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05 18:17:42

레이드 듀얼


1. 개요2. 특징3. 이벤트 금지 카드 및 스킬4. 단점

1. 개요

유희왕 듀얼링크스에서 등장하는 특수한 듀얼 방식. 레이드 듀얼 이벤트에서만 플레이할 수 있는 포맷이다. 이벤트 "RAID DUAL 복수의 맹화! 지박신 지박신 Ccapac Apu"에서 최초로 등장했다. 타 듀얼 룰과는 달리 오직 PVE로만 플레이 가능한 것도 특징. 듀얼 자체는 1vs1이다. 이벤트에 따라서는 라이딩 듀얼, 액션 듀얼과도 합쳐져서 플레이할 수 있는 게 특징.

2. 특징

레이드 듀얼용 덱들은 5종류의 덱[1]들만 있는 일반적인 이벤트 듀얼리스트와 달리, 레벨의 단위가 100으로 넘어가는 건 물론, 무려 3000까지 덱의 레벨이 어마무시하게 다양하다. 다만, 100레벨마다 덱의 구성이 극단적으로 바뀌는 건 아니고 특정 레벨을 기수로 해서 덱의 수준이 현격히 바뀌는 지라, 실제로는 4개 정도[2]라고 봐도 편하다.

이벤트 기간 중에 아무 때나 레이드 보스가 나타나는 건 아니지만, 일반 듀얼/PVP를 돌리다 보면 이벤트 고유 행동력을 얻을 수 있으며, 스폰율도 점차 높아진다. 그러다가 일정 컷을 넘기면 레이드 보스가 나타난다. 첫번째 날에는 몇 판을 돌려야 자신 쪽에 레이드 보스가 나타나지만, 날짜가 지날 수록 스폰율이 높아져서 후반부쯤에 가면 듀얼 1판을 돌리거나, 잠깐 카드깡/리플레이만 봐도 나타나는 경우도 잦다. 이렇게 나타난 레이드 보스는 24시간(통상 개체/2000 레벨 미만) 또는 12시간(상급 개체/2000 레벨 이상)이 지나면 사라진다.

입장할 수 있는 듀얼은 자신 쪽에 보스가 나타난 경우 실행할 수 있는 일반 레이드 듀얼, 그리고 다른 플레이어 쪽에 나타난 보스를 같이 잡을 수 있는 듀얼 어시스트로 2종류가 있다. 자신 쪽에 있는 레이드 듀얼에 입장할 때는 40개씩 소모, 듀얼 어시스트를 입장할 때는 20개씩 소모한다. 단, 최초 1회와 듀얼 어시스트 최초 1회는 행동력을 소모하지 않는다. 후술할 이유로 듀얼을 1번만 해도 알아서 보스가 잡혀 있어서 행동력을 쓰는 경우는 드문 편.

통상적인 4000vs4000으로 시작하는 스피드 듀얼과 달리, 여기서는 자신의 라이프는 4000 그대로, 상대는 가장 낮은 레벨의 라이프부터가 5자리, 레벨이 올라갈수록 몇십만, 몇백만의 라이프를 가지고 있는 상태로 시작한다. 듀얼 시작 시에는 무조건 후공 1턴째로 시작하며, 10턴(상대, 자신 각각 5턴 씩)이 지나 11번째 턴이 시작되는 순간[3], NPC 스킬로 강제 무승부 처리된다. 이렇게 무승부 처리된 경우에는 상대의 라이프가 깎인 채로 넘어가며, 행동력만 있다면 얼마든지 듀얼을 다시 입장할 수 있다.

금제 룰은 스피드 듀얼의 것을 따르지만 엑조디아나 데스티니 레오 등 특수 승리나 도그마 가이나 오파츠 아틀란탈처럼 LP를 특정 비율로 줄일 수 있는 카드/스킬들도 금지되어 있다.

대신, 이벤트에 따라서 특정한 카드들은 n배수의 데미지를 입힐 수 있다. 대부분이 그 이벤트와 연관성이 깊은 카드들[4]인게 특징.

부스터 아이템 중 결과 부스터나 경험치 부스터는 사용할 수 없다. 또한, 이벤트 전용 아이템으로 "드로우&서몬 EX"[5]를 보석으로 구매하거나, PVP 듀얼을 돌려서 한 개씩 매일마다 얻을 수 있다.

레이드 보스를 클리어하고 나면 이벤트 포인트와는 별도로 산정 기준에 따라 랭킹 점수를 얻게 되며, 이 점수의 랭킹은 이틀에 한 번씩 정산된다. S~B 등급의 유저들은 이틀에 한 번씩 정산 시기에 해당 듀얼리스트의 월드 소속 UR 팩을 하나 받게 된다.

==# 이벤트 목록 #==
최초 시작일출시된 듀얼리스트듀얼 월드 비고
2019년 06월 29일다크 시그너 키류 쿄스케 듀얼월드 (5D's)이벤트 "RAID DUEL 복수의 맹화! 지박신 Ccapac Apu!"
(2019/06/27~07/09)
2019년 12월 06일다크 시그너 렉스 고드윈듀얼월드 (5D's)이벤트 "RAID DUEL 최강의 지박신!
WIRAQOCHA RASKA!"
(2019년 12월 03일 n시~2019년 12월 11일 14시)
2020년 05월 21일 유희(DSOD) 듀얼월드 (DSOD)이벤트 "RAID DUEL 차원 영역 듀얼! 방계초수 버스터 간다일"
(2020년 5월 21일 n시 ~2020년 6월 1일 14시)
2020년 09월 01일카미 듀얼월드 (DSOD)이벤트 "RAID DUEL 차원 영역 듀얼! 방계초제 인디오라 데스 볼트"
(2020년 8월 31일 n시~2020년 9월 8일 13시)
2021년 5월 22일 플라시도듀얼월드 (5D's)이벤트 "RAID DUEL - 공포의 기황제!"
(2021년 5월 19일 16시 30분~2021년 5월 31일 14시)
2021년 12월 10일 아포리아듀얼월드 (5D's)이벤트 "RAID DUEL 절망의 마신 기황신 마시니클∞!"
(2021년 12월 7일 16시 30분~2021년 12월 16일 14시)
2022년 8월 28일 패러독스듀얼월드 (5D's)이벤트 "RAID DUEL 초융합! 패러독스 VS 세 명의 듀얼킹"
(2022년 8월 25일 16시 30분~2022년 9월 6일 14시)
2023년 3월 26일 Z-one듀얼월드 (5D's)이벤트 "RAID DUEL 최후의 인류! 무한계제 Z-one"
(2023년 3월 23일 16시 30분~2023년 4월 4일 14시)
2023년 4월 30일 V듀얼월드 (ZEXAL)이벤트 "RAID DUEL 우주급 넘버즈! No.9 천개성 다이슨 스피어"
(2023년 4월 27일 16시 30분~2023년 5월 9일 14시)
2024년 5월 26일 스펙터듀얼월드 (VRAINS)이벤트 "RAID DUEL 어머니인 성수! 생아발론 드리아트란티에!"
(2024년 5월 24일 14시~2024년 6월 4일 14시)
2024년 10월 26일 유리듀얼월드 (ARC-V)이벤트 "RAID DUEL 부활의 맹독룡! 스타브 베놈 퓨전 드래곤"
(2024년 10월 23일 14시~2024년 11월 5일 14시)

3. 이벤트 금지 카드 및 스킬

===# 카드 #======# 스킬 #===

4. 단점

근본적인 문제점은 재미가 없다. 상대 덱 자체가 플레이어를 쓰러뜨리려고 설계된 게 아닌 지, 안그래도 LP가 높은데 (플레이어 필드가 텅 빈게 아닌 이상) 매턴 수비 표시 몬스터를 여러 장 깔아서 LP 방어를 하는데 게임을 질질 끌어 그냥 재미가 없다.

그리고 레이드 듀얼인데 레이드하는 기분이 전혀 안든다. 듀얼은 1대1로 하고 서로 깎은 LP만 합산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기본적으로 레이드라고 하면 1:N의 변칙 듀얼같은 느낌으로 연상할텐데 오히려 리듬게임의 협라랑 비슷하다.

첫 이벤트 당시 플레이어는 무조건 선턴이 나오도록 설계되는 문제가 있었으나, 이는 피드백을 받아 무조건 후공이 나오도록 수정되었다.
[1] 10~40, 그리고 이벤트 후반부에 나오는 각성 버전의 50 레벨 덱[2] 10 레벨에 대응하는 덱(필드가 불리한 상황이어도 세트하지 않고 꿋꿋하게 앞면 공격 표시로 소환), 20레벨과 30레벨은 통합, 이벤트 듀얼리스트의 에이스 몬스터가 투입되어 있는 40레벨 덱, 각성 버번의 50레벨 덱[3] 일반 드로우 실행 전[4] 예를 들어 다크 시그너 이벤트 당시에는 시그너의 용들과 그 진화형은 3배, 5배의 데미지를 줬다[5] 일반 드로우는 2장, 일반 소환은 2번 가능.[6] 독사신 베노미너거, 비행코끼리, No.88 기믹 퍼핏-데스티니 레오, 잭팟 7, 환황룡의 천와, 고스트릭의 타천사[7] 데블의 성역이 이유.[엑조디아] 엑조디아 카드를 넣는 스킬이므로 금지.[9] 스킬로 묘지에 넣어지는 파멸룡 간드라X를 상대가 못 사용하도록 금지.[10] 너프먹기 전에는 공룡족이라는 조건을 딱히 요구하지 않아서 상시 전투 데미지 2배가 적용되었다. 2021년 5월에 너프먹은 후에도 금지는 여전히 유지중.[특수승리스킬] 특수 승리 스킬. 궁극의 지박신은 엄밀히 말하면 특수승리 스킬은 아니지만, 상대의 라이프를 1로 만들어버리니 여기에 해당.[엑조디아] [특수승리스킬] [특수승리스킬] [15] 스킬의 효과로 묘지에 넣을 수 있는 시계신 미치온/하이론이 레이드 듀얼에서 금지 카드.[16] 스킬의 효과로 묘지에 넣을 수 있는 No.6 오파츠 아틀란타르가 레이드 듀얼에서 금지 카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