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화형 인공지능 서비스 목록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width:300px; min-height:calc(1.6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페르소나 채팅 | 플랫폼 | Character.AI · CAVEDUCK · MyShell AI · Rolp.ai · zeta · 티카 · Babechat.ai · 크랙(뤼튼) · 레플리 · Elyn · 리플리챗 · Zena Life · 루나톡 · 버블챗 · GPTRPG |
프론트엔드 | TavernAI · RisuAI | ||
LLM | 개발사 | ChatGPT · Microsoft Copilot · Gemini · CLOVA X · 어니봇 · Cue: · Pi · Le Chat · SAIP · 삼성 가우스 | |
제공자 | Perplexity · 뤼튼 · YouChat | ||
컴패니언 | 이루다 2.0 · 강다온 · 허세중 · Neuro-sama · 라디안 · 냥아지 · 쿠로냥아지 | }}}}}}}}} |
RisuAI | |
| |
<colbgcolor=#0ea5e9> 언어 | 한국어, 영어, 중국어, 독일어, 베트남어 등 |
링크 | |
1. 개요
다양한 캐릭터들과 채팅 할 수 있는 오픈 소스 대화형 인공지능 프로그램이다. Character.AI 같이 다양한 캐릭터와 대화하는 서비스로, 국내로선 사실상 최초다.2. 특징
RisuAI는 로컬 설치형 버전과 웹사이트 버전을 모두 제공하며, Node.js를 이용한 로컬 서버 실행을 지원한다. 국내의 루나톡, 버블챗이나 해외의 Character.AI, NovelAI 같은 다른 서비스와는 달리, 채팅을 하려면 사용량 기반 요금이 부과되는 API 키를 직접 구하거나 로컬 모델을 직접 설정하여 연결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대신 openrouter.ai, mancer.tech 등 상대적으로 덜 알려진 모델 호스팅 서비스의 API까지 지원할 정도로 폭넓은 호환성을 자랑한다.기본적으로는 대화하는데 영어를 사용하지만, 그 때문에 인공지능의 답변 퀄리티가 높고, 번역기 기능이 있기 때문에 큰 문제는 아니다.
또한, 사용자가 원한다면 한국어 출력을 지원하는 프롬프트를 통해 한국어 대화도 가능하다.
사용법을 익히면 비교적 자유롭게 봇을 제작할 수 있다. GPT-4o, Claude 3.7 Sonnet, Gemini 2.5 Pro와 같이 성능 좋은 모델을 사용하면 우수한 품질의 채팅이 가능하다. 이 덕분에 한국에서도 Character.AI만큼은 아니지만 어느 정도 인지도를 확보하고 있다.
주요 기능으로는 TTS, 감정 표현 이미지 출력, 외부 API를 통한 실시간 이미지 생성, 장기 기억(Long-term memory)을 통한 연속성 있는 대화, 다양한 설정 및 랜덤 이벤트 삽입이 가능한 로어북(Lorebook), 정규 표현식 기반 자동 마크다운 적용, 자체 서버 또는 구글 드라이브 연동 채팅 기록 저장 등이 있다. 그 밖에도 구글 번역, DeepL API, Firefox 연동, AI 모델 기반 자동 번역 기능, 사용자가 직접 기능을 추가할 수 있는 플러그인 기능, 구글 드라이브/로컬 저장소/자체 서버를 이용한 백업 기능을 지원한다. 이처럼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므로 사용법을 익힌다면 편의성과 활용성이 매우 뛰어나다.
3. 기능
UI 스타일을 변경할 수 있는 '색상 팔레트' 기능이 있다. 기본 제공되는 7가지 테마 외에, 사용자가 9가지 색상을 직접 지정할 수 있는 커스텀 테마 1개를 지원한다.텍스트 색상으로는 '클래식'과 '고대비' 옵션이 기본 제공되며, 6가지 색상을 자유롭게 설정 가능한 커스텀 옵션도 이용할 수 있다. 폰트 역시 자유롭게 설정 가능하다.
번역 기능은 구글 번역, DeepL, 그리고 AI 모델을 활용한 번역을 지원한다. 백업 옵션으로는 로컬 저장소 백업, 구글 드라이브 백업이 있으며, 웹 버전에서는 추가로 계정 자체를 백업하는 기능도 제공한다. 또한, 자체적으로 내장된 블록형 트리거나 Lua 스크립트를 이용한 고급 트리거 설정 기능을 지원한다.
3.1. 모델
API키만 구할 수 있다면 OpenAI사의 GPT 시리즈 모델이나 Anthropic 사의 Claude 시리즈 모델 등 여러 가지 AI 모델을 지원하며, openrouter.ai나 mancer.tech 등을 이용해 해당 사이트에 있는 여러 가지의 AI 모델을 사용하여 무료나 싼 값으로 채팅할 수도 있다. 실시간 이미지 생성등을 위해 NovelAI의 모델을 API로 가져와 사용하는 유저들도 간혹 찾아볼 수 있다.[1]모델 사용비가 들지만 RisuAI 자체는 무료로[2] 중간에 플랫폼에서 가져가는 돈이 없기 때문에 오히려 다른 플랫폼에 비해 돈이 적게 들 수도 있으며, 컨텍스트 사이즈가 조절 가능해 다른 상용 서비스와 다르게 비용을 조절할 수 있고, 돈을 대가로 최대 기억 용량을 늘릴 수도 있다.
수파 메모리(Supa Memory)/하이파 메모리(Hypa Memory)라는, AI의 기억력을 대폭 증가시키는 기능 또한 있다. 활성화 시 별도의 메모리 영역에 기존 대화내역이 순차적으로 요약되어 들어가며, 이것으로 엄청난 기억력 향상을 누릴 수 있다. 사람으로 치면 단기기억을 장기기억으로 바꿔주는 해마와 같은 역할을 구현하는 기능. 2025년 3월 기준으로 하이파메모리 v3이 최신 버전이며, 이를 사용하는 것을 추천한다.
3.2. RisuRealm
'RisuRealm'이라는 캐릭터 공유 서비스가 있으며, 자신이 만든 캐릭터를 공유하거나 다른 사람이 만든 캐릭터를 다운로드할 수 있다. 캐릭터 목록은 Recent(최신순), Trending(인기순), Downloads(다운로드 수 기준), Random(무작위)의 4가지 방식으로 정렬할 수 있고, 태그나 이름으로 검색하는 것도 가능하다.다른 비슷한 플랫폼들과 달리, 캐릭터에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를 직접 설정할 수 있고, 태그를 달아서 검색하기 쉽게 만들 수도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인기 판별에는 다운로드가 아닌 인기도라는 수치를 사용한다.[3] 캐릭터를 클릭하면 상세 정보 창이 뜨는데, 여기서 캐릭터 이름, 제작자 이름, 태그, 소개글[4],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표기, 그리고 '인기도' 수치를 확인할 수 있다.
2024년 5월 18일에 RisuAI에서 독립하여 별개의 사이트로도 출시했다. RisuRealm Standalone
캐릭터 정보가 담긴 카드(.charx 파일)를 다운로드 받을 수도 있고, 웹 버전 RisuAI에 바로 불러오는 기능도 지원한다. 로컬 버전 RisuAI 사용자를 위해 캐릭터 ID를 복사하는 기능도 있고, 캐릭터 정보 없이 순수하게 이미지 파일만 받을 수도 있다. JSON 형식 다운로드도 지원한다.
3.3. 프롬프트 템플릿
AI에게 전송될 것인지 수정하는 기능이다. 다른 플랫폼과 다르게 매우 자유롭게 수정이 가능하다. 각 프롬프트 블럭에 표시용으로 이름을 넣을수도 있고, RisuAI 내 에서 프롬프트 타입, 프롬프트 특수 타입, 역할을 지정할 수 있다. 그리고 화살표로 프롬프트 블럭 순서를 바꾸는 것도 가능하다. 필요에 따라 일부 프롬프트를 뺴거나 추가할 수 있는 토글도 만들 수 있다.이 기능을 이용해 어떻게 답변할 것인지 명령문을 직접 쓰거나 이를 공유할 수 있으며, 제대로 적는다면 답변 퀄리티를 극대화 할 수도 있다. 프롬프트 공유는 '프리셋' 을 이용하는데, RisuRealm에 업로드하거나 Risupreset(.risup) 파일로 공유할 수 있다.
3.4. 플러그인
JavaScript로 직접 플러그인을 만들어 프로그램에 기능을 직접 추가 할 수 있다.이로 인해 제작 난이도가 모듈보다 높지만, 더 딥한 수준의 기능을 만들어낼 수 있다.
이전에는 기본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마크다운 플러그인이 있었지만, RisuAI 내부에서 자체적으로 마크다운을 지원하면서 현재는 삭제되었다.
번외로, 야드파운트를 미터로 바꿔주는 플러그인과 토큰을 절약하기 위해 논-로마자 토큰을 로마자 토큰으로 바꿔주는 플러그인도 있었다.
3.5. 추가 에셋
추가 에셋은 캐릭터에 이미지/동영상 파일을 저장하고, 채팅에 {{image::<이미지이름>}}와 같은 문법이 입력되었을 때 그 파일을 채팅에 띄어주는 기능이다.이것 만으로는 의미가 없지만, 정규식이나 로어북 등의 기능을 사용해 채팅 도중에 캐릭터가 사진을 보내거나, 현재 상태를 보여주는 상태창 등 다채로운 플레이를 가능하게 해준다.
3.6. 모듈
기존의 글로벌 로어북과 글로벌 정규식을 통합하였고, 여러 기능들이 추가된 기능이다.로어북, 정규식 스크립트, 트리거 스크립트, 백그라운드 임베딩, 추가 에셋을 하나로 묶어서 배포할 수 있으며, 모든 채팅에서 활성화하거나 채팅 중에 토글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해서 모든 채팅에 적용되는 상태창이나 프롬프트의 출력 내용 중 스토리과 관련없는 내용을 숨기는 것, 특정 로어북을 원할 때에 발동시킬 수 있다.
4. 관련 사이트
4.1. 공식 사이트
4.2. 비공식 커뮤니티
[1] 텍스트 생성으로서의 NovelAI는 공식 홈페이지와 잘 호환되는 기능이 적어서 잘 사용되지 않는다.[2] 광고가 있긴하지만 캐릭터를 불러오는 도중에만 나오기에 플레이에 방해되지 않는다.[3] 처음엔 (다운로드 수 × 3.7)이었다. 그러다 별도 사이트로 나오면서 (상호작용 수 × 2) + (다운로드 수 × 7)로 바뀌었다가, 새로고침으로 점수를 올리는 문제가 생겨서 상호작용 판정 방식을 수정한 뒤 지금은 (상호작용 수 × 2) + (다운로드 수 × 9) 공식을 쓰고 있다.[4] 가끔 제작자가 패치노트를 적어두는 경우도 있다.[5] 비공식 커뮤니티이긴 하지만, 초기 개발이 해당 커뮤니티에서 진행되었고 현재도 개발자가 자주 글을 올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