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10px" | <tablebordercolor=#f62f08><tablebgcolor=#f62f08> | 뤼튼 관련 문서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bgcolor=#f62f08><colcolor=#fff> 서비스 | 홈· 자동 완성(PC) · 완벽 요약 · 나만의 AI · 크랙 · 프롬프트 공유(PC) · 스튜디오 프로(PC) · 스튜디오(PC) · 스토어(PC) · 7초(모바일) | |
커뮤니티 | 뤼튼 마이너 갤러리 |
뤼튼 마이너 갤러리 Wrtn Minor Gallery | |
| |
<colbgcolor=#4b59a7><colcolor=#FFFFFF> 분류 | 디시인사이드 마이너 갤러리 |
개설 | 2023년 11월 21일 |
주제 | 크랙[1] |
약칭 | 뤼갤 |
링크 |
1. 개요
크랙을 이용하는 유저들이 모인 마이너 갤러리이다. 약칭은 뤼갤.AI 캐릭터 챗 관련 갤러리 중 가장 활발한 곳 중 하나다. 서버가 안 좋은 날엔 실북갤 상위권을 달성하기도 하는 등 갤러리 규모가 상당히 큰 편이다.
2. 특성
크랙 이용자들 중심으로 운영되는 갤러리이다. 특이한 점은, 제작자와 사용자 모두가 이용하는 갤러리라는 점이다. 주로 이런 류의 커뮤니티는 제작자나 사용자 어느 한 쪽 위주로 돌아가는 경우가 많은데, 양쪽을 모두 포괄하는 흔치 않은 커뮤니티라 할 수 있다.뤼튼 캐릭터 챗의 추천/검색/랭크 기능이 상당히 미비한 관계로 갤러리에서의 홍보가 상당히 활발하다. 그 중 속칭 언세이프티[2] 캐릭터 챗의 비율이 높은 편이며, 그로 인하여 상당히 검열 논란에 민감한 편이다. 특히 뤼튼의 캐릭터 챗 검열 관련 사건으로 갤이 반 불구가 되었다 살아난 적이 있어서, 회사와 대표를 향한 취급은 상당히 좋지 않은 편이다.
상기 언급했듯, 성인향 소재를 다루는 캐릭터 챗이 많아서인지 다양한 성적 취향이 갤 떡밥으로 오르내리는 경향이 있다. 갤 규정상 수간, 스캇, 포켓몬간, 퍼리, 할카스는 금지되어 있다.
3. 여담
- 뤼튼 서버의 원활함에 따라 갤의 활성도가 달라지는 경향이 있다. 즉, 뤼갤이 활발하면 그에 비례하여 뤼튼 측의 서버 상태가 안 좋을 가능성이 높다.
- 디시인사이드에서 몇 안되는 창작자와 이용자가 공존하는 갤러리이다. 이 방식이 좋은가에 대한 평가는 갤 내부에서도 크게 갈리는 편이며, 실제로 친목 관련 사건사고도 그리 드물지 않다.
- 뤼튼 사이트의 부족한 기능들을 상당수 보완하고 있다는 평가가 있다. 특히 홍보 탭은 뤼튼의 기능을 어느 정도 떠맡고 있는 수준이라는 평가가 있다.[3]
- 제작자와 이용자가 공존하는 갤답게, 양질의 정보글들이 다수 존재하는 편이다. 캐릭터 챗 제작/AI 이미지 제작 관련하여 다양한 도움을 받을 수 있으며, 제작 관련 질문글에도 답변이 잘 달리는 편. 정보글 모음집
- 캐릭터 챗 언어 모델 미표기 논란, Sonnet 3.7 출력량 감소 잠수함 패치 당시 갤러리를 이용하는 수많은 이용자들이 온라인 시위에 참여하거나 시위를 주도해 눈길을 끌었다.
- 제타, 바베챗 등의 경쟁사 AI 캐릭터 챗 서비스는 규정 상 언급 금지이지만, 적당한 선[4]에서는 언급을 허용했었으나, 여러 사건을 겪고 난 뒤 간접 언급과 챈 언급조차 금지시켰다.
- 2025년 4월 12일 그것이 알고싶다에서 방영된, 크랙, zeta, Babechat.ai, CAVEDUCK 등 여러 AI 캐릭터 채팅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해 AI 채팅 문화를 다룬 1438회 AI와 사랑해도 될까요? 편의 내용으로 나왔는데 그알측에서 뤼튼 갤의 게시글을 조작해서 올리거나 AI 기술을 악용해서 올려 AI기술을 성범죄를 저지를 것마냥 방송을 내어[5] 뤼튼 마이너 갤러리 이용자들의 비판을 받았고 오히려 그알의 '조작'부분을 논리정연하게 해석하여 반박했다.
4. 관련 문서
[1] 前 뤼튼 캐릭터 챗.[2] 성인 대상의 컨셉이나 이미지를 전면에 내세운 캐릭터 챗은 제작 시 반드시 세이프티 필터를 '미성년자가 대화하기에 적절하지 않아요'로 설정하고 등록해야 한다. 이처럼 '세이프티 필터를 적용하지 않은 캐릭터'를 편의상 '언세이프티 캐릭터'라고 부른다. 참고로, 뤼튼 캐릭터 챗 정책에서 이와 같은 캐릭터를 공식적으로 지칭하는 방법은 '민감한 캐릭터'이다.[3] 뤼튼에서도 '반응 뜨거운 새 캐릭터' 등 신규 제작자가 묻히지 않도록 최소한의 기능을 제공하고 있으나, 폭발적으로 늘어나는 제작자를 전부 커버하기에는 너무 역부족이다. 그에 비해 갤의 홍보 탭은 캐릭터에 대한 충분한 소개가 가능하고, 때에 따라 개념글로 올라가 더 많은 사람에게 노출되는 등 하꼬 제작자들에게 있어 자신의 캐릭터 챗을 알릴 수 있는 가뭄의 단비처럼 작용한다.[4] 옆집이라 칭하며 간접 언급[5] 해당 편 방영 이전부터 관련 제보를 수집 할 때부터 여기를 비롯한 AI 커뮤니티에서는 편파방영에 따른 우려 여론이 없지 않았는데, 정말로 그렇게 방송이 나와버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