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bgcolor=#253281><colcolor=#FFFFFF> 스타트렉의 등장인물 레너드 맥코이 Leonard McCoy | |||||||
| |||||||
스타트렉: 넥스트 제너레이션 | |||||||
본명 | 레너드 H. 맥코이 Leonard H. McCoy | ||||||
다른 이름 | 칼잡이 (Bones) | ||||||
종족 | 인간 | ||||||
성별 | 남성 | ||||||
국적 | |||||||
소속 | |||||||
계급 | |||||||
직책 | 의사 장성급 장교 | ||||||
상태 | 은퇴함 (2364년) | ||||||
출생 | 2227년 (137세) | ||||||
지구의 미합중국 조지아주에서 | |||||||
가족 | 데이비드 맥코이 (David McCoy) (아버지) 성명 미상의 고조할아버지 성명 미상의 고조할아버지의 할아버지 나티라 (Natira) (아내) 조안나 맥코이 (Joanna McCoy) (딸) | ||||||
작중 등장 | {{{#!wiki style="margin: 0px -10px -6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스타트렉: 디 오리지널 시리즈 (75) 서술된 에피소드 외 모든 에피소드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시즌 1 | |||||
<rowcolor=#FFFFFF> 에피소드 | 부제 | 비고 | |||||
01 | 환상 | ||||||
03 | 아무도 가본 적 없는 곳 | ||||||
07 | 소녀는 무엇으로 만들어졌나 | ||||||
12 | 메나쥬리 2부 | ||||||
27 | 자비의 전령 | }}}}}}{{{#!folding 스타트렉: 애니메이션 (19) 서술된 에피소드 외 모든 에피소드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시즌 1 | ||||
<rowcolor=#FFFFFF> 에피소드 | 부제 | 비고 | |||||
14 | 슬레이버 무기 | ||||||
16 | 성전 | ||||||
시즌 2 | |||||||
<rowcolor=#FFFFFF> 에피소드 | 부제 | 비고 | |||||
02 | 벰 | }}}}}}{{{#!folding 스타트렉: 넥스트 제너레이션 (1)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시즌 1 | ||||
<rowcolor=#FFFFFF> 에피소드 | 부제 | 비고 | |||||
01 | 파포인트에서의 조우 1부&2부 | [1] | }}}}}}{{{#!folding 스타트렉: 딥 스페이스 나인 (1)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시즌 5 | |||
<rowcolor=#FFFFFF> 에피소드 | 부제 | 비고 | |||||
06 | 시행착오 | [촬영본] | }}}}}}{{{#!folding 스타트렉: 쇼트 트렉 (1)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시즌 2 | |||
<rowcolor=#FFFFFF> 에피소드 | 부제 | 비고 | |||||
04 | 에브라임과 점 Ephraim and Dot |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6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영화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rowcolor=#FFFFFF> 제목 | 비고 | |||||
스타트렉: 더 모션 픽처 | |||||||
스타트렉 II: 칸의 분노 | |||||||
스타트렉 III: 스팍을 찾아서 | |||||||
스타트렉 IV: 귀환의 항로 | |||||||
스타트렉 V: 최후의 결전 | |||||||
스타트렉 VI: 미지의 세계 | |||||||
스타트렉 비욘드 | [사진] | }}}}}}}}} | |||||
배우 및 성우 | 드포레스트 켈리 (DeForest Kelley) |
1. 개요2. 상세3. 작중 행적
3.1. 스타트렉: 디 오리지널 시리즈3.2. 스타트렉: 애니메이션3.3. 스타트렉: 더 모션 픽처3.4. 스타트렉 II: 칸의 분노3.5. 스타트렉 III: 스팍을 찾아서3.6. 스타트렉 IV: 귀환의 항로3.7. 스타트렉 V: 최후의 결전3.8. 스타트렉 VI: 미지의 세계3.9. 스타트렉: 넥스트 제너레이션3.10. 스타트렉: 딥 스페이스 나인3.11. 스타트렉: 쇼트 트렉
4. 평행우주 및 대체 시간선5. 연표6. 여담7. 작품별 모습 / 포스터1. 개요
Damn it!
스타트렉 시리즈의 등장 캐릭터.
USS 엔터프라이즈의 수석 의료 장교(CMO).
2. 상세
스타트렉 시리즈에서는 과감하고 결단력 있는 커크가 행동하고 스팍이 그 옆에서 '비논리적이다' 혹은 '과학적으로 이렇다' 라고 첨언하면 그 옆에서 툴툴거리는 역할을 맡고 있다. 원조 스타 트렉은 용기와 결단력의 제임스 커크, 이성과 논리의 스팍, 인정과 감성의 레너드 맥코이가 다양한 사건에 직면하여 각자의 가치관에 따라 행동하는 이야기가 많다.[4]별명은 "본즈(Bones)". 이는 수술시 뼈를 자르는 뼈톱 (sawbones)에서 유래하였다. 원래 19세기 말 - 20세기 초 정형외과 의사 또는 외과의를 뜻하는 속어로서, TOS가 방영된 1960년대 기준으로도 이미 잘 쓰이지 않는 용어였지만 20세기 초의 지구와 유사한 환경의 행성에서 일어나는 에피소드 중에서 커크가 처음 쓰기 시작한 후 맥코이의 별명으로 굳어졌다. 넷플릭스의 자막에서는 "칼잡이" 라고 번역.
3. 작중 행적
3.1. 스타트렉: 디 오리지널 시리즈
커크, 스팍과 함께 시리즈 전반에 등장하며 주요한 역할을 맡는다. 스타트렉 시리즈가 이후 SF 장르 전반에 지대한 영향을 끼치게 되면서, 우주선의 선의 또는 의무관 캐릭터의 상징 같은 인물이 되었다고 할 수 있다.3.2. 스타트렉: 애니메이션
3.3. 스타트렉: 더 모션 픽처
3.4. 스타트렉 II: 칸의 분노
제독으로 승진한 후 우주선을 떠나 무기력하게 지내는 커크를 보며 안타까워한다. 이후 엔터프라이즈가 칸에게 공격받아 절체절명의 위기에 처했을 때, 스팍이 워프 코어에 직접 들어가 수리하려는 것을 자살행위라며 맥코이가 가로막자 스팍이 벌칸의 기술로 맥코이를 기절시킨 후 자신의 카트라(영혼의 울림)를 맥코이에게 심어둔다.3.5. 스타트렉 III: 스팍을 찾아서
맥코이는 전편에서 스팍이 심어둔 카트라 때문에 정신이상을 일으키고, 이것을 스팍의 시신에 돌려놓기 위해 제네시스 행성으로 여행하는 스토리가 전개된다.3.6. 스타트렉 IV: 귀환의 항로
20세기의 지구에 시간여행으로 방문. 우주선의 고장을 수리할 재료를 얻기 위해 원자력 항공모함에 침입했다가 머리를 다쳐 중태인 파벨 체코프를 구출하러 한 병원에 잠입했다가, 미래의 의술로 다른 환자들을 치료해놓는 등 시간여행의 룰을 상큼하게 무시한다. 히포크라테스 선서가 다른 모든 규칙에 우선하는 모양.3.7. 스타트렉 V: 최후의 결전
3.8. 스타트렉 VI: 미지의 세계
클링온 고관인 고르콘 수상이 치명상을 입었을 때 그를 살리기 위해 최선을 다하지만, 당시 클링온의 신체 구조는 행성연방에 전혀 알려져 있지 않았기에 손써보지도 못하고 환자를 잃는다. 클링온들은 이를 트집잡아 커크와 맥코이를 형무소 행성에 처넣는다. 이들이 이곳을 탈출해 클링온과 행성연방 사이의 화평을 방해하는 세력을 밝혀내는 이야기가 이 영화의 주된 내용이다.3.9. 스타트렉: 넥스트 제너레이션
시즌 1 1화 '파포인트에서의 조우' 에서 137세의 모습으로 깜짝 등장. USS 엔터프라이즈-D의 의료 시설을 점검한다. 트랜스포터 사용에 거부감이 있어서[5] 데이터가 셔틀을 타고 모셔온다. 이후 의료 시설을 점검하면서 데이터에게 엔터프라이즈를 잘 돌봐주면 엔터프라이즈가 항상 집으로 데려다 줄 것이라고 한다.[6] 거기에다 맥코이와 스팍의 케미를 아는 이들이라면 이해하겠지만, 벌칸에 대해서는 때때로 짜증나는 종족이라며3.10. 스타트렉: 딥 스페이스 나인
시즌 5 6화 '시행착오'에서 등장. 작중 벤자민 시스코, 마일스 오브라이언, 잣지아 댁스가 과거의 엔터프라이즈로 이동했을 때 등장. 기존 장면에 새 인물들을 합성시킨 에피소드이다보니 특별한 행적은 없다.3.11. 스타트렉: 쇼트 트렉
4. 평행우주 및 대체 시간선
- 켈빈 타임라인
자세한 내용은 레너드 맥코이/켈빈 타임라인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레너드 맥코이/켈빈 타임라인#s-|]]번 문단을
참고하십시오.#!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레너드 맥코이/켈빈 타임라인#|]][[레너드 맥코이/켈빈 타임라인#|]] 부분을
- 거울 우주
- 성격은 반대이지만 행동 방식은 비슷한지 두 맥코이가 똑같이 실수로 산성 용액을 손에 쏟았다. 여담으로 책상은 프라임 맥코이가 경악할 정도로 고문 기구로 가득했다.
5. 연표
- 2227년
- 지구에서 태어남
- 시기 불명 (2240년대)
- 미시시피 대학교 입학함
- 2245년
- 의료 활동을 시작함
- 2249년
- 조안나 맥코이가 태어남
- 시기 불명 (2250년대)
- 스타플릿에 입대함
- 2251년
- 드라미아 II에서 대규모 접종 프로그램을 이끔
- 2253년
- 대뇌 피질/조직 이식 수술법 개발
- 2254년
- 낸시 카터와의 연애를 시작함
- 2256년
- 낸시 카터와의 연애를 끝냄
- 시기 불명 (2260년대 초반)
- 소령으로 진급함
- 카펠라 IV 방문
- 2265년
- USS 엔터프라이즈의 수석 의료 장교로 배정됨
- 2268년
- 제노폴리시시미아에 감염됨
- 파브리니 대사제 나티라와 잠깐 결혼함
- 2269년
- 중령으로 진급함
- 2270년
- 5년 임무를 마치고 스타플릿에서 은퇴함
- 2285년
- USS 엔터프라이즈의 훈련 항해에서 수석 의료 장교를 맡음
- 스팍의 카트라를 보관함
- 2286년
- USS 엔터프라이즈-A의 수석 의료 장교로 배정됨
- 2293년
- 루라 펜테에 수감되나 이후 탈옥해 키토머 음모를 밝혀냄
- 시기 불명
- 대장으로 진급함
- 스타플릿에서 은퇴함
- 2364년
- USS 엔터프라이즈-D를 둘러봄
6. 여담
- 배우인 드포레스트 켈리는 1999년 6월 11일에 사망하였는데 오리지널 시리즈 주역 중 가장 빨리 사망한 인물이자 유일하게 2000년을 맞이하지 못한 배우이다.
- "He's dead, Jim"이란 명대사가 있다. 어찌나 많이 하는지 매 에피소드마다 반드시 빼놓지 않고 나온다고 봐도 무방할 정도. 시전 대상은 주로 빨간 셔츠(...). 그리고 (주로 커크에게) 툴툴거릴 때마다 "Damn it!" 또는 "I'm a doctor, not a XX!(난 의사지, XX가 아니야!)"라는 말을 해대서 이 역시 캐치프레이즈가 되었다.[7]SNL의 스타트렉 패러디 스케치등에서도 농담거리[8]로 쓰인다.
- 다른 명대로는 "초록피 홉고블린!" 주로 스팍이 너무 냉정하고 깐깐하게 굴거나, 사지로 가는 커크와 동행하라고 할 때, 스팍 본인이 사지로 가면서 맥코이를 같이 데려갈 때 주로 쓴다.
종차별적 발언이다[9] - 2024년 1월 8일에 스타트렉 출연진 및 제작진인 니셸 니콜스, 제임스 두한, 진 로덴베리, 메이젤 배럿과 미국의 전 대통령 조지 워싱턴, 존 F. 케네디, 드와이트 아이젠하워, 로널드 레이건과 함께 유해의 일부가 "엔터프라이즈 비행"의 일환으로 우주로 발사되었다.
7. 작품별 모습 / 포스터
| 파일:Leonard McCoy-2270.확장자 | 파일:Leonard McCoy-2270s.확장자 | 파일:Leonard McCoy-2285.확장자 | 파일:Leonard McCoy-2285-1.확장자 |
<rowcolor=#FFFFFF> 스타트렉: 디 오리지널 시리즈 (Star Trek: The Original Series) 1966 ~ 1969 | 스타트렉: 애니메이션 (Star Trek: The Animated Series) 1973 ~ 1974 | 스타트렉: 더 모션 픽처 (Star Trek: The Motion Picture) 1979 | 스타트렉 II: 칸의 분노 (Star Trek II: The Wrath of Khan) 1982 | 스타트렉 III: 스팍을 찾아서 (Star Trek III: The Search for Spock) 1984 |
파일:Leonard McCoy-2286.jpg | 파일:Leonard McCoy-2287.확장자 | 파일:Leonard McCoy-2293.확장자 | | |
<rowcolor=#FFFFFF> 스타트렉 IV: 귀환의 항로 (Star Trek IV: The Voyage Home) 1986 | 스타트렉 V: 최후의 결전 (Star Trek V: The Final Frontier) 1989 | 스타트렉 VI: 미지의 세계 (Star Trek VI: The Undiscovered Country) 1991 | 스타트렉: 넥스트 제너레이션 (Star Trek: The Next Generation) 1987 |
[1] 1부에서만 등장[촬영본] 실제 배우가 등장한 것이 아닌 이미 촬영된 영상이나 음성으로 등장[사진] 사진으로만 등장[4] 할란 엘리슨이 집필한 TOS S01E28 <The City on the Edge of Forever>는 스타 트렉 시리즈 전체를 통틀어 가장 뛰어난 에피소드로 칭송받는데, 이 3인방의 가치관이 잘 드러나는 에피소드로도 유명하다. 여기서 맥코이는 한 20세기 여성의 목숨을 구하고, 스팍은 맥코이의 행동으로 인해 인류 역사가 바뀌었음을 밝혀내며, 커크는 역사가 원래 방향으로 되돌아가도록(즉 그 여성이 결국 죽도록) 바로잡는 악역을 떠맡는다.[5] 극장판 1편 초반에 나왔던 승무원 2명이 전송 실패로 소멸해버린 그 사건이 어지간히 기억에 남았던 모양이다. 1편 본편에서도 전송기는 안 쓰겠다고 우기다가 간신히 데려왔다.[6] 스타트렉: 피카드 시즌 3 이후 이 대사가 다시 주목받았다.[7] 이 대사는 마찬가지로 의사 역할인 EMH의 대사로도 패러디되는데 퍼스트 콘택트에서 의무실로 보그가 침입하려 하자 EMH를 소환해 보그를 막으라 하니까 하는 말이, "이건 제 영역과 무관합니다. 전 의사지 문지기가 아닙니다."[8] 쓰러진 사람을 돌보라고 했더니 "Damn it! I'm a doctor not a..."가 자동으로 튀어 나왔다가 정신을 차린다든가[9] 홉고블린은 문서를 보면 알겠지만 '낡은 방식이나 사상을 고집하는 수구 정치인, 종교인, 학자들'을 지칭하는 표현이다. 그냥 뜬금없이 홉고블린 타령을 하는 것이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