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문화권의 문자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fff> 지역 | 현재 사용되는 문자 | 사라진 문자 | |
<colcolor=#ffffff> 대한민국 | 한글 | 구결 옛한글 | ||
한자 | 정자 정체자 번체자 주음부호(대만) | 한글 전 한국어 표기 | ||
대만 | ||||
중국 대륙 | 간체자 한어병음 몽골 문자(내몽골) 고장자 · 신장자(광시) 티베트 문자(티베트) 위구르 문자(위구르) | 측천문자 거란 문자 서하 문자 여진 문자 만주 문자 | ||
싱가포르 | 간체자 | 502 간체자 | ||
일본 | 신자체 | 만요가나 | ||
가나 | 히라가나 | 헨타이가나 | ||
가타카나 | ||||
베트남 | 쯔꾸옥응으 | 쯔놈 | }}}}}}}}} |
1. 개요
<colbgcolor=#dddddd,#222>언어별 명칭 | |
한국어 | 정자(正字) |
일본어 | [ruby(旧字体,ruby=きゅうじたい)] |
간체 중국어 | [ruby(繁体字,ruby=fántǐzì)] |
정체 중국어 | [ruby(正體字,ruby=ㄓㄥˋ ㄊㄧˇ ㄗˋ)] |
영어 | Traditional Chinese characters |
대한민국, 대만, 홍콩, 마카오 및 화교 사회에서 표준으로 쓰이는 한자의 형태이기도 하다.
싱가포르와 말레이시아는 공식적으로는 간체자를 쓰지만 화교 사회는 대체로 정자를 혼용한다. 특히 말레이시아 출간 중국어 신문은 '제목은 정체자, 본문은 간체자'가 꽤 흔하다. 예시[1]
2. 명칭
각국마다 이를 이르는 명칭이 다르다.- 대한민국
한국은 국가가 주도하여 한자를 간략화한 사례가 없어서 한국에서 쓰이는 전통적인 형태의 한자를 따로 지칭하는 경우가 거의 없다. 굳이 쓰이는 말이 있다면 '정자'(正字)가 있는데, 민간 영역에서 쓰여 왔던 한자 간략화 형태인 약자(略字)와 대비되어 쓰이는 말이다. 대한민국 교육과정에서 한자/한문 교과목의 기준이 되는 자형이다. 후술했듯이 '번체자'는 중국 본토의 관점에서 간체자를 상대하는 용어라는 까닭에서 대만, 일본을 포함한 우리나라에서는 '번체자'라고 칭하는 경우는 드물고, 이 '정자/정체자'를 의식해서 사용한다.[2] - 중국
'번체자(繁体字)'라 한다. 이는 1956년 중화인민공화국 정부가 한자를 간략화한 간체자를 제정하고 1964년에 이를 확정한 이후 이 간체자와 비교하여 번잡하다는 의미에서 붙은 이름이다. 홍콩, 마카오, 말레이시아, 싱가포르에서도 공식적으로는 이 용어(繁體字/繁体字)를 사용한다. - 일본
'구자체'(旧字体)라 한다. 이는 1949년 일본정부가 한자를 간략화한 신자체를 제정한 이후, 이 신자체와 비교하여 옛날에 쓰였던 자형이라는 의미에서 붙은 이름이다. - 대만
'정체자'(正體字)라고 한다. 간체자에 대해 올바로 쓴 글자라는 의미이다. 대만은 중국 본토와 오랫동안 사상이념 대립을 해왔고, 전통에 큰 가치를 두지 않던 중화인민공화국에 대항해, 스스로를 중국 대륙의 정통 국가라 주장하며 중국 전통 문화를 오랫동안 국가적으로 숭상해왔는데, 그 관념이 담겨저 있는 용어이다.[3] 홍콩이나 마카오에서도 민간영역을 중심으로 이 용어를 많이 쓴다. 홍콩과 마카오의 모든 웹사이트 상 언어 선택 옵션에는 繁 또는 繁體中文으로 표기된다. 번체자(繁體字)라는 말에는 부정적인 의미가 들어있기 때문에 간혹 대만이나 홍콩, 마카오에서는 '번체자'라는 용어에 부정적인 반응을 보이는 사람들도 좀 있다. - 기타 문화권
영어에서는 정자를 전통한자라는 뜻의 'Traditional Chinese characters'라고 하며, 다른 문화권에서도 대부분 '전통한자'에 해당하는 번역어를 쓴다.
3. 신자체/간체자와 다른 것
정자: 戶 신자체: 戸 간체자/홍콩 정자: 户 |
정자: 圖 신자체: 図 간체자: 图 |
마찬가지로 그림 도(圖)라는 한자를 정자, 신자체, 간제자의 표기. 보다 보면, 확실한 차이가 난다.
이 글자를 사용하여 쓰인 글 등을 말할 때는 정자, 간체자, 신자체 등으로 부른다. 정자와 간체자, 신자체는 눈에 띌 만큼 차이가 나며, 정자는 간체자와 신자체에 비하여 입이 딱 벌어질 만큼 획수가 많은 한자들이 많다. 눈썰미가 있기만 하다면, 정자인지 간체자인지, 즉 한국 것인지, 중국 것인지, 일본의 것인지 구별할 수 있다. 실제로 대만이나 홍콩에서 출판된 책을 들여다보면 확실히 획수가 많은 한자가 빽빽한 책을 볼 수가 있다.
4. 중국 대륙인·일본인은 정체자(번체자, 구자체)를 읽을 수 있는가?
중국 대륙의 경우 개인차가 있겠지만 대부분 읽을 수는 있고, 손으로 쓰지는 못한다에 해당한다고 보면 된다.
실제로 인터넷에서는 중국인과 대만인이 각자 간체와 정체를 써가면서 채팅하는 것도 볼 수 있다. 중국에서도 노래방 가면 가사가 정체로 나오며[4], 공익광고나 간판, 기업명칭의 로고 등에서도 멋내기 위한 용도로서 정체가 쓰이기도 한다.
예를 들어 중국 항공사인 중국동방항공의 로고는 정체자이며 상당 수의 중국 명문대학도 정체자 로고를 사용한다. [5]
일반적으로 대만이나 향항인들은 비교적 간체자를 쉽게 배울 수 있고, 중국대륙인들도 정체자를 대체로 읽을 수 있다. 그냥 떠듬떠듬 읽을 수 있는 정도가 아니라 아예 즉각적으로 변환이 된다는 뜻이다. 그도 그럴 것이 완전히 달라진 것이 아닌, 전체 중에 1/3 정도의 한자만 바뀐 거고, 그 바뀐 한자도 대부분은 그냥 자동적으로 변환된 것이라서 누구라도 조금만 연습하면 정체자를 쉽게 읽을 수 있다. 또한 중국 대륙에서 공식적으로 간체자를 쓰고있고 실제로도 글을 필기할때 대부분 간체자로 쓰기는 하나, 좀 오래된 사찰이나 유물, 문헌들만 봐도 대부분의 글이 정체자로 쓰여 있으며, 인터넷의 발달로 간체자와 정체자 간의 상호 접촉 및 변환이 굉장히 쉬워졌기 때문에 사실상 중국인들에게는 간체자와 정체자에 대한 지식이 모두 내장되어 있는 것이다. 다만 필기를 하려면 별도의 학습이 요구된다.
중국어 위키백과에는 간체/정체 자동 변환 도구가 내장되어 있다. 위에서 언급한 용어 차이도 변환 도구를 적용하면 자동으로 변환해준다. 이 도구가 적용되지 않은 상태의 raw 텍스트를 보면, 편집자의 국적에 따라 서로 다른 종류의 한자가 뒤섞여 있는 혼란스러운 문서를 볼 수 있다. 그러나 익숙해지면 한쪽으로 변환하지 않고도 문서가 자연스럽게 읽힌다.
중국 만화 <옆집네는 만화 그리는 아요>의 한 장면. 우측 세정째 칸 왼쪽 말풍선이 정체로 되어있다. 간체자를 쓰는 중국 대륙보다 정체자를 쓰는 중화민국이 표현의 자유가 더 크다 보니깐, 오타쿠 농도가 짙다는 의미다. 참고로 이 페이지의 번역본은 여기
중국대륙의 학교에서 번체자를 가르칠 때는, 한국에서 이두와 향찰에 대해 간략히 가르치는 것처럼 수박 겉 핥기식 정도의 교육이 이뤄질 뿐이지만 덕질을 통해서 정체를 익히는 대륙의 덕후들도 있다. 홍콩과 대만의 TV 프로그램들과 영화들이 정체로 자막이 나오는데다가 대만의 서브컬처는 일본의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유명한 일본 출판사들은 대만에 지사를 두는 경우가 많다. 때문에 중국어 정식발매본이나 해적판본, 자막 등도 대부분 중국대륙이 아닌 대만 섬에서 나온다. 이러한 이유로 중국인들이 덕질을 하기 위해선 대만측 정보에 많이 의지할 수밖에 없는데, 이 과정에서 정체자를 익히게 되는 것이다.
신자체를 쓰는 일본인들도 마찬가지로, 일부러 쓸 필요가 많지 않아서 손으로 쓰는 건 어렵지만, 고유명사나 인명에서 구자체를 고수하는 경우가 있어, 평균 이상의 학력을 가진 일본인들이라면 구자체를 읽을 수는 있다. 예로, 노기자카46의 구성원 중 하나인 사이토 아스카(齋藤 飛鳥)에 구자체가 쓰였고, 〈너의 이름은.〉의 타치바나 타키(立花 瀧, 립화롱)에도 구자체가 쓰였다.[6] 그리고 노기자카46의 구성원 중 하나인 요다 유우키처럼 정자체와 신자체를 동시에 가지는 케이스도 있다.
5. 각국의 표준자형
전통적인 자형을 고수한다고는 하나 국가마다 표준자형이 다르다. 이는 한자에 이체자가 많고 각 나라, 지역마다 선호하는 자형이 다르기 때문이다.아래는 한국과 대만에서 쓰는 대표적인 한자 모양의 비교이다. 왼쪽이 한국, 오른쪽이 대만이다.[7]
간체자가 표준인 중국과 싱가포르, 말레이시아에서도 필요에 따라 번체자를 쓰기 때문에 번체자에 대한 표준자형을 지정해놓았는데, 이 역시 한국이나 대만, 홍콩 등에서 쓰이는 것과는 약간 다른 한자들이 몇 개 있다.
이런 자형차이를 잘 정리해 둔 사이트로 글리프위키가 있다.
6. 여담
대만이나 홍콩 등 대륙의 공산당 독재정치체제에 대한 반감이 큰 지역에서는 정체자를 대륙의 간체자와 대비하여 자신들의 정체성으로 인식하는 사람들이 적지 않으며, 대륙보다 평균적으로 잘 사는 것이 반영돼서인지 정체자에 우월감을 느끼기도 한다.홍콩에서는 중국 대륙인을 위한 '국어' 즉 표준중국어 채널이 간체자로 변환될 때 홍콩인들이 반발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표준중국어 교육을 번체자에서 간체자로 바꾸려고 들어서 반발이 크다. 친중파 홍콩 정치인들조차 비판할 정도라 제대로 될지는 미지수. 이미 표준중국어 교육을 간체자로 하는 마카오와는 달리, 홍콩은 반발이 심해서 사실상 없던 일이 되었다.
대만 역시 대륙에서 온 관광객이나 체류자가 많아지면서 간체자가 퍼져 대만인들이 항의하기도 한다. 대만은 말부터 표준중국어라 대륙의 13억 쪽수를 내세운 간체자에 잠식당하면 그야말로 대만 고유의 것은 아예 하나도 안 남아나기 때문에 위기의식이 절박한 편이다. 광동어라는 독자요소가 있는 홍콩 및 마카오에 비해서 불리하다.[8]
하지만 간체자를 표준으로 정한 싱가포르는 이런 현상은 덜하다. 대부분의 중국계 싱가포르인들은 중국보단 중화민국에 더 우호적이긴 하지만, 군말없이 간체자를 쓰는 편이다. 차이나타운이 있는 탄종 파가 일대에선 간체자의 향연이 보이며, 순간 중국에 온 기분을 느낄 수 있다. 하지만 이런 지역들을 벗어나면 의외로 간판이 대부분 정자 위주로 구성된 지역들도 있는데 잘란 베사르 같은 곳은 간체자 간판을 달고 있는 가게가 이질적으로 느껴질 정도다. 표준 로마자 표기를 제외하면 일상에서 쓰는 중국어 로마자 표기는 한어병음을 따르지 않는다는 점과 중국과는 사뭇 다른 점이다.
중국계 이민자가 많아서 중국어 사용인구가 많은 샌프란시스코의 안내판 등지에서는 정체자를 사용한다.
대한민국 대학교의 중어중문학과는 간체자로 표준중국어를 교육한다. 그래서 자기 전공과목에서 정체자를 배우려면, 고전문학 등 간체자가 생기기 전의 작품을 다루는 과목을 들어야만 한다.
7.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 -10px -5px;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10%" {{{#!folding ⠀[ 역사 ]⠀ | <colbgcolor=#0047a0><colcolor=#fff>일반 | 한국의 역사 · 역대 국호 · 역대 지도자 · 역대 국가 깃발 · 대한민국 임시정부 · 대한민국의 역사 |
기타 | 통일 한국 · 간도 · 역사왜곡 |
- ⠀[ 지리 ]⠀
- ||<tablewidth=100%><table bgcolor=#fff,#1f2023><colbgcolor=#0047a0><colcolor=#fff><width=15%>일반
한국의 지명 · 수도 지리적 구분 한반도 · 경기 · 호서 · 호남 · 영남 · 관동 (영서 · 영동) · 해서 · 관북 · 관서 · 제주 · 남한 · 북한 자연지리 산/고개 · 섬 · 강/하천 · 내륙 지역 · 동해 · 서해 · 남해 · 동중국해 · 100대 명산 도시권 · 생활권 수도권 · 부산·울산권 · 대구권 · 광주권 · 대전권 · 생활권 행정구역 지방자치단체 · 광역자치단체 (특별시 · 광역시 · 도 · 특별자치시 · 특별자치도) · 기초자치단체 (인구 순위 · 인구 밀도 순위 · 면적 순위) · 행정구역 개편 · 도로명주소 · 팔도 · 이북 5도 교통 교통 · 공항 · 철도 · 고속도로 생물 생물자원 · 포유류 · 조류 · 파충류 · 담수어류 · 양서류 · 견종 과학기지 세종 과학기지 · 장보고 과학기지 · 다산 과학기지 · 옹진소청초 해양과학기지 영토분쟁 독도 · NLL · 백두산 · 7광구 · 녹둔도 · 이어도 · 가거초 · 격렬비열도
- ⠀[ 정치 ]⠀
- ||<tablewidth=100%><table bgcolor=#fff,#1f2023><colbgcolor=#0047a0><colcolor=#fff><width=15%>일반
한국의 정치 · 대한민국 훈장 · 법정 공휴일 국가 상징 국명 · 국기 · 국가 · 국화 · 국장 · 홍익인간 · 국새 정당 정당 · 보수정당 · 민주당계 정당 · 진보정당 · 극우정당 · 종교정당 · 제3지대 정당 · 단일쟁점정당 · 극좌정당 정부조직 국회 (국회의장 · 국회부의장 · 국회의원) · 행정부 (대통령 · 국무총리 · 국무회의 · 행정각부 · 감사원) · 법원 (대법원 · 대법원장 · 대법관 · 각급법원) · 헌법재판소 (헌법재판소장 · 헌법재판소 재판관) 제도 헌법 · 10차 개헌 · 국민의 4대 의무 선거 대통령 선거 · 국회의원 선거 · 전국동시지방선거 · 중앙선거관리위원회 기타 정부24 · 대한민국 정부상징 · 대한민국 대통령실(대한민국 대통령 관저) · 청와대
- ⠀[ 경제 ]⠀
- ||<tablewidth=100%><table bgcolor=#fff,#1f2023><colbgcolor=#0047a0><colcolor=#fff><width=15%>일반
한국의 경제 · 한강의 기적 · 3저호황 · 경제개발 5개년 계획 · 소득 · 자원 · 예산 · 긍정적 전망 산업 한국의 산업 · 농축산업 · 수산업 · 공업 · IT · 과학기술력 · 우주개발 · 메이드 인 코리아 기업 한국의 기업 · 재벌 · 대기업 · 준대기업 · 중견기업 · 중소기업 · 자영업 무역 무역 지표 GDP · 경제성장률 · 환율 · 물가 · 물가지수 · 소비자 물가상승률 · 부채 · 가계부채 경제난 부정적 전망 · 실업 · 청년실업 · N포 세대 · 88만원 세대 · 수저계급론 · 86세대 책임론 기타 비자 · 여권 · 애국 마케팅 · 넥스트 일레븐 · 아시아의 네 마리 용
- ⠀[ 사회 ]⠀
- ||<tablewidth=100%><table bgcolor=#fff,#1f2023><colbgcolor=#0047a0><colcolor=#fff><width=15%>일반
사회 · 인구 · 세대 · 북한이탈주민 · 실향민 · 이산가족 · 이민 · 재외동포 · 검은 머리 외국인 · 재한 외국인 · 다문화가정 · TCK · 출산율 · 생애미혼율 · 혼인율 · 사망률 · 자살률 민족 한국인 · 한민족 · 중국계 한국인 · 일본계 한국인 · 한국계 중국인 · 한국계 일본인 · 한국계 미국인 · 고려인 · 화교 · 조선적 교육 한국의 교육 · 교육열 · 입시 위주 교육 종교 한국의 종교 · 개신교 · 불교 · 천주교 · 원불교 · 유교 · 천도교 · 증산도 · 대순진리회 · 대종교 · 무교 사건 · 사고 한국의 사건 및 사고 · 범죄 통계 사회 문제 · 갈등 한국 사회의 문제점 · 헬조선 · 국뽕 · 니트족 · 열정페이 · 저출산 현황 · 고령화 · 인종차별 · 난민 수용 논란 · 외국인 노동자 문제 · 지역감정 · 젠더 분쟁 · 성소수자 · 세대 갈등 · 인터넷 검열 · 권위주의
- ⠀[ 외교 ]⠀
- ||<tablewidth=100%><table bgcolor=#fff,#1f2023><colbgcolor=#0047a0><colcolor=#fff><width=15%>일반
- ⠀[ 문화 ]⠀
- ||<tablewidth=100%><table bgcolor=#fff,#1f2023><colbgcolor=#0047a0><colcolor=#fff><width=15%>일반
한국의 문화 · 한류 · 콘텐츠 · 전통문화 · 민속놀이 · 신화 · 요괴 · 명절 (설날 · 추석) · 성씨 · 대한민국 표준시 · 세는나이 · 예절 · 문화 규제와 탄압 관광 한국의 관광 · 축제 · 국립공원 · 문화재 · 국보 · 보물 · 무형문화재 · 사적 · 명승 · 천연기념물 · 민속문화재 · 등록문화재 · 세계유산 · 세계기록유산 · 인류무형문화유산 언어 · 문자 한국어 (표준어 · 방언) · 한국어의 높임법 · 한글 · 한글만능론 · 한자 (정체자) · 한국의 한자 사용 건축 건축 · 한옥 · 궁궐 · 성 · 무덤 · 사당 · 서원 · 향교 · 사찰 · 마천루 의복 · 무기 한복 · 백의민족 · 갑옷 · 무기 · 한선 음식 음식 · 한정식 · 한과 · 전통음료 · 전통주 · 지리적 표시제 · 한민족의 식사량 스포츠 스포츠 · 태권도 · 씨름 · 택견 · 수박 · 국궁 · 족구 · e스포츠 문예 · 출판 문학 · 베스트셀러 · 웹소설 · 판타지 소설 미술 · 만화 현대미술 · 한국화 · 고화 · 만화 · 웹툰 · 애니메이션 · 만화 검열 게임 비디오 게임 · 온라인 게임 · MMORPG · 게임계의 문제 · 게임규제 음악 음악 · K-POP · 힙합 · 트로트 · 국악 · 판소리 · 사물놀이 · 아리랑 · 한국 대중음악 100대 명반 영화 · 연극 영화 · 천만 관객 돌파 영화 · 뮤지컬 방송 방송 · 드라마 · 예능 프로그램 · 웹드라마 · 웹예능 · 인터넷 방송 기타 한국형 · 한국적 · K- · 고요한 아침의 나라 · 변질된 유교적 전통 · 명절증후군 · 한국기원설
| [[대만|{{{#fff 대만 관련 문서 臺灣}}}]]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folding [ 정치 · 군사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상징 | 국기 · 국가 · 국기가 | |
정치·행정 | 정치 전반 · 국민대회 · 오권분립 · 입법원 · 행정원(조직) · 사법원 · 헌법(동원감란시기임시조관) · 정당(범람연맹 · 범록연맹) · 총통(명단 · 총통부 · 대총통선거법 · 수정대총통선거법 · 총통 전용기) · 행정구역(성 · 미수복지구) · 행정조직 · 정부총통선거 · 총선 · 지방선거 | ||
국가원수 | 쑨원 · 위안스카이 · 쉬스창 · 차오쿤 · 돤치루이 · 탄옌카이 · 장제스 · 린썬 · 옌자간 · 장징궈 · 리덩후이 · 천수이볜 · 마잉주 · 차이잉원 | ||
국가원수 · 총통 | |||
기타 정치인 | 돤치루이 · 옌시산 · 성스차이 · 우페이푸 · 리위안훙 · 장쭤린 · 왕징웨이 · 후웨이더 · 옌후이칭 · 두시구이 · 구웨이쥔 · 펑위샹 · 마부팡 · 마훙빈 · 위유런 · 탕성즈 · 마훙쿠이 · 리쭝런 · 바이충시 · 룽윈 · 장쉐량 · 황싱 · 한궈위 · 장치천 · 주리룬 · 허우여우이 · 쑹추위 · 커원저 · 쑤전창 · 셰창팅 · 라이칭더 · 천젠런 | ||
부총통 · 행정원장 · 입법원장 · 감찰원장 | |||
외교 | 외교 전반 · 여권 · 양안관계(하나의 중국 · 92공식 · 양안통일 · 화독 · 대독) · 중화권 · 한국-대만 관계 · 대만-일본 관계 · 미국-대만 관계 · 재외공관 | ||
사법 · 치안 | 경찰 · 국가안전국 · 소방 · 사형제도 | ||
군사 전반 | 국방부(역정서) · 대만군(육군 · 해군 · 공군 · 국민혁명군) · 계급 · 군복 · 보병장비 · 기갑차량 · 군함 · 항공병기 · 병역법 · 체대역 · 성공령 · 핵개발 · 군벌 |
- [ 역사 ]
-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1f2023><table color=#373a3c,#ddd><bgcolor=#fe0000><width=15%> 역사 ||<(> 역사 전반(민국사 · 대만사) · 대만의 민주화 운동 · 등용제도 · 세금 제도 · 연호 · 역대 국명 · 군벌 · 대외 전쟁 및 분쟁 ||
- [ 사회 · 경제 ]
-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1f2023><table color=#373a3c,#ddd><bgcolor=#fe0000><width=15%> 경제 ||<(> 경제 전반 · 재정부 · 경제부 · 중화민국중앙은행 · 신 대만 달러 · 대만증권거래소 · 타이베이거래소 · 기업(메인보드 제조사) · 이동통신사 · 아시아의 네 마리 용 · ECFA ||
교육 교육부 · 대학 목록 · 재대복교 교통 교통 전반 · 교통부 · 중화민국국도(중산고속공로 · 포모사고속공로) · 타이완 성도 · 공항 목록 · 항공사(중화항공 · 에바항공 · 스타럭스항공) · 타이완 철로관리국(THSR · 쯔창하오 · 구간차) · 대만의 시외버스 · 첩운(타이베이 첩운 · 타오위안 첩운 · 신베이 첩운 · 타이중 첩운 · 가오슝 첩운) · 이카통 · 이지카드 민족 한족 · 본성인(객가) · 대만 원주민(아미족 · 아타얄족 · 따오족) · 인도네시아계 대만인 · 일본계 대만인 · 한국계 대만인
- [ 문화 ]
-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1f2023><table color=#373a3c,#ddd><colbgcolor=#fe0000><width=15%> 문화 전반 ||<(> 문화 전반 · 영화(금마장) · 드라마 · TV방송(CTV · CTS · TTV) · 라디오 방송 · 스포츠 · 중국시보 · 빈과일보 · 미술 · 파룬궁 · 등려군 · 거류증 ||
- [ 기타 ]
-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1f2023><table color=#373a3c,#ddd><colbgcolor=#fe0000><width=15%> 화교 ||<(> 화교(쿨리) · 차이나타운 · 중국계 한국인 · 중국계 미국인 · 중국계 러시아인(둥간족) · 중국계 브라질인 · 중국계 필리핀인(상글레이) · 중국계 인도네시아인 · 중국계 말레이시아인 · 중국계 베트남인 · 중국계 싱가포르인 · 중국계 태국인 · 중국계 일본인 · 재한 화교 · 중국계 캐나다인 · 중국계 한국인 · 대만계 미국인 · 대만계 일본인 · 대만계 캐나다인 · 대만계 한국인 ||
감정 친화 · 친대 · 반대 · 중화민국빠 · 대만빠
||<bgcolor=#e81b2c><tablebordercolor=#e81b2c><tablewidth=100%> ||
[1] 한편 싱가포르는 공식적인 분야에서는 전부 간체를 쓰며 일상에서는 번체도 생각보다 꽤 쓰인다.[2] 다만 글로벌로 제품을 수출하는 기업에선 번체라 쓰기도 한다.[3] 다만 중화민국도 대륙 시절엔 한자 간략화사업을 추진했으나, 국부천대 이후 백지화되었다.[4] 이는 일본의 카라오케 가라오케를 대만을 거쳐서 수입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5] 칭화대학, 베이징대학을 포함한 구교연맹의 모든 대학이 대학교 로고+대학교 홈페이지 좌상단의 대학 명칭을 정체자로 표기하고 있다.[6] 이외에도 구자체식의 이름을 가진 실존인물은 일본에도 많다. 특이한 것은 같은 한자인데도 누구는 구자체로, 누구는 신자체로 이름을 쓰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전 야구선수 사이토 유키(斎藤佑樹)는 사이토 아스카와 같은 한자지만 신자체를 사용한다. 또 다른 케이스로 야구선수인 타무라 타츠히로와 Travis Japan 멤버 시메카케 류야는 구자체 龍를 쓰지만, 전 야구선수 히지이 류조는 신자체인 竜를 쓴다.[7] 순서대로 '낳을 산:', '밥 반', '무리 중:', '느낄 감:', '푸를 청', '절 사', '기를 육', '집 가', '가르칠 교:', '보낼 송:', '싸움 투', '실 사', '하/할 위(:)', '풍년 풍', '능할 능', '버금 차'자다.[8] 물론 생활용어로 대만어라는게 있긴 하지만 공용어로의 입지는 훨씬 약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