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족|한국어족 Koreanic Languages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한국어 | |||
고대 한국어 [[부여어족|{{{#!wiki style="background: #cdcdcd; margin: 1px;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block" | 중세 한국어 | 근대 한국어 | 현대 한국어 [[대한민국 표준어|{{{#!wiki style="background: #2449a6; margin: 1px;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block"" | |
제주어 | ||||
탐라어 | 제주어* | |||
■: 고어 * 한국어의 방언으로 분류되기도 함. | }}}}}}}}} |
한국어족 관련 틀 | ||||||||||||||||||||||||||||||||||||||||||||||||||||||
|
한국어족 韓國語族 Koreanic languages | ||
녹색은 주민 대부분이 한국어족 언어를 모어로 사용하는 지역이며, 빗금은 일부 주민들이 한국어를 모어로 사용하는 지역이다. | ||
<colcolor=#eee><colbgcolor=#003074> 유형 | 교착어[1] | |
어순 | 주어-목적어-서술어 (SOV) | |
원어민 | 78,039,165명 | |
하위 언어 | 고대 한국어† 중세 한국어† 근대 한국어† 한국어 (현대 한국어) 제주어[2] 육진어[3] | |
언어 코드 | <colcolor=#eee><colbgcolor=#003074> ISO 639-1 | KO |
ISO 639-2 | KOR | |
ISO 639-3 | KOR | |
글로톨로그 | 한국어: kore1280 한국어족: kore1284 | |
자세한 내용은 한국어 문서 참고하십시오. |
[clearfix]
1. 개요
한국어족의 기원에 대한 주요 학설을 소개한 영상 |
언어를 비교언어학적으로 분류할 때 쓰는 어족의 하나로 한반도와 부속도서에서 쓰이는 언어들이다. 현대에 존재하는 언어로는 한국어와 제주어, 육진어 등이 속한다.
보통 이 용어는 현대 존재하는 언어를 묶을 때보다는, 고대 만주-한반도에서 사용되었던 여러 언어를 통틀어 분류해 가리킬 때 사용한다. 한국어족에 속하는 고대 언어들에 대해서는 아직 학문적 합의가 없고 대립적으로 부여계 언어를 지칭하는 Koguryoic(고구려)이 한국어족이라는 관점과 삼한계 언어를 지칭하는 Han이 한국어족이라는 관점이 있다. 전자는 부여계 언어가 한국어족에 속했고 삼한계 언어는 일본어족에 속했다고 주장하지만 후자는 반대로 부여계 언어는 일본어족이나 퉁구스어족에 속했고 삼한계 언어가 한국어족에 속했다고 주장한다. 2021년 이후 경향은 전자에 힘이 실리는 추세이다.
2. 분류
한국어의 계통을 어떻게 분류해야 할지에 대해서는 19세기부터 수 차례 논쟁이 지속되어 왔었고, 알타이어족에 속한다는 가설이 잠깐동안 설득력을 얻었던 동시에 만주어를 비롯한 통구스어족이나 몽골어족, 나브흐어, 튀르크어족 등을 친척 언어인지 비교 분석하는 작업을 해왔다. 그러나 오랜 연구에도 이들 언어들이 어족을 형성할 수 있는지에 대한 충분한 근거가 마련되지 못하였다.그러던 중, 제주도 방언을 한국어와 별개의 언어로 분류해서 봐야 한다는 주장이 제시됨에 따라 한국어와 제주어를 한국어족으로 분류하는 기류가 생겨났으며 일부 학계에서도 이렇게 분류하기 시작했다. 독일 막스 플랑크 인류사학 연구소만 하더라도 한국어족을 별도로 분류하였다.
즉, 제주도 방언은 다른 한국어 방언과 차이점이 많고 의사소통이 어렵기 때문에, 관점에 따라서는 다른 언어로 볼 수도 있다는 주장이다. 물론 제주어가 별개의 언어로 구분될 정도로 한국어와 소통하기 힘들지는 않으니 굳이 나눌 필요가 없다고 보는 입장도 있지만, 간단한 의사 소통이 가능할 정도의 근연 언어인 스페인어와 포르투갈어는 물론, 정치적인 이유로 이름만 다르게 부르고 있을 뿐인 말레이어와 인도네시아어도 경우에 따라서는 다른 언어로 분류되기도 하는지라 이것을 근거로 한국어족 지지자는 제주어라는 개념에 정당성이 부여된다고 주장한다. 무엇보다 유네스코에서 소멸 위기 언어로 지정한 제주어, 즉 현대 제주 사람들 대다수가 구사하는 제주 방언이 아니라 현지에서도 구사자 수가 매우 적은 제주어의 경우, 다른 한국어의 방언과 비교했을 때 상호 의사 소통성이 현저히 떨어진다.[4] 언어의 분류라는 것은 여기부터 여기까지는 무슨 언어이고 저기부터는 다른 언어라는 식으로 딱딱 나뉘는 것이 아니다. 각각의 언어의 범위와 화자 수를 확정지어주는 국제적인 통일 기구 따위도 존재하지 않는 데다가, 언어의 분류는 국가 단위에 따른 정치적 문제에 역시 개입하기에 이 점은 연구자마다 다를 수밖에 없다.
이러한 이유로 '사투리가 군대를 가지면 언어가 된다'는 말이 있다. 예로 포르투갈어와 스페인어는 국가 자체가 달라서 완전히 다른 언어로 분류되지만 실제로는 다른 인도유럽어족과 비교해도 상호 이해 소통성이 매우 높다. 인도유럽어족 언어들이 겹치는 어휘나 어문이 많아 장벽이 낮은 편이긴 한데 스페인어와 포르투갈어는 그중에서도 특출나게 유사한 편. 반면 중국어의 경우 보통화와 광동화는 언어학적으로 완전히 다른 언어로 분류될 정도고 화자들 간의 상호 의사 소통성이 매우 낮음에도[5] 불구하고 중국 내부의 정책이 '하나의 언어'에 집착하기 때문에 광동화는 중국어의 '방언' 취급을 당한다. 만일 스페인어와 포르투갈어를 다른 언어로 구분지을 정도의 깐깐한 기준을 적용하게 된다면, 표준중국어-광동어, 한국어-제주어 모두 다른 언어로 다루는게 타당해진다.
국제적으로는 제주어의 존재 자체는 인정하되, 언어학적으로는 한국어의 하위 방언으로 분류하고[6] 한국어를 고립어로 분류하는 것이 주류 학설이다. 언어 화자수 조사에서 제주어 화자수가 한국어 화자수에 포함되어 집계되고 있는 것이 단적인 예시이다.
3. 조어
이 문단은
한국어 관련 문서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bgcolor=#3492da><colcolor=#fff> 문자 | 한글 · 옛한글 · 한자 · 한글 점자 | |
표기 | 한글전용 · 국한문혼용체 · 한글 전 한국어 표기 (이두 · 향찰 · 구결) · 맞춤법 (역사) | ||
시대별 분류 | 한국조어 · 고대 국어 · 중세 국어 · 근대 국어 · 현대 국어 | ||
국가별 표준 | 남한 표준 · 북한 표준 | ||
방언 | 한국어의 방언 | ||
관련 언어 | 고구려어† · 백제어† · 신라어† · 가야어† · 발해어† · 탐라어† · 제주어 | ||
관련 문서 | 국문법 · 한국 한자음 · 한국어족 · 한국어의 외래어 · 존비어 문화 · 한자 사용 · 한글의 문제점과 논쟁 · 한글로 표기할 수 없는 발음 · 국어기본법 · 점자법 · 한국수화언어법 | ||
타 문자 전사 | <colbgcolor=#3492da><colcolor=#fff> 로마자 | 한국어의 로마자 표기 · 표기법별 대조표 | |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 · 매큔-라이샤워 표기법 · 한글의 로마자 표기법 · 조선어의 라틴문자 표기법 · 예일식 표기법 · ISO식 표기법 · 한글학회 로마자 표기법 · 한글을 로마자로 적는 법 · 한세회식 표기법 · 유만근식 표기법 · 북한식 표기법 · 김복문식 표기법 · 양병선식 표기법 · 21세기 표기법 · 국립국어원식 표기법 · 루코프식 표기법 · 홀로도비치 표기법 | |||
키릴 문자 | 한국어의 키릴 문자 표기 | ||
홀로도비치 표기법 · 콘체비치 표기법 · 북한식 표기법 | |||
가나 | 국어의 가나 문자 표기법 | }}}}}}}}} |
한국조어(韓國祖語) 또는 원시 한국어(原始韓國語)는 한국어의 조상격 언어, 또는 그것으로 추정되는 것을 말한다. 한국어의 원향은 요서 및 만주로 비정되고 있다. 대다수의 조어들이 그렇듯 문자 기록은 거의 남아있지 않으며, 고대 한국어에 관한 사료가 터무니없이 부족한 한국어의 특성상 그 뿌리를 찾기가 매우 어렵다.
알렉산더 보빈 교수가 2003년 서적, Once Again on Lenition in Middle Korean에서 '오-'라는 어근을 한국조어 *won으로 재구하였으며, 그 이외에도 몇몇 언어학자들이 한국어와 일본어족이 친연관계를 가진다는 전제 하에 한국-일본의 공동조어를 재구한 바도 있으나, 이것도 하나의 설에 지나지 않은 실정이다.[7]
4. 기타
- 일본어와 류큐어를 묶은 일본어족이 비교적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분류인 것에 비해, 한국어족이라는 어족 분류는 그다지 일반적이진 않다. 예로부터 한국사회가 중앙집권 지향적인 분위기인데다 무엇보다 제주 4.3 사건의 여파로 인해 '제주어'도 강한 교정압력을 받는 등[8] 제주어라는 주제 자체가 주목받은지 오래되지 않았기도 하고, 애초에 일본어족과 한국어족 연구자의 수에서부터 차이가 나기 때문이다. 그 단적인 예로 위키백과를 들 수 있다. 2022년 9월 기준으로 일본어족이라는 표제어는 위키백과의 61개 언어판에 등록되어 있지만, 한국어족이라는 표제어는 20개의 언어판에만 등록되어 있다.
- 제주어와 마찬가지로 표준어와 말이 안 통할 정도로 차이 나는 육진어도 별개의 언어로서 주목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쓰이는 곳이 북한 땅이라 제대로된 연구도 잘 이뤄지지 못하는 실정이다. 그리고 육진어 사용자 중에는 여진족의 후손으로 알려진 재가승들이 있는데, 이들이 북한 당국에 의해 강제 동화당했다는 소문까지 나도는 상황이다. 하지만 재가승이 여진족의 후손인지조차 불확실하다.
- 한국어 기반의 한본어 또한 관점에 따라서는 역사 속의 한국어족 언어로 볼 수 있다.
5. 관련 문서
[1] 명사, 대명사, 수사를 후치수식함.[2] 한국어족 개념을 부정하는 쪽에서는 '제주 방언'으로 정의.[3] '육진 방언'으로도 정의.[4] 순 제주어와 한국어의 상호의사소통성은 독일어와 노르웨이어와 비슷하다. 즉 상호의사소통성이 떨어진다.[5] 한자로 필담하지 않는 한 아예 알아들을 수 없다.[6] 조금 비주류 언어이긴 하지만, 민남어와 대만어의 관계와 비슷하다. 중국의 복건성과 대만 지역을 중심으로 사용되는 민남어의 아래에는 복건어와 대만어는 물론, 조주어처럼 다른 민남어 방언과 음성적인 의사소통이 어려운 방언도 포함되지만, 일단은 전부 합쳐서 민남어로 분류 및 집계되고 있다.[7] 한국어-일본어 동계론은 한국어 문서 참조.[8] 학교에서 제주도 말을 쓰면 체벌을 당했다. 국어학계에서는 일찍부터 제주어를 아래아가 남아있는 등 표준어에서 보이지 않는 고어들이 많고 여러 독특한 특성들이 있다면서 연구대상으로 삼았지만 이러한 논의는 교육계에서 출세지향적인 태도를 보인 관계로 상당기간 동안 반영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