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9-04 00:47:56

루먼 인더스트리

<colcolor=#fff><colbgcolor=#000> 루먼 인더스트리
Lumon Industries
<nopad> 파일:루몬 기업로고.jpg
창설일 1865년
창업주 키어 이건 (Kier Eagan)
본사 파일:미국 국기.svg 키어
CEO
[ 역대 CEO 펼치기 · 접기 ]
키어 이건 (1865년 ~ 1939년)
앰브로스 이건 (1939년 ~ 1941년)
머틀 이건[1] (1941년 ~ 1959년)
베어드 이건 (1959년 ~ 1976년)
게르하르트 이건 (1976년 ~ 1987년)
필립 이건 (1987년 ~ 1999년)
레오노라 이건 (1999년 ~ 2003년)
제임[2] 이건 (2003년 ~ 현재)
직원 수 10만 명 이상
분류 대기업, 다국적 기업, 제약회사
업종 약학, 생명공학 외 다수[3]
링크 파일:링크드인 아이콘.png

1. 개요2. 작중 모습
2.1. 블랙 기업
3. 소속 인물4. 기타

1. 개요

세브란스: 단절에 등장하는 가상의 기업.

2. 작중 모습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nopad> 파일:루몬 본사.png
키어에 위치한 루먼의 본사
시작은 키어 이건이 1865년에 설립한 제약회사. 세계에서 제일 가는 수준의 생명공학 기술을 지니고 있으며, 현 CEO인 제임 이건이 개발했다고 알려진 '단절'을 처음으로 도입한 기업이기도 하다. 1866년에만 해도 단순히 연고나 파는 소규모 기업이었으나, 가업을 이으며 규모가 커졌고 단절이라는 새로운 시술로 인해 세계적으로 이름을 널리 알려 현재는 10만 명 이상의 직원들과 여러 연줄을 이용해 막강한 영향력을 지니고 있는 대기업으로 성장했다. 작중에서 등장하는 '키어(Kier)'라는 지역은 루먼에서 직원들을 위해 세운 기업 소유의 마을일 정도. 주인공을 포함한 다수의 직원들이 이 마을에 거주 중이다.

키어 일가가 대대로 CEO 자리를 물려받는 방식으로 회사를 이어가고 있으며, 특히 창업주인 키어 이건에 대한 존경심이 종교로 보일만큼 엄청난 것으로 나온다. 영속의 날개라는 전시관에는 키어 일가를 본떠서 제작한 여러 모형들과 이건의 생전 저택을 재현한 건물까지 마련되어 있을 정도이며, 뭐만 하면 키어 이건의 이름을 모욕하지 말라는 식으로 이야기하기도 한다.

2.1. 블랙 기업

그러나 작품 속에서 단절이라는 개념이 상당한 논란거리로 묘사되고, 이를 개발한 루먼 인더스트리 역시 절대로 정상적인 기업이 아니다. 단절 시술은 간단히 말하면 한 사람 안에 두 개 이상의 인격이 존재하는 것이나 마찬가지이며, 인격의 전환을 통제실에서 전부 관리하고 있기 때문에 직원들은 입사한 순간부터 루먼이 마음대로 부릴 수 있는 도구로 전락하는 꼴이다. 심지어 문제 대응방법 역시 답답하고 말이 안 되는 것들로만 이루어져 있으며 헬리 R은 입사하고 얼마되지 않아 자살까지 시도해 성공할 뻔할 정도로 관리가 엉망이다. 퇴근시간이 5시 전후로 평범한 편이고, 자체적인 저택까지 제공하는 등 복지 자체는 나쁘지 않지만 윤리는 거의 없다시피 한 수준.

거기에 더불어 작중 나온 뉴스에선 단절 시술을 받은 후 일터에서 임신을 하게 된 여직원의 사례가 나왔다. 아우티 입장에서는 임신하게 된 상황에 대한 기억은 물론 그러한 상황에 동의한 적도 없기 때문에 심각한 윤리적 문제가 뒤따른다.

또한 이니(Innie)의 기억이 제한되어 기본적인 상식 외에는 세상물정을 모른다는 것을 이용해 관리자들은 단절 직원들을 동등한 인격체로 대하지 않는다. 살면서 쌓아온 경험과 지식이 있는 시청자나 아우티(Outie)에게는 통하지 않을 자잘한 거짓말[4]을 매우 많이 할 뿐만 아니라 머그컵을 머리를 향해 던지는 등 폭력을 행사한다. 그럼에도 이니의 기억은 공간적으로 제한되어 단절층 밖으로 나가지 못하기에 신고도 못한다.

이 중에서 최악으로 손꼽히는 것은 '휴게실(Break Room)'인데, 그곳에서 하는 심리적인 고문을 보면 흔히 알고 있는 ‘휴게(Break)실(Room)'이 아니고 '정신을 부수는(Break) 방(Room)'인 것을 알 수 있다.[5] 즉, 강제로 반성 및 사과를 하게 만드는 비윤리적인 장소이다. 상급자의 명령을 거부하거나 회사에 피해를 주는 등 루먼 기준에서 잘못이라고 생각되는 짓을 저지른 직원을 휴게실로 불러 정해진 사과문을 낭독하게 시키는데, 이를 거짓말 탐지기로 분석하여 진실을 말할 때까지 무한반복시킨다.[6] 헬리 R은 아래의 반성문을 이틀에 걸쳐 1072번 낭독한 뒤에야 빠져나올 수 있었다.
Forgive me for the harm I have caused this world.
None may atone for my actions but me.
And only in me shall their stain live on.
I am thankful to have been caught, my fall cut short by those with wizened hands.
All I can be is sorry, and that is all I am.
내가 이 세상에 끼친 해악을 용서해 주십시오.
나의 행동을 속죄할 수 있는 이는 오직 나 자신뿐입니다.
그리고 그 오점은 오직 내 안에 남아 계속됩니다.
현명한 손에 의해 나의 추락이 빨리 멈춰진 것에 감사드립니다.
내가 할 수 있는 것은 오직 미안하다는 것뿐, 그리고 그것이 나의 전부입니다.

그리고 시즌1 피날레 및 시즌2에서, 자동차 사고 조작에 더불어 납치감금까지 저지르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마크는 자신의 아내도 아닌 누군가의 뼛가루를 아내라 생각하며 가지고 있었던 건 덤.[7]

3. 소속 인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세브란스: 단절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세브란스: 단절#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세브란스: 단절#등장인물|등장인물]]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기타



[1] 루먼의 첫 여성 CEO로, 그녀의 이름을 딴 '머틀 이건 스쿨 포 걸즈(Myrtle Eagan School for Girls)'가 존재한다.[2] 특이하게도 James가 아니라 Jame이다.[3] 단절칩뿐만 아니라 반창고, 각종 사무기기, 사무용품 등 작중 등장하는 거의 모든 물건들이 루먼 인더스트리 제품이다.[4] 불과 몇 미터밖에 되지 않는 폭포를 '세상에서 가장 큰 폭포'라고 소개하는 등. 이외에도 모든 글자를 감지해낼 수 있다는 일명 '코드 딕텍터'와 같은 장치들이 실제로 있는 것인지 아니면 또다른 거짓말인지 확실하지 않다.[5] 'Break'의 뜻이 1.부수다, 2.휴게 시간 인 것을 이용해 이중적인 의미를 의도한 것으로 보인다.[6] 사실 거짓말 탐지기는 법정에서 근거로 채택되지 못할 정도로 정확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이를 가지고 상대방이 진짜 거짓말을 하고 있는지는 알 수 없다. 그리고 루먼 관리자들은 거짓말을 많이 하기 때문에 애초에 진짜 거짓말탐지기를 쓰고 있는 것인지도 확실치 않다.[7] 마크가 그럼 지금까지 자신이 보관해온 뼛가루의 주인은 누구냐고 묻자, 루먼은 영안실에도 커낵션이 있다라는 대답이 돌아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