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문서명2 != null
, [[]]
#!if 문서명3 != null
, [[]]
#!if 문서명4 != null
, [[]]
#!if 문서명5 != null
, [[]]
#!if 문서명6 != null
, [[]]
직업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0 -1px -11px" | [[귀검사/모바일/남자| 귀검사(남) | [[웨펀마스터(던전앤파이터 모바일)| 웨펀마스터 | [[소울브링어(던전앤파이터 모바일)| 소울브링어 | [[버서커(던전앤파이터 모바일)| 버서커 | [[아수라(던전앤파이터 모바일)| 아수라 | |||||||
[[귀검사/모바일/여자| 귀검사(여) | [[소드마스터(던전앤파이터 모바일)| 소드마스터 | [[다크템플러(던전앤파이터 모바일)| 다크템플러 | [[데몬슬레이어(던전앤파이터 모바일)| 데몬슬레이어 | [[베가본드/모바일| 베가본드 | [[블레이드(던전앤파이터 모바일)| 블레이드 | |||||||
[[격투가(던전앤파이터 모바일)| 격투가 | [[넨마스터/모바일| 넨마스터 | [[스트라이커(던전앤파이터 모바일)| 스트라이커 | [[스트리트파이터(던전앤파이터 모바일)| 스트리트파이터 | [[그래플러(던전앤파이터 모바일)| 그래플러 | ||||||||
[[거너(던전앤파이터 모바일)/남자| 거너(남) | [[레인저(던전앤파이터 모바일)/남자| 레인저 | [[런처(던전앤파이터 모바일)/남자| 런처 | [[메카닉(던전앤파이터 모바일)/남자| 메카닉 | [[스핏파이어(던전앤파이터 모바일)/남자| 스핏파이어 | ||||||||
[[거너(던전앤파이터 모바일)/여자| 거너(여) | [[레인저(던전앤파이터 모바일)/여자| 레인저 | [[런처(던전앤파이터 모바일)/여자| 런처 | [[메카닉(던전앤파이터 모바일)/여자| 메카닉 | [[스핏파이어(던전앤파이터 모바일)/여자| 스핏파이어 | ||||||||
[[마법사(던전앤파이터 모바일)| 마법사 | [[엘레멘탈마스터(던전앤파이터 모바일)| 엘레멘탈마스터 | [[배틀메이지(던전앤파이터 모바일)| 배틀메이지 | [[마도학자(던전앤파이터 모바일)| 마도학자 | [[인챈트리스(던전앤파이터 모바일)| 인챈트리스 | ||||||||
[[프리스트(던전앤파이터 모바일)/남자| 프리스트(남) | [[크루세이더(던전앤파이터 모바일)/남자| 크루세이더 | [[인파이터(던전앤파이터 모바일)/남자| 인파이터 | ||||||||||
[[프리스트(던전앤파이터 모바일)/여자| 프리스트(여) | [[크루세이더(던전앤파이터 모바일)/여자| 크루세이더 | [[이단심판관/모바일| 이단심판관 | [[무녀(던전앤파이터 모바일)| 무녀 | [[미스트리스(던전앤파이터 모바일)| 미스트리스 | [[인파이터(던전앤파이터 모바일)/여자| 인파이터 | |||||||
[[워리어(던전앤파이터)| 워리어 | [[와일드베인| 와일드베인 | [[윈드시어(던전앤파이터)| 윈드시어 | ||||||||||
[[마창사/모바일| 마창사 | [[뱅가드(던전앤파이터 모바일)| 뱅가드 | [[다크 랜서/모바일| 다크 랜서 | ||||||||||
[[도적(던전앤파이터 모바일)| 도적 | [[로그(던전앤파이터 모바일)| 로그 | [[쿠노이치(던전앤파이터 모바일)| 쿠노이치 | ||||||||||
범례 | 물리 공격형 / 마법 공격형 / 딜 시너지 / 유틸 시너지 / 미공개 직업 |
<colcolor=#fff>레인저 리볼버를 이용한 빠른 사격과 체술이 특기인 거너 | ||
<colbgcolor=#974757><nopad> | ||
{{{#!wiki style="margin: -5px -10px -5px" {{{#!folding [ 1차 각성 이미지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wiki style="margin: -5px -10px -5px" {{{#!folding [ 2차 각성 이미지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타입 | 물리 공격 | 딜러 |
난이도 | 어려움 |
권장 무기 | 리볼버 |
전직명 | 전직: 레인저 1차 각성: 데스페라도 2차 각성: 레이븐 |
언어별 표기 |
|
1. 개요
레인저(남) 캐릭터 소개 영상 |
리볼버를 이용한 빠른 사격과 체술이 특기인 거너
공식 가이드 페이지
공식 가이드 페이지
"화약냄새... 좋아하나?"
"시선이 느껴졌는데..."
인게임 대사 中
던전앤파이터 모바일에 등장하는 거너(남)의 상위 전직."시선이 느껴졌는데..."
인게임 대사 中
2. 스토리
2.1. 전직
레인저들은 독자적인 사격술을 가지고 있어.
그에 맞는 신체 능력과 도구가 필요하지.
네가 배운 그 사격술을 더 날카롭게 연마하다 보면,
너를 막아서는 그 어떤 벽도 뚫어버릴 수 있을거야.
사격과 체술의 매끄러운 연계를 항상 생각해.
{{{#!wiki style="text-align: right"
새로운 힘 : 레인저}}}그에 맞는 신체 능력과 도구가 필요하지.
네가 배운 그 사격술을 더 날카롭게 연마하다 보면,
너를 막아서는 그 어떤 벽도 뚫어버릴 수 있을거야.
사격과 체술의 매끄러운 연계를 항상 생각해.
{{{#!wiki style="text-align: right"
더 강해지기 위해 키리를 찾아간 거너는 키리에게 레인저들만의 독자적인 사격술을 훈련받게 되어 레인저의 길을 걷게 된다. 전직명 레인저(Ranger)는 원래 돌아 다니는 사람, 방랑자, 기마 경찰대원이라는 뜻이다. 그 중 천계 무법지대에서 활동하던 레인저(남)의 경우 '황야를 떠도는 방랑자'로서의 이름이 붙은 것이다.
2.2. 각성 : 데스페라도
무법지대에서 전설이 되어버린 레인저,
'데스페라도'에 대해 들어봤어?
적진 한복판에서 체술과 사격술로 적을 제압하고 유유히 사라지곤 해서
무법지대의 모두가 그 이름을 두려워했지.
대부분의 총잡이들은 그들의 기술이 불가능한 것이라고 말했지만,
그들은 실재했어.
적진 한복판에서 살아남은 '데스페라도'.
살아남지 못할 곳에 있다 하여도 살아서 돌아온 너도
그와 마찬가지로 '데스페라도'라 할 수 있겠어.
{{{#!wiki style="text-align: right"
깨어난 힘 : 데스페라도}}}'데스페라도'에 대해 들어봤어?
적진 한복판에서 체술과 사격술로 적을 제압하고 유유히 사라지곤 해서
무법지대의 모두가 그 이름을 두려워했지.
대부분의 총잡이들은 그들의 기술이 불가능한 것이라고 말했지만,
그들은 실재했어.
적진 한복판에서 살아남은 '데스페라도'.
살아남지 못할 곳에 있다 하여도 살아서 돌아온 너도
그와 마찬가지로 '데스페라도'라 할 수 있겠어.
{{{#!wiki style="text-align: right"
" 데스페라도... 잘도 이런 기술을 만들었구나."
데스페라도
자신의 강함에 한계를 느낀 레인저는 키리를 찾아가 무법지대의 전설적인 레인저 '데스페라도'에 대한 이야기를 듣게 된다. 키리가 제안한 의뢰를 수행하던 도중 난관에 봉착했지만, 데스페라도의 기술인 체술과 사격술을 동시에 구사하는 방법 '스커드 제노사이드'를 구사해 난관을 헤쳐나온다. 그리고 이때부터 레인저가 아닌 데스페라도(Desperado)라 불리기 시작한다.데스페라도
2.3. 2차 각성 : 레이븐
3. 특징
3.1. 스킬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레인저(던전앤파이터 모바일)/남자/스킬#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레인저(던전앤파이터 모바일)/남자/스킬#|]]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2. 장점
- 간지폭풍
스타일리시를 컨셉으로 잡은 거너 클래스 중에서도 멋의 극에 달했다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호리호리하면서도 다른 캐릭터들에 비해 월등히 큰 신장을 이용하여 손과 발을 안 가리고 멋있게 적을 공격하기 때문에 기술들의 멋에 반한 사람들이 많이 찾는 캐릭터다. 위 서술부분은 인게임 내 한정이지만, 자유롭게 황야를 누비는 무법자라는 컨셉이 외적인 부분에서도 호평일색이다.
- 우수한 지속딜링 능력
레인저의 15제스킬인 헤드샷과 25제스킬인 웨스턴파이어는 둘다 각각 쿨이 5초로[1], 높은 계수와 짧은 쿨이 맞물려 매 쿨마다 꼬박꼬박 박아주면 높은 데미지가 나온다. 무엇보다, 현 레인저는 선셋라이더를 엔드무기로 사용하는중인데, 선셋라이더에 달린 헤드샷 30%뎀증 때문에 저 강한 데미지가 더더욱 부각되는편. 이 덕분에 레인저의 딜링 능력은 어딜가든 상위권으로 평가받는다.
3.3. 단점
- 높은 운영 난이도
레인저의 운영 난이도는 던전앤파이터 모바일 직업군들 중 최상위권에 속한다. 헤드샷/웨스턴 파이어/트리플 탭 등 쿨타임이 짧은 기본기의 데미지 비중이 높은 지속딜형 직업군이기 때문에, 무큐기만 쿨마다 돌려도 준수한 데미지를 뽑아내는 폭딜형 직업군과는 달리 레인저는 기본기를 쉴새없이 박아넣어야 타직업에 필적하는 데미지를 넣을 수 있어 실전 난이도가 꽤 높은 편이다. 오죽했으면 앞서 PC버전에서 25세 이상 레이븐 금지 같은 말이 나왔겠는가.[2]
- 부실한 Y축 범위
헤드샷/웨스턴 파이어/트리플 탭/이동사격/패스트 드로우 등 사격 스킬의 y축이 매우 부실하다. 리볼버의 고질적 타점 문제로, 몬스터의 키가 작거나 몬스터가 바닥에 누워있는 경우 탄환을 적중시키기가 어려워 딜손실이 발생하므로 높은 운영 난이도가 요구된다.
- 높은 마나 소모량
주력기가 5초짜리 헤드샷/웨스턴파이어이고, 각성15룬으로 도배하는 레인저 특성상 마나가 문자 그대로 갈려나간다. 남들은 피채우려고 포션쓸때, 레인저는 마나채울려고 포션을쓰는 눈물겨운 상황도 종종 나오는 편.
4. 관련 인물
5. 관련 단체
6. 여담
- 일러스트가 상반신만 그려진 PC판과는 달리 모바일판은 전신이 모두 그려졌다. 18세 버전에서는 원작처럼 담배를 입에 물고 있으며 담배 연기 이펙트가 생기지만 12세 버전에서는 풀잎을 물고 있다. 자세히보면 풀잎 끝이 붉은 빛인데 불이 붙은 것으로 추정. 연기 이펙트는 생기지 않는다. 또한 피던에서는 양손에 똑같은 리볼버를 두 정 들고 있으나 모던에서는 양손에 각각 리볼버와 자동권총을 들고 있다.
- 2각 일러스트는 퀄리티 자체는 제법 높은 편이지만, PC판 원본 일러스트가 상당히 호불호가 갈린데다가 이를 모바일판에 거의 그대로 이식했기 때문에 호불호가 상당히 갈린다. 특히 피던의 레이븐 특유의 상의탈의 디자인을 그대로 가져왔고 상체를 강조하는 포즈로 그려졌기 때문에 인벤토리창을 열 때마다 부담스럽다는 평가가 많다. 피던은 그래도 측면으로 틀어 노출도를 조금이라도 줄였지만 모던에선 아예 적나라하게 보여줘 게이같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또한, 호평이 자자한 1각 일러에 비해 육체미를 강조하는 디자인이라 옷 디자인이나 장신구도 많이 베재되어 퀄리티의 밀도가 많이 낮다고 평가받기에 2각 일러는 그리 좋은 평을 받지 못하고 있다. 물론 1각, 2각의 그림체가 달라서 괴리감을 주었던 피던과 달리 모던은 옥성태 디렉터 주도 하에 그림체가 통일되었기 때문에 이 부분은 호평을 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