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른쪽부터 순서대로 임(臨), 병(兵), 투(鬪), 자(者), 개(皆), 진(陣), 열(列)[1], 재(在), 전(前)
1. 개요
중국에서 발원하여 일본에서 변형된 도교 주술. 본래 이름은 육갑비축(六甲秘祝)이지만 일본에서는 구자진언(九字眞言), 구자호신법(九字護身法) 등으로 칭하며, 사악한 것을 물리쳐 결계 등을 청정하게 유지하려는 목적으로 사용한다.2. 역사
4세기 초, 중국 위진남북조 시대 도교서적 포박자(抱朴子)[2]에 기록된 주술이 원형이다.포박자에 따르면 본디 도사가 산에 올라가 수련할 때에 잡귀를 쫓고자 사용한다고 한다. 포박자에서는 육갑비축(六甲秘祝)[3]이라고 부르지만, 중국 자료에서는 흔히 구자진언(九字眞言), 일본 자료에서는 구자호신법(九字護身法), 줄여서 구자법(九字法)이라고 쓴다. 아주 드물게 구자인법(九字印法)이라고 불리기도 하지만, 중국어/일본어 인터넷에서도 용례가 거의 없는, 근거가 없는 명칭이다.[4]
본디 포박자에 기록된 바로는 수인 등이 없다. 포박자에서는 이렇게 설명한다.
명산에 들어가려면, 오색 비단을 5촌 길이로 바위 위에 얹고 마음으로 구하는 바를 깊이 바라며 갑자(甲子)에 따라 길일을 고르라. 산에 들어간다면 육갑비축(六甲秘祝)을 알아야 하니, 그 주문은 "임병투자 개진열전행(臨兵鬪者/皆陣列前行)"으로 모두 9글자이다. 언제나 당연히 비밀스런 주문이며 피하지 못할 일이 없다. 도를 구함이 번거롭지 않다 함은 이런 것을 이른다.[5] |
저 주문은 "병사로서 오신 투사들이여, 모두 진을 짜서 앞으로 가라." 하는 뜻이다. 마지막 행(行)자를 대오나 대열을 가리키는 항(行)으로도 읽을 수 있는데, 이렇게 읽는다면 "모두 진을 짜서 앞에 대열을 서라." 하는 뜻이 될 것이다. 까놓고 이야기하면 군가다.
원래 포박자는 신선이 되는 방법을 적었다. 갈홍은 책에서 신선이 되는 단약을 만들려면 명산에 들어가라고 하는데, 속세에서는 단약을 만들어봤자 부정타서 효험이 없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하지만 명산에 들어가도 이런저런 요사한 것들이 괴롭힐 수 있으므로 육갑비축으로 쫓아내야 한다고 하였다.[6]
이 주술이 일본으로 넘어가 일본 불교, 수험도와 결합되면서 불교처럼 변형되었다. 가령 오색 비단을 바치며 길일을 고르는 부분은 사라지고, 주문 한 글자마다 수인을 맺는 것이 되었다. 주문이 모두 9자이므로 수인은 당연히 9개. 각 수인이 모두 밀교의 불보살을 가리킨다고 풀이하였다. 같은 주문을 사용한다는 점을 제외하면 포박자에 기록된 바와 완전히 달라져버렸다.
일본에서 전해지는 포박자 주문은 서로 다른 두 가지 판본이 있다.
임병투자개진열전행(臨兵鬪子皆陣列前行)
임병투자개진열재전(臨兵鬪者皆陣列在前)
이 중 전자가 포박자에 기록된 그대로이다. 일본의 천태종에서는 전자를, 진언종에서는 후자를 사용하는데, 주문의 뜻 자체는 별 차이가 없으므로 혼란이 있었던 듯하다. 일본의 대중매체에서는 진언종의 육갑비축이 더 널리 알려져 있다. 각각 臨은 린(りん), 兵는 표-(ぴょう), 鬪는 토-(とう), 者는 샤(しゃ), 皆는 카이(かい), 陣은 진(じん), 列는 레츠(れつ), 在는 자이(ざい), 前는 젠(ぜん)이라고 읽는다.
구자 주문을 수인으로 맺을 때에 일본 불교에서는 보현삼매야인(普賢三昧耶印) → 대금강륜인(大金剛輪印) → 외사자인(外獅子印) → 내사자인(內獅子印) → 외박인(外縛印) → 내박인(內縛印) → 지권인(智拳印) → 일륜인(日輪印) → 은형보병인(隱形寶甁印)이라 풀이한다.
이로써 포박자에 기록된 중국의 도교 주술이 완벽하게 일본 불교의 주문으로 바뀌었다. 나중에는 수인을 맺기조차 복잡하다 하여 마치 바둑판처럼 가로 세로로 선을 9번 긋는 것으로 간략화되기도 했다. 일본에서는 이런 형태를 구자 베기(九字の切り)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손가락으로 허공에 선을 그리는 모습이 마치 칼로 베는 듯하다는 뜻이다. 이 구자베기를 그린 쿠지키리의 부적도 있는데, 아시야 도만이 이 부적을 썼다 하여 "도만"이라 부르기도 한다.
3. 매체에서의 사용
90년대 한국 판타지에서는 마법사들이 수인을 맺으며 마법을 쓰는 장면도 많았지만, 소리소문도 없이 사라졌다. 수인이 닌자들이 쓰는 기술로 정착한 탓에 보통 수인은 인술로 그려진다. 실제로 일본 닌자들의 인술서에 사기 고양 및 집중력 강화 목적으로 쓰기 위해 실제로 기록해놓고 쓰기도 했고, 마법사들은 수인 말고도 주문이나 마법진 같은 수단이 있다.- 가마쿠라도노의 13인
미나모토노 요리토모의 이복 동생 아노 젠조가 처형당하기 직전에 외친다.
- 공작왕
일본에서 구자 주문이 널리 알려진 계기가 된 오기노 마코토의 만화. 공작왕에서 주인공이 진언종 출신이라 당연하게 진언종 주문을 사용하였다. 이 영향으로 진언종판이 널리 알려져 다른 애니나 만화 등에서도 구자 주문을 읊는다고 하면 상당수가 진언종판을 사용한다. 그러나 공작왕 본편 중에서도 중국 황가선도의 황태원 등등 선술사들은 "이 나라의 주술 같은 것은 모두 우리 대륙이 원조다." 운운하며 원전, 그러니까 천태종과 동일한 주문을 사용하며, 포박자 원문을 따라가는 경우도 제법 찾아볼 수 있다.
- 광전대 마스크맨
육갑비축을 구사하여 오라 파워를 끌어내는데, 리더인 타케루가 재(在), 켄타가 진(陣), 아키라가 열(裂), 하루카가 투(鬪), 모모코가 임(臨)의 손동작을 구사한다. 참고로 지휘관인 스가타 장관은 전(前).
- 나루토
이중 일부가 작중에서 나온다. 마이트 가이의 점심 호랑이[7]나 나뭇잎 부수기 때 등장한 토비라마의 수진벽이나[8]. 야마나카 일족의 심전신[9]이 그 예시. 또한 팬북의 제목 또한 임병투자개진열재전에서 따왔다.
- 닌자 가이덴 시리즈
주인공 류 하야부사가 사용하는 아이템 중 신명주와 구자인법의 구슬이 있는데, 신명주는 9개를 사용하면 주인공 류의 체력게이지 상한을 늘려주고, 구자인법의 구슬은 한번에 체력게이지 상한을 늘려준다. 신명주 9개 = 구자인법의 구슬 1개인셈.
- 닌자 슬레이어
마스터 토터스가 레이저 무기로 전환할 때 읊는다.
- 더블 드래곤 네오지오
아몬의 차지 어택 중 음양폭염살을 시전할 때 적 위에 올라탄 뒤에 읊고, 순서대로 육갑비축의 한자가 적에게 들러붙어 폭발하면서 아홉 번의 데미지를 준다.
- 동방 프로젝트
동방영이전의 봄과 지옥루트 최종보스 격파 연출, 동방봉마록의 밸런스형 타입의 봄 사용시 육갑비축의 한자가 나온다. 이후 동방지령전에서 사나에의 기술로 '구자 찌르기'가 나오는데, 이름대로 수인대신 간소화된 동작(가로세로로 9번 베기)을 모티프로 레이저 탄막을 전개한다.
- 마도정병의 슬레이브
이즈모 텐카가 능력을 이용해 광범위용 블랙홀을 만들 때 투(闘)와 닮은 수결을 맺는다.
- 마장기신 시리즈
그란벨의 탑승자 황 옌룽이 필살기 화풍청운검을 쓸 때 이 진언을 외운다. 일본 서브컬처로선 특이하게도 포박자 원문을 외우는데, 사용자가 중국인이라는 설정이니 그것을 고려했을 수도 있다.
- 미소녀 전사 세일러 문 시리즈
히노 레이가 애니에서 '악령퇴산'을 사용할 때 육갑비축을 왼다.
- 스트리트 파이터 시리즈
- 스트리트 파이터 4
가이의 도발 중 오리지널 컬러일 때 육갑비축을 왼다. # - 스트리트 파이터 6
킴벌리 잭슨의 도발 대사 중 하나로 육갑비축을 외는 게 있으며, 한마디 씩 할 때마다 한자까지 뜬다.
- 아일랜드
윤인완, 양경일 콤비의 만화 아일랜드에서 주인공 반이 사용하기도 하는데... 문제는 두 가지 주문을 모두 합친 임병투자개진열재전행으로 만들어버리는 오류를 범했다. 2016년 웹툰 연재판에서도 수정되지 않았다.
-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오토기 류지의 덱 마스터 속공의 검은 첩자의 효과명으로 나왔다.[10] 능력은 패 두장을 버리는 것으로 타인의 세트한 카드를 발동 할 수 있게 한다.
- 이스턴 마인드
육갑비축의 9한자에 대응하는 이름으로 각자의 임무를 수행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해당 한자의 미션을 달성할때마다 각자의 한자를 얻으며 이것을 8개 모아야 주인공인 린의 臨에 해당하는 마지막 부분을 진행할수 있다.
- 전국 블레이드
전국 블레이드 이후로 토가시 코요리가 사용하는 폭탄 기술인 구자술법(九字の術法)의 유래도 바로 이것. 육갑비축의 거대한 글자를 공중에서 폭발시켜 구성할 수 있는 일종의 술법폭탄으로, 탄 소거 기능과 지정 범위 지속 데미지 효과가 있다.
- 젤다의 전설 브레스 오브 더 와일드
이가단과 도사 미즈·코시아가 순간이동을 할 때 맺는 인 글자를 잘 보면 RPTSKJRZZ로, 육갑비축 각 문자의 일본어 독음을 영문표기 했을 때 앞글자만 따온 것이다.
- 철권 시리즈
레이븐이 이겼을 때 승리포즈로 시행하는 것이 이것이며, 태그 토너먼트 2에서는 요시미츠나 쿠니미츠와 태그를 짰을 때 승리 포즈로 나오기도 한다. 철권 5의 요시미츠 스토리 모드 중 레이븐에게 패할 경우 레이븐이 요시미츠에게 구자인법을 교습하는데 요시미츠가 틀려서 레이븐에게 갈굼당하는 이벤트도 있다. 철권7에서 2대 쿠니미츠도 승리포즈로 이것을 보여준다.[11]
- 카마이타치의 밤x3
사건 해결에 반드시 필요한(?) 초중요 주문으로 나온다. 카마이타치의 밤 2에서도 일부 시나리오에서 등장한다.
- Fate/Grand Order
어새신 클래스 후마 코타로와 랜서 클래스인 나가오 카게토라가 Extra 공격 시, 와타나베노 츠나가 보구 사용 시 사용하는 주문이 이것이다.
[1] 일부에서는 찢을 렬(裂)로 표기하기도 한다.[2] 위진남북조 시대에 동진(東晉)의 관료였다가 말년에 도사가 된 갈홍(葛洪)이 신선이 되는 방법 등을 적은 책이다. 포박자는 갈홍 자신의 호이기도 하다. 갈홍은 포박자 말고도 여러 가지 책을 지었다.[3] 祝자는 축과 주라는 두 가지 음이 있으므로, 육갑비축 대신 육갑비주라고 읽을 수도 있다. 다만 祝을 '주'라고 읽으면 '남을 저주한다.'는 부정적인 의미로 쓰이므로, 여기서는 육갑비축이라 읽음이 맞을 것이다.[4] 구글에서 검색해봐도 중국어/일본어 웹페이지에서 九字印法이라고 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九字の印의 오역으로 추정.[5] 도를 구하다 보면 이런저런 장애요소가 많지만, 그런 장애를 피할 수 있는 방법이 다 있다는 뜻이다.[6] 같은 이유로 갈홍은 수행자들에게 입산할 때 거울을 들고 가기를 추천하며, 육갑비축과 함께 우보법(禹步法)을 알아두라고 서술했다.[7] 투(鬪)[8] 전(前)[9] 재(在)[10] 손모양과 함께 주문을 외치는 장면도 덤[11] 그런데 자세히보면 레이븐은 본 문서 상단의 이미지와 같은 손모양으로 인을 맺는 반면 철권7의 쿠니미츠는 완전히 다른 손모양으로 인을 맺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