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大宋重修廣韻흔히 줄여서 광운(廣韻)이라고 부른다. 송나라 대중상부 원년(1008) 진팽년(陳彭年) 등이 북송 진종의 명을 받아 만든 운서이다. 전체적으로 절운(切韻)의 증보판이라고 할 수 있다. 음계 분류는 대체로 절운을 따랐으나 수록된 자수가 대폭 늘어났고 각각의 글자에 대한 설명이 추가·개정하였다. 운목은 절운과 비교하여 眞운 중 개음 [u]가 존재하는 글자를 諄운으로 분리하고, 寒운 중 개운 [u]가 존재하는 글자를 桓운으로 분리하고, 歌운 중 개음 [u]가 존재하는 글자를 戈운으로 분리하고 嚴운의 상성과 거성 儼운과 釅운을 추가해서 열세 가지 운이 늘어나 총 206운, 수록된 글자는 2만 6194자이다. 사용된 성모는 학설에 따라 다르지만 37성모설부터 51성모설까지 있다.[1]
광운이 후대에 끼친 영향은 매우 크다. 중고음이 가장 잘 보존된 운서가 절운인데, 이 책의 원본은 산실되어 현재 전해지지 않는다. 따라서 광운은 오랜 세월 동안 완정된 절운계 운서 중에서는 그나마 절운에 가까운 운서로 통하였다.[2] 또한 후대의 수많은 운서들의 기반이 광운이었기 때문에 중고음 연구에 있어서는 기본이 되는 서적이다. 한국 한자음도 이 광운의 축약본인 운략(韻略)을 재정리한 예부운략에 많이 영향을 받았기 때문에 한국 한자음 연구에 있어서도 빠질 수가 없는 서적이다. 이 때문에 한국 한자음을 연구하는 데도 기본자료가 된다.[3] 다만 편찬된 시기가 송나라 시대였음에도 불구하고 기반이 된 반절은 절운계 반절이었기 때문에 당시의 현실 한자음과는 괴리가 있었다. 때문에 광운 이후로는 절운계 운서는 예부운략을 끝으로 더이상 나오지 않았고, 31년이 지나 1039년에는 현실 한자음을 반영한 집운이 편찬되었다. 워낙에 영향력이 큰 운서였기에 송본광운 등 여러 판본이 존재한다.
2. 구성
광운은 우선 사성에 따라 상평성, 하평성, 상성, 거성, 입성의 총 5권으로 나뉜다. 평성은 다른 글자들보다 자수가 많기 때문에 상평성과 하평성으로 나뉜다.각 권의 목차에는 운목의 대표자와 번호(파란색), 대표자의 반절(빨간색), 운목의 통용 여부(보라색)[4]가 기재하였다. 위 목차에서 東운은 德紅東第一獨用이라고 쓰였는데, 東은 'tung'이라고 읽으며 다른 운과 통용되지 않는다는 뜻이다. 또 冬운 鍾同用이라고 쓰였으니, 鍾운과 통용할 수 있다는 뜻이다. 각 권의 운목 기재순서는 같은 운모끼리 평행하도록 하였다. 평성의 첫 운에 東운, 상성의 첫 운에 董운, 거성의 첫 운에 送운, 입성의 첫 운에 屋운을 두어 한 꿰미를 맞춰놓은 식. 그러나 평성에서는 刪운→山운인데 입성에서는 黠운(山운에 대응)이 鎋운(刪운에 대응)보다 먼저 오는 등 순서가 어긋나는 경우도 있다. 또 어떤 운목은 사성이 고루 갖추지 않았기 때문에 목차가 뒤로 갈수록 번호가 심하게 어긋난다. 예를 들어 '-ong'에 해당하는 운모는 상성이 없기 때문에[5], 冬·宋·沃의 세 운이 한 꿰미이다.
광운의 목차는 다음과 같다. 편의상 운모가 같은 글자들은 같은 열에 배치하며, 순서가 어긋난 부분은 따로 표시한다.
{{{#!folding [ 펼치기 · 접기 ] 광운 목차 일람 | 1. 東 | 1. 董 | 1. 送 | 1. 屋 |
2. 冬 | 2. 宋 | 2. 沃 | ||
3. 鍾 | 2. 腫 | 3. 用 | 3. 燭 | |
4. 江 | 3. 講 | 4. 絳 | 4. 覺 | |
5. 支 | 4. 紙 | 5. 寘 | ||
6. 脂 | 5. 旨 | 6. 至 | ||
7. 之 | 6. 止 | 7. 志 | ||
8. 微 | 7. 尾 | 8. 未 | ||
9. 魚 | 8. 語 | 9. 御 | ||
10. 虞 | 9. 麌 | 10. 遇 | ||
11. 模 | 10. 姥 | 11. 暮 | ||
12. 齊 | 11. 薺 | 12. 霽 | ||
13. 祭 | ||||
14. 泰 | ||||
13. 佳 | 12. 蟹 | 15. 卦 | ||
14. 皆 | 13. 駭 | 16. 怪 | ||
17. 夬 | ||||
15. 灰 | 14. 賄 | 18. 隊 | ||
16. 咍 | 15. 海 | 19. 代 | ||
20. 廢 | ||||
17. 眞 | 16. 軫 | 21. 震 | 5. 質 | |
18. 諄 | 17. 準 | 22. 稕 | 6. 術 | |
19. 臻 | 7. 櫛 | |||
20. 文 | 18. 吻 | 23. 問 | 8. 物 | |
21. 欣 | 19. 隱 | 24. 焮 | 9. 迄 | |
22. 元 | 20. 阮 | 25. 願 | 10. 月 | |
23. 魂 | 21. 混 | 26. 慁 | 11. 沒 | |
24. 痕 | 22. 很 | 27. 恨 | ||
25. 寒 | 23. 旱 | 28. 翰 | 12. 曷 | |
26. 桓 | 24. 緩 | 29. 換 | 13. 末 | |
27. 刪 | 25. 潸 | 30. 諫 | 15. 鎋 | |
28. 山 | 26. 產 | 31. 襉 | 14. 黠 | |
평성(하) | 상성 | 거성 | 입성 | |
1. 先 | 27. 銑 | 32. 霰 | 16. 屑 | |
2. 仙 | 28. 獮 | 33. 線 | 17. 薛 | |
3. 蕭 | 29. 篠 | 34. 嘯 | ||
4. 宵 | 30. 小 | 35. 笑 | ||
5. 餚 | 31. 巧 | 36. 效 | ||
6. 豪 | 32. 晧 | 37. 號 | ||
7. 歌 | 33. 哿 | 38. 箇 | ||
8. 戈 | 34. 果 | 39. 過 | ||
9. 麻 | 35. 馬 | 40. 禡 | ||
10. 陽 | 36. 養 | 41. 漾 | 18. 藥 | |
11. 唐 | 37. 蕩 | 42. 宕 | 19. 鐸 | |
12. 庚 | 38. 梗 | 43. 映 | 20. 陌 | |
13. 耕 | 39. 耿 | 44. 諍 | 21. 麥 | |
14. 清 | 40. 靜 | 45. 勁 | 22. 昔 | |
15. 青 | 41. 迥 | 46. 徑 | 23. 錫 | |
16. 蒸 | 42. 拯 | 47. 證 | 24. 職 | |
17. 登 | 43. 等 | 48. 嶝 | 25. 德 | |
18. 尤 | 44. 有 | 49. 宥 | ||
19. 侯 | 45. 厚 | 50. 候 | ||
20. 幽 | 46. 黝 | 51. 幼 | ||
21. 侵 | 47. 寢 | 52. 沁 | 26. 緝 | |
22. 覃 | 48. 感 | 53. 勘 | 27. 合 | |
23. 談 | 49. 敢 | 54. 闞 | 28. 盍 | |
24. 鹽 | 50. 琰 | 55. 豔 | 29. 葉 | |
25. 添 | 51. 忝 | 56. 㮇 | 30. 怗 | |
26. 咸 | 53. 豏 | 58. 陷 | 31. 洽 | |
27. 銜 | 54. 檻 | 59. 鑑 | 32. 狎 | |
28. 嚴 | 52. 儼 | 57. 釅 | 33. 業 | |
29. 凡 | 55. 范 | 60. 梵 | 34. 乏 |
다음으로 본문을 보자. 제일 먼저 번호(빨간색)가 있고, 그 다음 ○(동그라미, 파란색), 그리고 운목의 대표자(보라색)가 있다. 본문에 나오는 번호는 목차의 번호와 일치한다. ○는 소운(小韻)을 구별하는 기호로, 이 아래에 있는 글자들은 발음(즉 성모+운모+성조)이 완전히 같음을 의미한다. 즉 東·菄·鶇·䍶 등등은 발음이 모두 'tung'으로 같고, 同·仝·童·僮 등등은 발음이 모두 'dung'으로 같다는 뜻이다. 각 글자 밑에 작은 글씨로 쓰인 것은 해당 글자의 해설이다. 여기에 각 소운의 대표자에는 반절 발음(노란색)과 동음자의 수(초록색)가 추가로 기재했다. 예를 들어 東 자의 설명에는 德紅切十七이라고 쓰였는데, 발음은 'tung'이고 이 책에는 東과 발음이 같은 글자가 17자 수록되었다는 뜻이다. 또 어떤 글자들은 음이 두 가지 이상인데, 이런 다음자(多音字)에 대해서는 다른 발음(검은색)도 설명하였다.
3. 외부 링크
한자데이터베이스 송본광운[6]중국철학전자화 위키 송명본 광운
위키문고 사고전서본 광운
韻典網
[1] 가장 적은 37성모설은 현재의 경순음이 존재하지 않는 대신 후치경음(만기 중고음에서는 권설파찰음) 정치음 莊조(莊母, 初母, 崇母, 生母)(俟母의 경우 당대에 이미 분화가 되었다는 설이 있고 좀 더 후대에 분화가 되었다는 설이 있다. 37성모설은 후자. 38성모설은 전자)가 존재했다는 설이고, 송대에 이미 경순음이 의미분별에 영향을 주었다는 41성모설, 影모 등 후음에 2가지가 있었다는 51성모설 등이 있다. 다만 광운에서는 37성모설이 일반적이고 집운에서는 51성모설이 주류이다.[2] 절운의 당나라 때 판본인 간류보결절운(刊謬補缺切韻)은 20세기가 되어서야 발견되었다.[3] 한국 한자음에 큰 영향을 준 운서로 예부운략, 배자 예부운략, 홍무정운, 삼운통고(예부운략의 축약본) 등이 있는데 이 운서들을 거슬러 올라가면 모두 광운이 나온다.[4] 한시 따위를 지을 때 같은 운으로 취급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의미한다. 광운에서 통용되는 운을 한 개의 운으로 취급하면 총 117운이 되는데, 이는 흔히 평수운(平水韻)이라고 하는 106운 체계와 거의 일치한다.[5] 엄밀히 말하면 없지는 않다. 다만 여기에 해당 글자수가 매우 적어서, 腫운에 수록하고 주석을 따로 달았다.[6] 메인에 있는 운도가 잘못된 부분이 있는데 상성 제55范운과 거성 제60梵위치가 바뀌어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