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07 11:59:03

램지 맥도널드 내각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0028 0%, #01013A 20%, #01013A 80%, #000028);"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C224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or: #806600"
[[조지 1세|
조지 1세
]]
로버트 월폴
[[조지 2세|
조지 2세
]]
로버트 월폴 스펜서 컴프턴 헨리 펠럼 토머스 펠럼홀리스 (1)
윌리엄 캐번디시 토머스 펠럼홀리스 (2)
[[조지 3세|
조지 3세
]]
토머스 펠럼홀리스 (2) 존 스튜어트 조지 그렌빌 찰스 왓슨웬트워스 (1)
대 윌리엄 피트 오거스트 피츠로이 프레더릭 노스 찰스 왓슨웬트워스 (2)
윌리엄 페티 윌리엄 캐번디시벤딩크 (1) 소 윌리엄 피트 (1) 헨리 에딩턴
소 윌리엄 피트 (2) 윌리엄 그렌빌 윌리엄 캐번디시벤팅크 (2) 스펜서 퍼시벌
로버트 젠킨슨
[[조지 4세|
조지 4세
]]
로버트 젠킨슨 조지 캐닝 F. J. 로빈슨 아서 웰즐리 (1)
[[윌리엄 4세|
윌리엄 4세
]]
아서 웰즐리 (1) 찰스 그레이 윌리엄 램 아서 웰즐리 (2)
로버트 필 (1) 윌리엄 램
[[빅토리아 여왕|
빅토리아
]]
윌리엄 램 로버트 필 (2) 존 러셀 (1) 에드워드 스미스스탠리
조지 해밀턴고든 헨리 존 템플 (1) 에드워드 스미스스탠리 (1) 헨리 존 템플 (2)
존 러셀 (2) 에드워드 스미스스탠리 (2) 벤저민 디즈레일리 (1) 윌리엄 이워트 글래드스턴 (1)
벤저민 디즈레일리 (2) 윌리엄 이워트 글래드스턴 (2) 로버트 게스코인세실 (1) 윌리엄 이워트 글래드스턴 (3)
로버트 게스코인세실 (2) 윌리엄 이워트 글래드스턴 (4) 아치볼드 프림로즈 로버트 게스코인세실 (3)
[[에드워드 7세|
에드워드 7세
]]
로버트 게스코인세실 (3) 아서 밸푸어 헨리 캠벨배너먼 허버트 헨리 애스퀴스
[[조지 5세|
조지 5세
]]
허버트 헨리 애스퀴스 데이비드 로이드 조지 앤드루 보너 로 스탠리 볼드윈 (1)
램지 맥도널드 (1) 스탠리 볼드윈 (2) 1차/2차 국가연립 3차 국가연립
[[에드워드 8세|
에드워드 8세
]]
3차 국가연립
[[조지 6세|
조지 6세
]]
3차 국가연립 4차 국가연립/체임벌린 전시 처칠 전시/처칠 과도 클레멘트 애틀리
윈스턴 처칠 (2)
[[엘리자베스 2세|
엘리자베스 2세
]]
윈스턴 처칠 (2) 앤서니 이든 해럴드 맥밀런 알렉 더글러스흄
해럴드 윌슨 (1) 에드워드 히스 해럴드 윌슨 (2) 제임스 캘러헌
마거릿 대처 존 메이저 토니 블레어 고든 브라운
데이비드 캐머런 테레사 메이 보리스 존슨 리즈 트러스
[[찰스 3세|
찰스 3세
]]
리즈 트러스 리시 수낙 키어 스타머
<colcolor=#FFC224>* 총리 성명 옆 (1, 2...) 표시는 총리가 재취임했을 때의 내각의 회차를 말한다. }}}}}}}}}}}}}}}


1. 개요2. 램지 맥도널드 1차 내각3. 램지 맥도널드 2차 내각4. 1차 국민정부5. 2차 국민정부

1. 개요

램지 맥도널드를 총리로 하는 내각을 다루는 문서.

2. 램지 맥도널드 1차 내각

램지 맥도널드 내각 (제1차 집권)
Lamsay macdonald ministry
{{{#!wiki style="margin: -16px -11px" 1924년 1월 22일 ~ 1924년 11월 4일
출범 이전 이후
1차 볼드윈 내각 2차 볼드윈 내각 }}}
<colbgcolor=#e50038> 국왕 조지 5세
총리 램지 맥도널드 / 제56대
여당
신임공급
(~1924.8.13.)
1924년 총선에서 승리한 노동당의 수립한 첫번째 내각이다. 당시 원내 제1당이었으나 과반확보에 실패하여 자유당과 신임 공급 협정을 맺어 내각을 유지했다. 사회보장제도 신설, 군축 등 여러 개혁적인 정책을 펼쳤으나 캠벨 사건과 지노비예프 서간 사건으로 색깔론 공격에 시달리다 자유당이 신임공급을 파기하고 내각불신임을 하며 재선거를 치뤘다. 그 결과 보수당이 과반을 차지하며 정권을 내준다.

3. 램지 맥도널드 2차 내각

램지 맥도널드 내각 (제2차 집권)
Lamsay macdonald ministry
{{{#!wiki style="margin: -16px -11px" 1929년 6월 5일 ~ 1931년 8월 24일
출범 이전 이후
2차 볼드윈 내각 1차 국민연립 내각 }}}
<colbgcolor=#e50038> 국왕 조지 5세
총리 램지 맥도널드 / 제58대
여당
(~1931.8.24.)
신임공급
1929년 선거에서 스탠리 볼드윈이 이끄는 보수당을 이기고 5년만에 정권을 탈환한다. 하지만 내각 수립 4개월만에 발생한 대공황에서 적자 지출 감수하는 사회 보장 정책을 지지하는 당내 좌파 및 자유당 진보파와 긴축 재정을 요구하는 자유당 보수파 및 보수당의 압력 속에 이렇다 할 해결책을 내지 못하고 2년만에 조지 5세에게 사임 의사를 전달한다. 그러나 조지 5세는 거국내각 수립을 역제안하였고 이를 수용하면서 내각 인사들과 맥도널드 계파를 노동당이 제명하며 사실상 2기 임기를 마치게 된다.

4. 1차 국민정부

1차 국가연립내각 (제3차 집권)
1st national gouvernment
{{{#!wiki style="margin: -16px -11px" 1931년 8월 24일 ~ 1931년 10월 27일
출범 이전 이후
2차 맥도널드 내각 3차 국가연립내각 }}}
<colbgcolor=#808080> 국왕 조지 5세
총리 램지 맥도널드 / 제58대
부총리 스탠리 볼드윈
여당
연립여당



맥도널드 2기 내각이 붕괴한 이후 만들어진 과도내각이다. 독립노동당과 독립자유당[1]의 의석수가 상당했기에 조기 총선을 결정해야 했다. 국민정부는 단 28명의 여당의원이 있었고 사실상 보수당 내각으로 기능했다. 이 시기 추밀원 의장이자 보수당 당수인 스탠리 볼드윈이 사실상의 부총리로 활동했다. 이들은 노동당의 확장 재정안을 부결시켰고 정치적 갈등은 심화되었다. 경제난으로 인해 사회불안은 급속도로 확산되고 오즈왈도 모슬리같은 파시스트들도 서서히 고개를 들기 시작했다.

5. 2차 국민정부

2차 국가연립내각 (제4차 집권)
2st national gouvernment
{{{#!wiki style="margin: -16px -11px" 1931년 10월 27일 ~ 1935년 6월 7일
출범 이전 이후
1차 국가연립내각 3차 국가연립내각 }}}
<colbgcolor=#808080> 국왕 조지 5세
총리 램지 맥도널드 / 제58대
부총리 스탠리 볼드윈
여당
연립여당

(~1932.9.28.)


1931년 총선에서 국민정부 연립정당들은 도합 554석이라는 초대형 승리를 거두는데 성공하였다. 그러나 국민노동조직은 25석이라는 의석만을 차지하였고 독립노동당은 국가적 위기 상황에서 내부의 파시즘 운동으로 인해 내분을 겪고 밖으로는 좌경 정책으로 불안감이 심화된 중산층 유권자로부터 외면받아 90석의 초라한 성적을 받아야 했다.

2차 국민정부는 1차 때와 마찬가지로 보수당과 스탠리 볼드윈의 주도로 굴러갔고 정작 총리인 맥도널드의 영향력은 약했다. 사회민주주의를 표방한 국민노동조직은 정작 빈민 구제를 위한 정책을 전혀 펴지 못했다. 한편 자유당은 1차 국민정부 수립 시기 분당한 국민자유당과 불편한 동거를 하고 있었는데 국민정부의 방침이 식민지를 연결한 블록경제(보호무역)이었는데 이는 자유무역을 금과옥조로 생각하던 자유당에선 절대 받아듣일 수 없는 조건이었다. 결국 자유당 조차 1년만에 정부에서 탈퇴하며 이후 국민정부는 말만 국민정부이지 보수당 내각과 그들에게 동조하는 노동당, 자유당 탈당파로 구성된 연립정부에 불과했다.

그러는 사이 독일의 총리가 된 히틀러는 라인란트 재무장을 하는데 이때 맥도널드는 심각한 건강 악화로 정무를 수행하는데 어려움을 겪었다. 볼드윈은 즉각 영국 해군의 군축을 중단하였으나 여전히 독일을 상대로 유화책을 펼쳤다. 맥도널드는 결국 건강 문제로 사임하고 추밀원 의장 볼드윈이 새 총리로 임명된다.


[1] 데이비드 로이드 조지와 존 케인스를 비롯한 확장재정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