨씬 심각하다. 대만은 결혼하고 나서도 신혼부부가 집을 구하기 전까지는 부부 양친 중 한 쪽의 집에서 거주하는 데릴사위/처가살이가 일반적이다. 한국은 일단 결혼을 기점으로 월세전세든 구해서 자식이 부모의 집에서 독립하는게 일반적이지만, 대만은 워낙 집값이 비싸고 전세 제도 자체가 없다보니 신혼부부가 독립을 못 할 지경이다.

4. 경제사

일본이 대만을 통치하기 전에는 그냥 변방 섬에 불과했기 때문에 별 관심을 못 받았다. 네덜란드 및 스페인점령시기에 동아시아 무역중개지로서 역할을 하였다.

4.1. 식민지 시기

타이완 섬은 청일전쟁에서 청이 패하면서 일본의 식민지가 되었다. 이곳을 점한 일본은 이 곳을 무역 거점으로 삼아 일본 - 동남아 - 인도 - 유럽을 연결하는 무역 창구로 활용하였다. 식민지 시기 초기에는 이러한 무역업 이외의 특별한 산업이 발달하지는 않았다.

1920년대 초중반 일본의 중화학 공업화가 진전되면서, 일본의 경공업이 타이완 섬으로 진출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타이완 섬은 일본의 식료 공업품이나 생활 필수품 등과 같은 경공업 제품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게 되었다. 주로 농업과 그중에서 특산품인 사탕수수를 재배하고 가공하는 산업이 특화되어 이를 위한 원료가공산업과 중소규모의 공장들이 많이 설립되었다. 이 과정에서 경공업 기반이 다져지게 되었으며, 이러한 경공업을 담당하던 기업들 상당수가 규모가 작은 기업들이었기 때문에 중소기업 위주의 산업 체계가 형성되었다.[37]

한편 30년대 말부터 일제의 대륙 침략이 본격화됨에 따라 타이완 섬의 산업이 재편되게 된다. 당시 조선은 만주와 중국 지역의 전쟁 수행에 필요한 군수품과 중화학 공업품을 집중적으로 생산하는 역할을 맡았고, 타이완은 중국 남부 지역과 동남아시아 지역 일부의 전쟁 수행에 필요한 군수품과 중화학 공업품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타이중 지역을 필두로 중화학 공업 단지가 조성되었으며, 여기서 생산된 제품은 광저우, 홍콩 지역을 통해 대륙으로 공급된다. 물론 이전 시기부터 담당해오던 경공업 제품의 공급은 이 시기에도 여전히 타이완 경제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4.2. 국부천대[38] 이후

일제 패망 이후 꿈도 희망도 없는 중국 국민당 정부가 타이완으로 옮겨오면서 타이완 섬은 중화민국으로 변화하게 되었다. 위에 설명한 것처럼 타이완 섬은 식민지배 시기 일방적 착취가 아닌 실질적인 발전을 동반했다고 여겨진다. 그리고 일제의 패망 이후에도 일제가 떠나면서 남겨둔 산업 시설이 상당수 잔존하였다. 또한 국민당 정부가 타이완 섬으로 옮겨오는 과정에서 중국의 수많은 기업가들이 타이완 섬으로 함께 오게 되었다.[39][40] 이러한 물적, 인적 자원의 결합에 따라 대만은 고속 성장을 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던 것이다. 1990년대까지의 대만의 고속 성장을 대만의 기적이라 일컫는다.

중국 대륙을 호령했던 청의 유산이 타이완 섬에 집중되었으며 일제가 남겨둔 산업 시설까지 있었으니 국가의 기반을 닦는데 있어 대만은 당시 전후 한반도 및 중국 본토의 국가들과는 입장 자체가 다를 수밖에 없었다. 중국은 뭐 군벌간의 내전, 중일전쟁, 국공내전으로 전국이 황폐화되었고 공산 정권 수립 이후에도 대약진운동, 문화대혁명으로 인해 사실상 국가가 마비되는 사태가 빚어지는 등 정세 안정화까지 반 세기 가까운 시간이 걸렸다. 한반도의 경우도 비슷했다. 북한의 경우에는 일제가 남겨둔 대규모의 중화학 산업 단지가 남아있었고, 1949년까지 일본인 기술인력이 억류되어 기술 전수가 이루어졌기 때문에 경제 발전의 기반이 어느 정도 닦여 있기는 했지만 6.25 전쟁을 거치면서 거의 전부가 폭격으로 잿더미가 되어 버렸고,[41] 남한의 경우에는 철저하게 농업, 경공업 위주로 산업구조가 짜여져있었고 중공업 시설들은 대부분 북한에 몰려있던탓에 무에서 유를 창조하는 과정을 거치지 않을 수 없었다. 몽골이야 소련이라는 든든한 뒷배가 있기는 하지만 땅은 넓은데 인구가 영토에 비해 너무나도 적기때문에 산업발전의 기반이 될만한 인프라 시설이 거하게 들어설 여지가 별로 없었고 천연자원 위주로 갈수밖에 없었다.

이러한 대내외적 환경의 유리함으로 대만의 경제는 빠른 속도로 성장하게 되었다. 또한 70년대 초반까지는 중국=중화민국이라는 공식이 통했기 때문에 국제 사회에서도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하였으며, 이 당시 벌어들인 외화로 미국과 서유럽의 무기를 마구 지르기까지 했었다.

1980년대 초반부터는 일본과의 외교 관계가 급속히 개선되면서 일본으로부터 첨단 공업 분야의 투자가 대대적으로 이루어지게 되었다. 초기에는 일본 기업의 하청을 받는 형식이었으나 점차 일본 자본에서 독립한 기업체들이 나타나게 되었다. 이 과정에서 대두된 기업들이 바로 TSMC, ASUS와 같은 세계적인 규모의 첨단 산업체들이다.

식민지기까지는 사탕수수[42]와 농업을 중심으로하는 가공 산업이나 경공업, 중소기업 위주의 경제구조를 갖췄기 때문에 중소기업 위주의 발전모델로 보는 경우가 있는데, 실제로는 1970~80년대 정부주도하에 중공업 육성이 이루어져 대자본과 대기업군이 형성되었다. 앞서 상술했듯이 그 때문에 대기업의 독과점 비중은 한국보다 높은 편이다.[43]

4.3. 2000년대

성장 가도를 달려오던 대만의 경제는 2000년대 이후 침체되고 있다. 1997년 동남아-동아시아 외환위기의 유탄은 여유롭게 넘어섰지만[44], 그 이후로 성장률이 점차 내려앉기 시작했다. 사실 성장률 자체는 2007년까지는 상당했지만 이미 90년대 말부터 임금수준이 동결되기 시작한데다가 특히 2001년에 IT버블 붕괴로 역성장하면서 임금이 동결되는 추세가 성장률과 관계 없이 굳혀지고 임금이 동결되는것과 관계 없이 집값은 고공행진하면서 체감적인 삶의 질이 떨어졌다. 결과적으로 이때 한국에게 임금수준도 따라잡히게 된다. 또한 성장률 자체는 한국에게 뒤지지 않았음에도 한국에게 1인당 국민소득을 추월당하게 된다. 1980년대 중반 이후 출산율이 2명아래로 떨어지고 이게 현재까지 이어져오면서 고령화가 급속도로 진전되고 세계 시장이 변화했기 때문이다. 또한 내부적으로는 독립 문제가 중국과 심각한 갈등을 유발하고 중국경제 의존 구조가 변하지 않으면서 내부 역량을 까먹는 요인이 되었다. 대만의 국가 경쟁력은 아직은 버티고 있지만, 현재의 상황이 이어진다면 머지 않아 일본과 비슷한 현상을 겪게 될 것으로 보이고 있다. 2008년 이후에는 중심이던 중소기업들이 줄줄히 도산되어, 대기업 위주로 산업 구조가 재편 중이다.

4.4. 2010년대

대만은 최근은 물론이고 고도성장기에도 물가가 안정세를 보였던 몇 안 되는 나라로[45] 달러 환산 소득은 한국보다 낮지만 PPP 기준 구매력은 한국에 비해 높다.[46][47] 또한, 기업은 도산했을지라도 제조업은 무너지지 않아, 일본의 제조업 경쟁력이 추락하는 사이 대만은 제자리를 지키고 있다.

다만 내부 인건비는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여서, 여전히 중소기업이 살아남기 힘든데 이러한 기업들이 대기업 위주로 재편되고, 그 대기업은 중국에 공장을 지어 저렴한 중국의 인력을 사용해 부가가치를 창출하고 있다. 즉, 제조업의 부가가치 창출 구조가 완전히 바뀐 것.

또한 임베디드 기기의 급격한 보급으로 대만 소재 회사에서 생산하는 관련 제품의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데, 과거 부속품이나 부품 산업에만 치중했다면 2010년대 들어서는 완성형 제품에 대한 공격적인 진출도 이루어지고 있다. 실제로 노트북과 넷북의 전 세계 생산량의 80% 이상이 대만에서 생산되고 인터넷 통신장비는 95% 이상이 대만산이다. 한국에서도 대만산 컴퓨터 부품에 대한 수요가 많아 트위치, 아프리카TV 등을 살펴보면 MSI, ASUS 등 대만 컴퓨터 부품업체들이 방송인들을 협찬하고 있다.

2015년부터는 대만 기업들이 본격적으로 해외기업 M&A 큰손으로 급부상하고 있다. 대만 국내시장의 침체와, 양안관계 악화 조짐으로 인해 대만 기업들부터 스스로 성장 동력을 밖에서 찾으려고 하는 것. 대한민국에서는 대만의 유안타그룹이 동양증권과 한신저축은행을 인수하여 유안타증권으로 재편했고,[48] 2016년에는 폭스콘의 훙하이 그룹이 샤프전자를 인수하며, 역으로 미쓰이물산과 싱가포르 트랜스팩 그룹이 대만의 홈쇼핑 회사를, 한국의 네이버가 대만의 핀테크기업을 인수하여 라인페이를 만드는 등의 역할도 하고 있다.

한편, 대만의 재정당국의 정책 능력 역시 대만의 경제를 유지하는 중요한 축이다. 대만의 재정당국은 필요할 때 외화와 보유한 금을 사고팔며, 외부의 영향으로 부터 재정적 방어를 하는 능력이 아주 탁월한데, 글로벌 금융위기 때도 금 매도와 매입을 지속하며 오히려 이득을 보았다. 이는 외환시장과 주식시장에 어설프게 개입했다 욕만 진탕 먹고 유감표명을 하는 중국과는 완전히 다른 모습이다.

이전의 1997년 ~ 1998년 아시아 금융위기(한국의 외환위기가 된) 때에도 태국인도네시아말레이시아대한민국러시아까지 쓰러지는 와중에 대만만 자기네 금 보유고를 줄이고, 외환보유액에서 미국 달러독일 마르크의 비중을 조정하는 방식으로 유유히 위기를 넘겼다. 이런 단기적 금융 리스크 관리에서는 대만이 영국과 동급의 Top-Level 리스크 관리능력을 인정받고 있다. 영국은 조지 소로스한테 한번 털렸지만 대만은 이런 적도 없다.2018년 8월 8일 공식적으로 TPP 가입협상 개시를 선언했다. 기사

2019년 6월 6일, 중화민국중앙은행양진룽 총재가 1999년 이후 20년만에 외환보유액을 이용해 외환시장에 개입을 했다고 밝혔다. 미국-중국 무역 전쟁의 격화로 인해, 대만에서 유출되는 외국자본이 많아 신 대만 달러의 가치를 안정시키기 위해 불태화 정책을 시행했다고 인정한 것이다. 기사

4.5. 2020년대

2020년 발표로 대만의 대(對)중국 수출이 2016년 이후 3년 만에 처음으로 감소했다.#

미중 무역전쟁에 이은 코로나19 등의 여파로 중국 대신 대만을 투자처로 택하는 대만 기업들이 대폭 늘고 있다.#

2020년 9월 22일 차이잉원 정부에서 적극적으로 대만 기업들의 유턴을 독려하면서, 중국에 진출했던 대만 기업들이 중국 투자 계획을 철회하고 대만으로 복귀하고 있다. 기사

무디스가 처음으로 공개 발표한 국가별 ESG 신용영향점수 보고서에서 대만은 중립적(Neutral-to-Low) 등급을 받았다. 경쟁 관계로 여겨지는 한국은 긍정적(Positive) 등급을 받았으며, 이웃한 중국은 다소 부정적(Moderately Negative), 대만과 외교 관계가 좋은 일본 역시 다소 부정적 등급을 받았다. 로이터통신의 보도에 따르면 ESG 신용영향점수와 국가별 신용등급은 상관계수 0.87의 상관관계가 있다고 한다.#

코로나-19 방역에 엄청난 성공을 거두게 되면서, 다른 나라가 비실비실하는 가운데 GDP 성장률 3.1%를 기록, 경제성장률 기준으로 30년만에 중국을 이겼다. 다만 그와 별개로 차이잉원 총통의 지지율은 7월 45%에서 12월 35%로 10%p 폭락하는 아이러니가 발생했는데 그 이유는 경제성장률 자체는 견조했으나 체감 경제는 불황이었기 때문이다.[49]#1#2

그리고 역설적으로 대만 경제의 대중국 의존도는 지난 10년 대비 가장 높은 42.3%를 기록했다. 대만과 중국 본토 관계(양안관계)가 좋지 않은데다 차이잉원 총통이 인도와 아세안 국가들을 포용해 대중국 의존도를 줄이려고 하고 있지만, 정작 차이잉원의 바람과는 반대로 대만의 중국 본토에 대한 경제 의존도는 더더욱 높아졌다. 이에 대해 우이 중국사회과학원대만연구소 연구원은 "중국 본토와 대만 간 산업 공급체인이 견고해 완전한 구조 변화가 어렵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진단했다.[50]

이후 2021년 4월에 미국 재무부가 대만을 환율조작국으로 지정할 가능성이 있어 대만 달러가 장중하락했다. 만약 대만이 환율조작국으로 지정된다면 고율관세가 부과되는 슈퍼 301조 대상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반면 대만과 대립관계인 중국은 환율조작국에서 제외한다고 재닛 옐런 재무부장관이 밝혔다. 몇몇 전문가들은 미국이 대만과의 관계 강화를 추진하는 와중에 환율조작국으로 지정할 경우 부작용이 있을 수 있다고 말하지만, 바이든 정부가 원칙을 중시하기에 그대로 지정될 수 있다는 의견도 적지 않다. 차이잉원 뒷목잡는 소리 들린다 4월 16일, 보고서가 발표되었고, 대만은 베트남 및 스위스와 함께 환율조작국의 지위에 준하는 심층분석대상국으로 지정되었다. 이 또한 동아시아에서는 유일하다. 한국, 중국, 일본, 인도, 태국, 싱가포르 등은 관찰대상국으로 그대로 유지되었다.#

2021년 4월 30일, 2021년 1/4분기 경제성장률이 3.09%라는 높은 수치로 나타났다. 10년 만의 최고치. # 이는 2020년 1/4분기에 다소 성장률이 낮아진 데 따른 기저효과가 있었을 뿐더러 반도체를 중심으로 한 전자산업의 호황이 겹친 결과로 볼 수 있다. 다만 2020년의 경제 상황이 다른 나라보다 양호했던 것의 반대급부로 기저효과에 의한 성장률은 비교적 낮으며,[51] 향후 예측은 위 출처(tradingeconomics.com)에서도 그리 좋지는 않다. 게다가 설상가상으로 뒤늦은 코로나19 유행을 맞이하면서 경제적 타격을 맞이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2021년 3월 기준 대만의 대중국 수출의존도는 무려 44.3%를 기록했다.[52] 차이잉원 총통이 어떻게든 대중국 수출의존도를 낮추려고 안간힘을 쓰고 있지만, 외려 더 높아지는 양상이다. 대만과 중국은 같은 언어를 쓰고, 문화 차이가 적다 보니 대만의 하청 기업들이 중국에 공장을 차리는 일이 반복되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과 일본은 언어 장벽이 있지만 대만과 중국은 언어장벽이 없고 문화 장벽이 낮다 보니 시진핑의 등장으로 중국에서의 경영 환경이 나빠지더라도 중국으로 가는 것이 이득이다. 실제로 국제경영을 할 때 진출지로는 언어장벽이 없고 문화 장벽이 낮은 곳으로 기업이 몰리기 마련이다.

2021년 12월 대만의 경제연구소는 2022년에 한국의 1인당 GNI를 추월할 것이라는 주장을 펼쳤다. # ADB는 2021년 대만의 경제성장률을 6.2%로 전망했다. # 그리고 2022년 4월 IMF가 발표한 1인당 명목 GDP 순위에서 대만은 한국을 1057달러 차이로 역전했다.

차이잉원 행정부는 12월 펼쳐진 국민투표에서도 본인들이 원한대로 모두 4개 안건 부결의 결과를 얻었다. 미국과의 FTA 추진도 탄력이 붙었다는 평가가 나왔다. #

2022년 1월 27일 중화민국 주계총처는 2021년의 경제성장률이 6.28%라고 공식 발표했다. 2010년 이래 11년만의 높은 성장률을 보였다. 시장 예상 중앙치는 6.09%였는데 실제로는 이를 0.19% 포인트 웃돌았고 4월 말 터진 승무원 발 코로나 19 감염 사태도 정부의 강한 방역으로 다시 확진자 0명을 기록하며 전염병 차단에 성공하면서 4분기 민간 소비가 1.66% 증가했다.

그러나, 2022년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을 기점으로 발효된 2022년 대러시아 경제제재에서, 대만은 TSMC가 제재에 동참하는 등 규제에 적극적으로 참여했음에도 미국 상무부의 해외직접생산품규칙(FDPR) 규제 대상에 포함되어 향후 경제에 어느 정도 악재가 될 것으로 보인다. 이는 만약 대만이 미국 상무부가 고시한 기술을 사용한 제품을 특정 국가에 수출하려면 미국 상무부의 심사가 추가적으로 필요하다는 뜻이다.

거기에다가 설상가상으로, 대만이 IPEF 참여를 강력히 희망했지만 미국이 사실상 이를 거부했다. 일단 대만은 국제법상으로 주권국도 아닌 데다가, 대만 내 친중파에 의해 IPEF 참여국의 최첨단 기술이나 인력 등이 중국으로 유출될 가능성, 그리고 파운드리 시장에서 반쯤 TSMC가 독점하고 있는 상황에 대해 세계 시장 주도권을 자국 기업들이 이끄는 것을 원하는 미국이 원치 않기 때문이다.

4.5.1. 한국과 일본의 1인당 GDP를 넘어섰나? : GDP/임금 간 괴리

2022년 10월 대만의 1인당 GDP는 한국과 일본을 추월해버렸다. 먼저 한국과 일본의 1인당 GDP가 대만에게 추월당한 이유를 알아보자면,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만 입장에서는 이런 흐름이 계속 이어질지 확신할 수 없는데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또한 대부분의 대만인들은 추월 소식에 기뻐하기는 커녕 "대만 내 저임금 문제부터 해결하라" 등의 냉소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는 고질적인 대만의 저임금 문제 때문으로, 수치상으로 1인당 GDP가 아무리 높아진다고 한들 평균 임금이 오르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즉 1인당 GDP라는 명목상의 수치 자체는 오르고 있지만, 이것이 실질적으로 대만인들에게 크게 체감되지 않는다는 것. 중화권의 시사 소식을 제공하는 대만 언론 '더 뉴스 렌즈'는 "대만의 1인당 GDP가 한국과 일본을 따라잡는다는 건 기쁘지 않다'' 라고 하며 그 이유로 "여전히 우리의 기본 급여가 두 나라보다 훨씬 뒤떨어져 있기 때문"이라고 비판했다. 이에 의하면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The News lens 기사

다시 말해 대만에서는 GDP 중에서 노동으로 환원되는 양이 점점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더 뉴스 렌즈'는 이에 대해 "노동자들이 여전히 임금 정체에 직면해있는데 1인당 GDP 증가가 의미가 있나?"라고 비판하고 있는 것이다.[54]

대만 언론 <중국시보>는 지난해 12월 17일 “그게 무슨 소용이냐. 전부 반도체 업계가 버는 돈이다. 다른 업계는 죽겠다”, “한국 대졸자의 초봉 평균이 90,000 대만달러(3,860만 원)라고 한다. 우리는 한국의 3분의 1도 안된다”고 불만을 터트렸다는 소식을 전하기도 했다.

결국 5월 13일, 대만 중앙은행 총재가 "올해 경제성장률 4%는 쉽지 않다"는 예측을 내놓음에 따라 저 IMF의 예측 역시 고꾸라질 가능성이 높아졌으며 결국 2022년 대만의 경제성장률은 3.06%로 겨우 3%을 지키는 수준이었다.

결정적으로 2022년 대만 지방공직인원 선거에서 여당인 민진당이 압도적으로 패하며 겉으로 내세운 가시경제와 달리 민생경제가 전혀 좋지 못했음을 증명하였다.

2022년 12월 15일, 니혼게이자이 일본경제연구센터에서는 2023년 대만의 1인당 GDP는 다시 한국에게 추월되며 그 이후 격차는 점점 더 벌어질 것이라고 전망하였다.#

결국 2023년 4월 기준, 대만의 1인당 GDP는 33,907달러로 일본[55]에 재역전당했으며, 2023년 10월 기준에서는 대만의 1인당 GDP는 32,339달러로 일본에 이어 대한민국[56]에게도 재역전을 당했다. 2024년엔 대만이 다시 한국과 일본에 약간 앞섰다가 24년 10월에는 다시 한국이 대만과 일본을 추월했다. 다만 IMF의 통계 수정으로 대만은 한국의 1인당 GDP를 추월한 적이 없는 것으로 수정되었고, 일본은 한국에게 올해 추월된 것으로 바뀌었다. 향후 몇 년간 한국, 일본, 대만 3국의 1인당 GDP 예상 추이를 보면 앞으로도 '누가 어딜 역전했다'가 의미가 없을 정도로 서로 붙어다닐 가능성이 높으며, 해가 지날때마다 그때 그때 순위가 뒤바뀔 가능성이 높다.

5. 중앙은행화폐

6. 주요 산업

파일:external/backup2.we-convince.com/MIT.jpg
MIT: Made in Taiwan

6.1. 전자

대만은 전자 산업이 발달하고 각종 컴퓨터 부품 회사들이 활동하고 있다. 특히 메인보드 시장은 대만 소재 회사들이 꽉 잡고 있는데, ASUS, GIGABYTE, MSI 등 3대 메이저는 물론, ASRock, BIOSTAR, ECS, Foxconn, Jetway 등등이 모두 대만 소재 회사다. 그 외에도 ACER, BenQ, 라이트온, HTC를 비롯한 수많은 하드웨어 제조사들이 있다.[57] 또한 NAS로 유명한 Synology와 QNAP도 대만 회사이다. 스크롤 휠이 탑재된 마우스를 최초로 상용화한 KYE systems도 대만 회사이다.

위탁생산(EMS)의 경우 Apple의 iPhone 위탁생산 및 세계 최대 전자제품 OEM 기업으로 유명한 Foxconn이 대표적이다. 그 외에도 페가트론, 위스트론,[58] 컴팔, 콴타 컴퓨터 등이 있으며 전 세계 노트북 컴퓨터의 80% 이상을 이들이 제조한다. 이들 기업 모두 대만 본토 생산은 진작에 접은 지 오래이며, 중국의 공장에서 제조하고 있다. 인건비 절감으로 대표되는 경영효율화 말고는 승부할 게 마땅치 않은 분야이다 보니 공장 노동자를 사람 취급하지 않는 블랙기업이 대다수다. 2020년대에 들어서는 중국의 임금과 노동환경 수준이 점차 올라가면서 이들도 베트남, 인도 등 인건비가 더 저렴한 지역으로 공장을 다시 옮기는 추세다.

단점이라면 전자 ODM 사업은 노동집약적인 측면이 강하기 때문에, 대만의 또 다른 축인 반도체에 비하면 매출 대비 마진율이 매우 낮다 보니, 생각보다 부가가치가 낮다는 점이다. 때문에 3대 메인보드 기업들의 매출이나 영업이익 규모도 생각보다 작은 편이고 당연히 시가총액도 작다.[59]

6.2. 반도체

TSMC는 대만증권거래소 전체 시가총액의 30% 이상을 홀로 책임지고 있으며, 매출과 영업이익 기준 반도체 기업 전체 1위 자리를 지키고 있다.[60] 파운드리 업계 점유율 과반 이상을 독점하고 있는 선두 업체다. NVIDIAApple Silicon 등 전세계 팹리스 업체들의 최첨단 로직 칩은 TSMC의 미세공정을 통해 탄생한다. TSMC 외에 UMC 또한 주요 업체로 뽑힌다.

사실 파운드리 산업은 초창기에는 지금만큼의 중요성이 부각되던 것은 아니다. 물론 과거에도 의외의 알짜이긴 했지만, 일종의 하청업체가 하는 부수적인 산업 취급이었을 뿐이며, 전체 반도체 산업에 있어 IDM이 대세였던지라 말그대로 대단한 산업은 아니었다. 애당초 반도체 강국이던 미국, 한국, 일본 등도 한동안 크게 신경쓰지 않던 분야다. 다들 이정도로 먹을 게 많은 산업이 될 줄은 몰랐지... 그래도 지속적으로 견실하게 산업이 성장해왔고, 특히 2010년대 들어서 스마트폰 대중화와 함께 애플을 위시한 팹리스 기업들의 주문들이 폭증하며 그야말로 현금을 쓸어담기 시작한다.

파운드리 외에도 MediaTekRealtek은 대표적인 팹리스 기업이다. 지금은 AMD에 합병된 라데온 시리즈로 유명한 ATI도 대만인이 만든 회사이다.

VIA의 경우 1990년대 말에 인텔의 실수를 틈타 맹공격을 퍼부었던 회사다.[61] 하지만 인텔이 제동을 걸면서 현재는 위세가 줄어들었다.

최근에는 반도체 산업에서 중국이 급부상함에 따라 고민이 커지고 있다. 중국이 반도체 산업을 육성하면서 대만의 기술자들을 고임금으로 대거 끌어들이고 있기 때문이다. 앞서 언급한 이유로 대만의 임금은 오랜 기간동안 정체를 겪다보니 중국에서 대만보다 높은 연봉을 제시해주는 것도 가능하고, 한국의 반도체 산업을 시작한 기술자들이 그렇듯 "중국에서 반도체 시작해서 잘 되면 거대 시장을 선점할 수 있다"는 생각도 한몫 한다. '대만과 중국의 반도체 대부’로 불리는 장루징(張汝京)[62]이 이끄는 칭다오 신언그룹(芯恩集團)도 대만 반도체 인력을 대거 흡수해, 1/3 이상의 인력이 대만 엔지니어로 구성돼 있다. 최근 중국에서 주가를 올리고 있는 량멍쑹 삼성전자 전 부사장도 대만 출신 과학기술자이다.

6.3. 디스플레이

디스플레이 산업의 주요 생산국가 중 하나로 홍하이 그룹의 계열사인 이노룩스나 에이서의 자회사로 시작한 AUO 등이 있다. 최근 몇 년간 각국 LCD 산업의 치킨 레이스로 2011년 대부분의 회사가 적자로 허덕이고 있으며 이를 극복하기 위해 샤프-홍하이[63], 소니-AUO 처럼 일본 업체와 손을 잡고 있다.

6.4. IT

소프트웨어 회사들 중에서는 컴퓨터용 DVD/블루레이 재생 프로그램인 PowerDVD로 잘 알려진 사이버링크(Cyberlink)가 유명하다. 사이버링크는 2010년대 들어서 네로 버닝 롬코렐의 이지CD 크리에이터같은 기존의 레코딩 프로그램을 강력하게 위협하는 Power2Go를 내놓아 확대하고 있으며, 2015년 현재 CD/DVD/블루레이 라이터를 사면 대부분 별 말 없으면 파워투고를 번들 레코딩 프로그램으로 제공하고 있다.

6.5. 금융

반도체 및 전자 ODM과 더불어 대만의 경제를 이끄는 주요 산업이다. 대한민국과 마찬가지로 내수가 빈약하고 수출 주도형 국가인데도 불구하고, 대만은 금융업의 경쟁력이 굉장히 높은 편이다. 그러나 최근 메가뱅크의 부재가 문제점으로 지적되는 중.

지방의 작은 손해보험사로 출발해 초대형 종합금융그룹으로 성장한 푸본금융그룹, 대한민국의 동양증권을 인수하여 유안타증권을 만든 유안타금융그룹, 증권사로 출발해 중화권 전체 최대 투자은행이었던 타이신금융그룹 등이 유명하다. 국내 은행으로는 타이완은행이 입지가 탄탄하다. 대만제1금융권 시중은행은 미국의 시중은행과 비슷해 지방 별로 대형은행과 중소형 은행들이 난립한 구조를 띄고 있다. 지방은행이 상당히 많다.

이 중 푸본금융그룹은 골프테니스를 좋아한다면 반드시 듣게 될 이름인데, 골프, 테니스 분야에서 메이저 세계 선수권 대회의 주 후원사이다. 푸본그룹은 2019년 현재 푸본현대생명으로 한국에도 진출했다.

대만증권거래소타이베이 101 내에 입주해 있다. TSMC의 존재로 인해 유가증권거래소보다 오히려 규모가 크다.[64]

6.6. 오토바이 / 자동차

일본과 아주 유사하다. 동남아시아 국가들에서 오토바이가 국민 교통수단으로 이용된다는 점은 모두가 잘 알고 있고, 대만도 오토바이 분야에서는 무시 못 할 노하우를 가진 국가다. 최근 국내에도 폭풍같이 쏟아져 들어오는 SYM, KYMCO 바이크들이 바로 대만 출신이다. 다만 대만에선 스쿠터가 전체의 90퍼센트 이상을 차지하고 레플리카나 네이키드 같은 건 찾아보기 어렵다. 대만도 운전면허가 한국처럼 1종 보통에 해당하는 면허를 따면 125cc 미만 스쿠터에 대해 따로 면허를 딸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자동차 산업은 오랫동안 독자 브랜드가 존재하지 않았으며 해외 브랜드(주로 포드, 닛산 등) 차량의 OEM 생산과 부품 산업이 주를 이룬다. 2019년 현재 대만 최대 자동차 제조 기업은 1947년 설립된 화태기차(和泰汽車, Hotai motor) 그룹으로 도요타 자동차의 OEM생산을 하고 있다. 도요타 뿐만 아니라 일본 브랜드의 자동차가 OEM방식으로 제조/판매되고 있다. 택시의 대부분은 토요타 코롤라일 정도(참고로 일본 택시는 모두 '크라운' 이다). 2009년 닛산 자동차 OEM 생산 기업인 위룽(Yulon)그룹이 최초의 고유모델 자동차 브랜드인 럭스젠(Luxgen)을 런칭했다.[65]

6.7. 자전거

일본시마노를 바탕으로 구동계 시장을 장악했다면, 대만은 프레임시장의 절대강자이다.

오토바이처럼 자전거 업계도 대만계 회사가 휘어잡고있다. 가장 큰 생산기업으로는 자이언트, 그 뒤로 메리다가 있으며 유럽, 미국 자전거 회사도 극소수의 상위 모델만 자국에서 생산하고 나머지 생산은 위 기업들에게 맡긴다. 이 두 기업에서 전 세계 자전거 프레임의 60% 가량을 생산하며, 그 중 90% 가량을 자이언트에서 생산할 정도로 독보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니 말 다했다. 대한민국, 일본, 중국 등 인접국들과 경쟁하며 쌓아올린 알루미늄 금형 및 탄소섬유 제작기술 덕에 품질 역시 매우 뛰어난 축에 속한다. 한국의 고가 브랜드인 첼로메리다에서 만들고 있다.[66] 특히 이 두 기업 모두 단순히 OEM만 하는게 아니라 자사 브랜드로도 자전거를 판매하고 있는데, 워낙 규모가 크다보니 국내에서의 부품 수급이 용이하고 가격 역시 매우 저렴한 축에 속한다.

6.8. MICE

파일:P60530-111314__2_.0.0.jpg
컴퓨텍스 타이베이

타이베이 세계무역센터에서 하는 컴퓨텍스 타이베이중화민국을 대표하는 대규모 산업 전시회이다. 컴퓨텍스 타이베이는 아시아 최대의 IT 분야 전시회로 성장했다. 중화민국 국가 영상에도 나온다.

행사는 좋은 걸 키웠지만 정작 전시장은 매우 부족하다. 난강전람관2019년 드디어 확장해서 75,600㎡이 되었으나 한국KINTEX(108,556㎡)보다 작다. 타이베이 세계무역센터서울특별시COEX와 비슷한 규모이다. 그 외에 가오슝전람관, 타이중국제전람관 등이 대표적인 전시장이다.

6.9. 공구 / 장비

SnapOn 브랜드 안에 있는 BluePoint의 라칫과 소켓 등도 대만에서 만들어지며 밀워키의 전동공구,드릴 등과 스텐리(블랙엔데커)와 DeWalt의 공구들도 대만에서 만들어진다. 이밖의 대형 공구업체의 산하 브랜드 (Genius tools, Seattle Tools, Work pro, JH William, Gray Tools, Husky) 제조공장이 많이 위치해 있다. 국제적인 브랜드의 공구들은 십중팔구 대만에서 제조된 것들이다. 이외에도 각종 제조업체의 산업용 책상이나 도구들중에는 대만에서 만들어진 것들이 많다.

7. 주요 기업

순위 기업 시가 총액
(USD)
산업
1 TSMC 5,318억 반도체
2 MediaTek 506억 반도체
3 Foxconn 449억 전자
4 중화전신 294억 IT
5 푸본 파이낸셜 270억 금융
6 Delta 260억 전자
7 포모사 그룹 255억 화학
8 콴타 250억 전자
9 캐세이 파이낸셜 215억 금융
10 UMC 203억 반도체
2023년 12월 기준

8. 관련 문서


[1] 정확히는 1인당 GDP가 세계 평균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국가[2] 홍콩싱가포르는 1960년 세계은행 통계 기준 이미 세계 평균과 별 차이가 없었고, 경제성장이 한국 버금갔던 보츠와나(다이아몬드 매장량 세계 2위 국가)는 인구 증가를 감안하더라도 아직도 중진국 하위권 신세다. 산유국은 논외.[3] 특히 리덩후이 말기부터 천수이볜 시기까지 2001년도를 제외하면 연 평균 5% 가량의 경제성장률을 기록했으나 해당기간 동안 임금은 사실상 오르지 않고 동결되었다. 이 때문에 2000년대 초까지만 해도 한국과 대만의 임금수준은 비슷한 수준이었지만 2020년 기준으로는 한국이 월등하게 앞서게 되었고, 일본과의 임금격차도 비슷하게 유지되었다.[4] 또한 중국 내 대기업들이 대만의 기업들보다 훨씬 더 많은 봉급을 주며 대만의 인력을 유혹하기까지 하고 있는 실정인데, 비단 대만 뿐만 아니라 중국에서 제조업이나 IT 분야의 고급 인력은 실리콘밸리에 손색이 없는 고임금을 주고 있으며 이 때문에 대한민국이나 일본의 인력도 대거 스카우트되고 있다. 다만 언어나 문화 관계상 대만만큼 직격탄을 맞는 나라가 없는 것은 분명하다.[5] '성공한 공산주의' 딱지는 원래 싱가포르에 붙던 것인데, 싱가포르는 국유 투자회사인 테마섹의 영향력이 강해서 그렇지 그 소속 기업이 국영기업의 행태를 보이거나 심지어 전매 등 특권을 갖지는 않았다. 이런 면에서는 과거의 대만이 더욱 '공산주의'적이라고 볼 수도 있다. 사실 국가주도 경제개발을 소련이 시작하고, 일본이 만주국에 이식하고, 한국과 대만 등이 이를 따라했으니...[6] 당장 국립고궁박물원의 보물들이 이 때 대만으로 옮겨졌다.[7] Economic Commission for Asia and the Far East(ECAFE)[8] 1951년 기준으로 151달러였던 것이 1960년에는 154달러였다.[9] 중국이 최빈국을 벗어난 것은 2000년대 초에 이르러서였다.[10] 바로 전 해인 1971년에는 450달러로 세계 평균(879달러)의 절반을 처음으로 넘겼다.[11] 2594달러[12] 칠레의 경우에는 1982년 남미 외채위기의 여파로 1985년까지 1인당 GDP가 절반 수준으로 떨어지는 불황기를 보였고 피노체트 정권이 끝났을 때인 1989년 기준으로 대만은 물론이고 한국의 절반에도 못미치는 1인당 GDP 수준을 보였다.[13] 4304달러[14] 1인당 GDP가 세계 평균의 절반에서 세계 평균의 2배를 달성하기까지 걸린 시간이 고작 20년밖에 되지 않았다. 참고로 한국은 전술한 기록을 달성하는 데에 IMF 외환위기를 논외로 치면 대만보다도 빠른 18년(1976 -> 1994), IMF 외환위기까지 고려하면 24년(1976 -> 2000)이 걸렸다.[15] 보통 19~20위를 맴도는 수준이었으나 1999~2000년에는 세계 17위를 기록하기도 했다![16] 중국 기준에서 일개 대도시인 홍콩의 경제력이 중국 전체 경제력의 1/4에 달했을 시절도 있었다.(1993년) 외환위기 직전 전성기 대한민국의 경제규모는 중국의 90%에 달했다.[17] 물론 이는 중국이 대약진 운동문화대혁명으로 국가 잠재력을 깎아먹은 것의 영향이 매우 크다.[18] 한국은 1985년 이전에는 만성적인 경상수지 적자를 기록했으며 1986년부터 1989년까지 3저 호황으로 경상수지 흑자액이 일시적으로 100억 달러대까지 도달한 적이 있었지만 3저 호황의 여파가 간 이후부터는 다시금 경상수지가 적자로 전환해서 1997년 외환위기 이전까지는 경상수지가 매년 적자를 기록했다. 그리고 이렇게 경상수지 적자가 누적되면서 대만에 비해 경제운용에 있어서 안정성이 떨어질 수밖에 없었고 이는 IMF 외환위기의 한 원인이 되었다.[19] 대만,외환보유고 세계 최고[20] IMF 통계에 따르면 2003년 한국과 대만의 1인당 명목 GDP는 각각 $14,210, $14,080였다.[21] 대침체 시기인 2009년 경제성장률이 -1.6%을 기록한 것의 영향도 있다.[22] 어디까지나 최소한의 조건이다. 사실 대한민국도 제대로 선진국으로 인식된 시기는 2010년대 이후이지만, 대만과 동일하게 IMF 기준으로는 1997년에 이미 선진국으로 분류되었고 실질적으로는 2000년대 초반부터 이미 선진국 대열이었다. 참고로 일본은 1968년부터 선진국이었으며, 싱가포르도 1980년대에 선진국으로 넘어갔다.[23] 이 당시 대만인들도 1인당 국민소득이 대만의 1/10 이하에 불과했던 중국 본토와 비교하면서 경제적 우월감에 도취되었기는 했어도, 홍콩과 싱가포르에 비하면 소득수준이 많이 뒤쳐졌던지라 대만을 선진개도국이라고 생각했지, 자국을 선진국으로 생각한것은 아니었다. 한국이 선진국 진입 초기인 2000년대에 자신들을 일본이랑 비교하면서 한국이 중진국에 불과하다고 여긴 것을 생각하면 이해하기 쉽다.[24] 2022년 4월 IMF - GDP[25] 2022년 4월 IMF - GDP[26] Ceicdata[27] 2021년 10월 IMF - PPP 환율[28] 참고로 대한민국은 2021년 기준으로 학사 대졸자들의 월 평균 초임 급여는 256만2000원인 것으로 집계된다. # 이를 연봉으로 환산하면 약 3074만 원 수준이다.[29] 한국의 경우 B2C 대기업 제조업체들은 높은 시장 장악력과 계열사 수혈 등을 통해 내수 하청업체들에게 들어갈 비용을 최대한 절감하며 효과가 좋든 나쁘든, 낙수효과를 만들 수 있는 구조이다. 반면 대만은 대기업들조차도 외국계 기업의 하청이라 낙수효과를 기대조차 할 수 없는 상황이다.[30] 6위. #[31] 12위. #[32] 1인당 GDP가 낮을수록 명목 GDP와 PPP와의 차이는 벌어지는 경향이 있다. 개발도상국의 경우 PPP 적용 1인당 GDP가 명목 기준의 2, 3배를 넘는 경우도 많은 반면, 스위스 등 최상위 선진국들은 오히려 PPP보다 명목 GDP가 더 높게 나타난다. 하지만 1인당 GDP가 3만 달러를 넘는 국가들 중 대만처럼 PPP와 GDP 차이가 크게 나타나는 국가는 극히 드물다는 점에서 대만은 예외 케이스에 해당된다.[33] 또 반대로 외국인들이 관광하기에 굉장히 좋다는 뜻도 된다. 대만의 물가는 대만 사람들이 느끼기에는 고만고만한 수준이겠지만, 외국인들이 자기네 통화로 환산했을 경우에는 무척이나 저렴해진다. 예를 들어, 대형 마트에서 코카콜라 1.8L 1개가 40 대만 달러(약 1,500원)로 거래된다. 한국에서는 같은 제품이 2,980원이며, 1,500원이면 500ml 짜리 정도 살 수 있다. 이는 중동의 레바논과 비슷한 수준의 물가이다. 사실 너무 저평가가 되어 있기 때문에 중국 본토의 눈치만 없다면 무역업에서 꽤나 차익을 남길 수 있는 상품들이 많다. 다만 실제로는 소매상들이라면 몰라도 규모가 있는 기업(특히 중국 본토에 공장이 없는 기업) 입장에서는 무슨 일이 일어날 줄 모르니 자제하는 게 좋다.[34] 싸고 품질이 좋다는 것은 기업의 관점에서는 수익이 낮다는 뜻이고, 고부가가치 산업인 원청업체의 부재는 원청업체 종속성 및 저임금 등의 원인이 된다.[35] 한국은 1997년 외환 위기 이후 외환보유고의 중요성을 깨달은 뒤 지속적으로 외환보유고를 확충하고 있고, 2021년 현재 4,460억 달러이다. 그마저도 부족하다고 8~9천억 달러까지 늘리자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36] 그러니까 집을 사면 주차장은 걱정할 필요가 없는 게 주차장은 기본으로 딸려오기 때문이다. 개인 주차장이 없는 아파트라도 구입시 아파트 주차장 내 주차할 수 있는 권리가 자동으로 부여된다. 다만 이건 한국이 특이한 것으로 한국을 제외한 타국에서는 보통 주차장도 월세로 계약하거나 부지를 따로 구매하는 것이 대부분이다.[37] 반대로 조선에서는 미쓰비시같은 중공업과 당시 동양 최대의 공업단지인 흥남 조선질소비료주식회사를 대표되는 중화학 공업을 집중적으로 키웠다.[38] 國府遷臺 '나라의 도읍을 대만으로 천도 했다'는 의미로 중국 국민당이 대만으로 이동한 것을 의미한다.[39] 복잡한 사정은 제쳐둔다 해도 중국은 양무운동으로 대한제국보다 근대화, 자본주의화가 빨랐다.[40] 이 과정에서 엄청난 양의 금과 달러가 타이완으로 유입되었으며, 이러한 힘으로 대만은 90년대 초반까지 외환 보유고 세계 3~5위권(!)을 항상 유지했었다.[41] 물론 1950년대 중반부터 1960년대까지 동유럽 국가와 소련의 원조로 어찌어찌 재건해내며 재빠르게 성장했다.[42] 일제 패망 이후 일본 자산을 몰수한 국민당 정부가 설립한 공기업인 대만당업공사가 현재까지 대기업으로 있다.[43] 한국의 재벌해체론자들이 내세우는 가장 큰 오판 중 하나가 대만의 중소기업 국가론이다. 실제로는 전혀 아니며 대만은 대기업 중심 경제인것이 한국과 비슷하거나 상위호환에 가까울 정도로 심각하다. 특히 이런 오해가 발생하는 이유는 한국의 중소기업 상당수가 하청인 경우가 상당한데 이것을 대만의 기업들에도 대입을 시키기 때문에 중소기업일거라는 인식이 생긴다. 그러나 실제로는 폭스콘, TSMC 같은 매출 수십조원에 고용인원 수십~수백만이 넘어가는 초대규모의 하청기업이라고 보면 된다. 게다가 대만 기업들은 OEM 위주의 생산방식이어서 자체 브랜드가 없기 때문에 한국의 대기업들과 달리 원가절감과 저임금 구조에 얽매일 수 밖에 없다는 단점이 있다.[44] 태국 바트처럼 대만 달러에 대해서도 공세가 일부 있었지만, 대만은 금보유고가 상상을 초월할 정도로 많았던데다(대만의 공식 금보유고는 2016년 현재 423톤으로 발표되고 있지만, 1990년대에는 350톤 정도로 발표하고 있었다. 하지만 대만 정부가 국부천대 당시에 '문화재' 명목으로 반입한 상당한 양의 금은 공식 보유고에 포함시키지 않고 있다. 즉, 만일 진짜 급박한 위기가 찾아오면 비공식 금 보유고를 활용할 수도 있단 것.) 화교 자본들이 미리미리 해외자산을 인수해놨던 것들이 많아서 금보유고를 일부 처분하고, 화교 자본들의 해외자산 일부 처분만으로 대만 달러의 통화 가치를 여유롭게 지켜내고, 외환보유액 구성도 다변화하는데에 성공했다. 동아시아 국가 중에서 제일 당당하게 외환위기를 넘어선 것.[45] 80년부터 95년까지 16년간 한국의 물가상승률은 연평균 7.7%이지만 대만은 4.3% 를 기록했다. 같은 기간 동안 연평균 성장률은 한국 8.0%,대만 7.5%였다.[46] 2017년 기준으로, 대만 직장인 평균 연봉은 약 60만 대만달러(약 21,500$), 한국 직장인 평균 연봉은 약 3,600만 원(약 32,000$), 타이베이 시 버스요금 15대만달러(약 500원, 추가요금 없음), 서울시 버스요금 1,200원(거리에 따라 요금 증가), 코카콜라 1.8L는 대만에서 40대만달러(약 1,500원), 한국에서 2,980원. 그 외 식료품 및 생필품 가격은 한국의 40~50% 수준이다.[47] 다만 대졸 신입사원 연봉은 매우 낮다. 코트라 타이베이에서 제공하는 2017.06.01자 대만경제뉴스에 따르면 대졸신입사원의 평균연봉은 1,200~1,300만 원 정도라고 한다. 한국은 3,228만 원.[48] 한신저축은행은 이름만 유지하고 경영진 전부 교체[49] 상술했듯이 대만의 경제는 하청기업 위주로 굴러간다. 그래서 경제성장의 과실이 거의 죄다 하청기업 몫으로 돌아가고, 일반 국민에게는 제대로 돌아가지 못하는 상황이다.[50] 2020년 상반기 한국이 중국의 COVID-19 방역을 빌미로 한 출입국 통제로 중국 진출 기업의 비즈니스에 어려움을 겪은 데 비해 대만은 대만 정부가 일방적으로 본토인의 입국을 금지했음에도 불구하고 아무런 영향을 받지 않았다. 이는 중국의 하나의 중국 논리와 상충되기 때문으로, 엄연히 자국 영토와 국민으로 보고 있는(중국은 거류중인 대만인에 대해 본토 호적 취득을 권장하고 있다) 대만인을 틀어막을 근거는 아무 데도 없었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중국은 대만을 중국의 일부로 보고 있으므로, 이는 중국 입장에선 당연한 것이기 때문이다. 대만 또한 대륙 이외에는 COVID-19 이전에 준하는 비즈니스가 가능한 상대가 없었으므로, 의존도가 높아지는 건 자연스러운 귀결이다.[51] 2020년 초에 경기 타격을 심하게 받았던 미국과 중국은 2021년 1/4분기에 각각 6.4%, 18.3%의 성장률을 기록했다.[52] 참고로 한국은 대중국 수출의존도가 24%이다. 대만보다 훨씬 낮지만, 한국은 한한령 등의 혹한을 겪은 후 신남방정책 등을 통해 어떻게든 의존도를 줄이려 하고 있다. 그래서 대만도 신남향정책이라 하여 비슷한 정책을 시행하거나 추진 중이지만... 성과가 영 시원찮다(...).[53] 반도체 시장에서 가장 큰 이익을 보장해주는 생산품은 파운드리(하청)다. 파운드리 하나만 판 TSMC가 삼성전자와 전체 매출에서 경쟁할 수 있는 이유가 바로 기술적 우위를 이용한 파운드리 독과점에 있다.[54] 사실 대만 기업들은 대부분 하청이기 때문에 언제 일감이 끊어질지 장담할 수 없고 경쟁력이 떨어지면 바로 하청이 다른 곳으로 넘어가기 때문에 투자에 아주 적극적일 수밖에 없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노동자의 몫은 그만큼 줄어들게 된다. 물론 대만 정부도 이런 문제점을 인지하고 있어서 펩리스 시장에 미디어텍이 적극적으로 진출하는 등의 대책을 마련하려 하고 있으나 근본적인 문제 해결은 되지 않고 있으니 문제다.[55] 35,385달러[56] 33,147달러[57] 전술한대로 대만이 세계 대부분의 메인보드 시장을 꽉 잡고 있으며 그 회사들이 Realtek 오디오 드라이버를 채용하기 때문에, 전세계 대부분의 컴퓨터에는 Realtek의 오디오 칩셋이 기본적으로 내장되어 있다고 봐도 무방하다.[58] ACER 자회사 출신이다. 현재는 지분관계를 청산했다.[59] 세계 최고의 메인보드 제조사인 ASUS조차 시가총액을 원화로 따지면 2023년 말 기준으로도 약 10조원 수준이니 나머지는 말할 필요도 없다.[60] 다만 대다수의 집계 업체에서는 피운드리와 반도체 소재와 장비 제조사는 통상적으로 제외하는 편이다.[61] 바로 램버스 D램과 i820 칩셋 때문이다. 최대 800MHz까지 고속으로 속도를 낼 수 있는 램이었지만, 문제는 램버스 D램 값이 너무 비쌌다는 것. 1999년 800MHz짜리 기준으로 이 램 하나가 대한민국 돈으로 100만 원이 넘어갔다.(여담으로 주로 팔린 사양은 700MHz 사양이었다) 램버스D램은 안정성이 꼭 필요한 서버급이면 몰라도, 가정용에 장착하기에는 너무 비쌌다. 당시 인텔은 PC133 SD램을 아예 무시하고 있었고, 이 때 기다렸다는 듯이 비아에서 694X로 인텔에게 제대로 강펀치를 날렸다.[62] 대만에서 태어났고 대만의 반도체 산업을 일군 사람이지만 2005년도에 중국 본토 투자 문제로 대만 국적을 포기했고 중국에서 중신궈지(中芯國際, SMIC)와 신언그룹을 만들었다.[63] 폭스콘의 한자 명칭. 최근에는 아예 일본 가전회사 샤프를 통째로 인수했다.[64] 각국의 거래소 내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하는 TSMC와 삼성전자를 서로 제외할 경우 합산 시가총액이 비슷한 수준이다.[65] 위룽그룹의 모회사인 위룽기차(裕隆汽車)는 이미 1986년에 필링 101(FEELING/飛羚 101)이라는 고유모델을 발표하여 1995년까지 생산한 적이 있다. 다만, 품질 문제 등으로 인해 실패한 흑역사가 있다.[66] IMF시절 한국 자전거공장은 모두 폐쇄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