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09 01:27:54

Claude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동음이의어에 대한 내용은 클로드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병합 토론 중
생성형 인공지능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keep-all"
유니모달 모델 기반
<colkeepall> 텍스트 [[소설|
소설
]] NovelAI · AI Dungeon · AI Novelist
대화형 [[챗봇|
챗봇
]] ChatGPT · Microsoft Copilot · Gemini · CLOVA X · Cue: · Inflection AI · Mistral AI · Grok
[[언어 모델|
언어모델
]] GPT · LLaMA · Gemma · Claude · Phi · Exaone · OpenELM · Qwen · DeepSeek
코드 [[코드#컴퓨터 소프트웨어|
코드
]] GitHub Copilot · Devin · Phind · DeepSeek
이미지 [[그림 인공지능|
그림
]] Midjourney · DALL·E · Artbreeder · NovelAI Image Generation · Stable Diffusion · FLUX.1 · Gaugan2 · Dream by WOMBO · Adobe Firefly · Deep Dream Generator
[[영상 인공지능|
영상
]] Stable Video · Sora · Meta Movie gen · Lumiere · Veo · Runway AI · Luma Dream Machine · Kling AI
[[모델링|
모델링
]] LATTE3D
오디오
소리
[[음성|
음성
]] A.I.VOICE · DeepVocal · Voice Engine
[[음악|
음악
]] Suno · Stable Audio · Udio · AIVA
멀티모달 모델 기반
대화형
+이미지
Exaone 3.5 · Samsung Gauss
+음성/이미지
GPT-4o · GPT-5 · Gemini · o1 · o3 · DeepSeek
+에이전트
Galaxy AI · Claude 3.5 Sonnet
행위
동작
[[지능형 에이전트|
에이전트
]] Apple Intelligence · Project Astra · Google Jarvis
[[인공지능 로봇|
체화
]] Tesla optimus · Google RT-X · Project Gr00t
}}}}}}}}}


<colbgcolor=#da7756><colcolor=#fff>
Claude
클로드[1]


파일:Claude.png


개발사 Anthropic
분류 언어 모델
출시일
v3.5
2024년 10월 22일
언어 한국어, 영어 포함
서비스 일부 유료
라이선스 Proprietary SW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Google Play 아이콘.svg | 파일:App Store 아이콘.svg

1. 개요2. 상세3. 버전
3.1. Instant3.2. v23.3. v3
3.3.1. v3.5
3.3.1.1. 프로젝트
4. 타 LLM과 대비
4.1. 장점4.2. 단점
5. 기타

[clearfix]

1. 개요

Anthropic 사가 개발한 언어 모델.

2. 상세


520억 개의 매개변수를 포함한 자사의 첫 대화형 인공지능이다. claude.ai에서 사용이 가능하며, Quora, 슬랙, 줌 비디오 커뮤니케이션, Notion 등 파트너 사이트에서도 볼 수 있다. 타 LLM에 비해서 텍스트에 대한 이해가 매우 좋고, 응답도 빠른 장점이 있다.

3. 버전

v3 시리즈부터, 모델은 각각 Haiku[2], Sonnet[3], Opus[4]의 세 가지로 나뉜다. 출력 속도는 Haiku > Sonnet > Opus 순서이고, 출력 품질은 반대이다.

3.1. Instant

가벼운 버전의 모델이다. 100만 토큰당 1.63 달러 과금제로 2에 비해서 비교적 저가이며, 빠른 답변이 가능하다.

3.2. v2

2023년 7월에 런칭된 자사 메인 모델로 Instant보다 강력한 성능을 낸다. 100만 토큰당 8.00 달러[5]를 과금하며, 코딩, 복잡한 추론, 창작 등의 영역에 강점을 보인다. 이전 버전인 Claude-1도 2와 같은 가격으로 여전히 지원하고 있다.

3.3. v3

링크: 한국에서도 ChatGPT와 유사한 방식 혹은 anthropic에서 제공하는 api를 통해 정량제로 요금을 지불하는 방식으로 이 모델을 사용할 수 있다. 무료로도 제한된 기능의 이용은 가능하다.

2024년 2월에 런칭되었다. GPT-4보다 앞선 성능을 보인다고 발표했다. Kevin Andrew Fischer 스탠퍼드 대학교 전기 공학 박사는 Claude-3가 자신의 양자 역학 눈문을 학습한 몇 안 되는 지능체라 말했고, 양자 물리학 신이론을 프롬 2개 만에 재발명했다고 한다. 노르웨이 멘사 IQ 테스트에서 대화형 AI 중 처음으로 IQ 100을 넘겼다.[6]

Claude 3 Opus까지의 기준으로는 작문과 연관된 능력, 다국어에 대한 이해도가 출시 당시 기준 다른 언어 모델보다 뛰어난 편이다. 특히 유료 버전의 기계 번역의 성능이 속도를 제외하면 정확성 측면에서 매우 뛰어나다. 번역될 결과물의 문체도 지정할 수 있고, 특정 지식을 고려하게 하는 언어 모델 기반 번역에 대해서는 기계 번역 문서를 참고할 수 있다. 한국어도 지원되며, GPT4가 지원하는 모든 언어, 심지어 한문(전문적인 주제를 다루는 동양 고전도 어느 정도 해석이 된다.), 고대 그리스어고대 영어까지 지원된다. 마이너한 집단에서 쓰이거나, 아주 최근부터 쓰인 인터넷 속어나 한문이 섞이지 않은 조선 시대 이전의 고어투, 심한 사투리(한국어 방언에 대한 사전 지식은 수도권 출신 일반인보다 약간 낮다.)가 아닌 한 한국어 문체의 이해 능력이 높은 편이다. 다만 그 이해 능력은 문법 용어를 잘 이해한다기 보다는 어떤 글의 어미가 어떤 의미를 가졌는지 등을 이해한다는 것이다. '했습니다'를 '했다'로 바꾸는 식의 프롬프트를 이해하지만 해라체가 무엇인지는 잘 모른다.

비영어권 언어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서 인공지능이 잘 다루던 유럽의 언어와 더불어 그동안 언어 데이터가 분석이 덜 된 동남아, 중동 등지의 전문적 주제의 글도 해석이 되고, 한국 내 외국인 노동자용 문장 DB(한국어와 외국인 노동자 언어로 된 문장 대조)와 맞는 문장이 우즈벡어, 싱할라어 등으로도 거의 똑같이 생성되거나 종종 그 이상의 정보도 알려준다. '보증을 서시겠습니까?'를 외국어로 표현할 때 더 예의를 갖춘 표현을 알려주는 식으로 말이다. 영어, 일본어는 물론 심지어 한국어로 발음을 쳐도 인식이 된다. 생소한 언어는 그런 것이 어려우나 그 언어로 된 문장의 발음을 IPA로 옮기고 이를 한국어로 옮기라고 하면 발음을 한국어로 알 수 있다. 잘 알려지지 않은 소수 민족의 언어라도 문맥과 어학 지식을 기반으로 단어의 의미를 유추하여 번역을 시도한다. 그러나 저작권에 대한 검열이 심각하여 심지어 오래된 민요 같은 저작권이 없는 작품도 저작권이 있는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가 있는데, 저작권 보호 기간이 지났다는 식으로 알려준다든가, 기타 다른 방식으로 저작권이 없다는 것을 알려야 한다.

한국 법조문도 기본적으로 학습된 모양인지 법률적 판단을 시키며 구체적 근거를 요구하면 환각이 심한 결과를 내놓지만, 실제 법과 비슷하게 환각에 근거한 답변이 나온다. 그래서 법률적 판단의 해답은 이 모델 그 자체의 지식만으로는 구하기 힘들지만 법률적 판단을 위해 어떤 정보를 찾아야 하는지에 대한 힌트나 단서까지는 찾을 수 있다. 판결문, 법조문의 어려운 표현을 쉽게 풀어서 써달라는 요청 정도가 가능하다.

대신 이미지에 적힌 문자를 인식하는 능력은 GPT-4o와 비교하면 현저히 떨어지고 이전의 GPT4보다도 떨어지거나 비슷한 정도라서[7] 이미지에 적힌 한글은 고화질 정자가 아니면 해석을 못하고, 일본어나 중국어에 쓰이는 문자도 비슷하다. 라틴 문자나 수학 기호만 좀 인식한다. 이미지를 인식할 수는 있지만 이미지를 첨부하면 그 대화에서는 GPT4보다 사용량이 제한되는 면이 있다.

ChatGPT, Copilot, Bard와 달리 검색은 되지 않는다. 2023년 8월까지의 정보만 제공한다. 다만 '튀르키예'를 2022년 6월 이전처럼 '터키'라고 표현하는 것을 선호하는 등 한국어의 경우 더 과거의 데이터 위주로 학습된 경우도 있다.

유료 버전은 월 20달러.

3.3.1. v3.5

Anthropic의 모델 소개 글

한국 시간 2024년 6월 21일 Claude 3.5 Sonnet이 공개되었다. Claude-3 대비 작동 속도 및 비용 효율성이 개선됐다. 전 세대 최고 모델인 클로드-3 Opus 대비 2배 속도로 작동하며 비용은 오히려 더 저렴해졌다.

성능은 Claude 3이 출시 당시 다른 모델보다 비교 우위를 보이던 분야에서 매우 뛰어나다. 예컨대 번역 성능과 같은 부분은 GPT-4o나 Gemini 1.5 pro보다 앞선 모습을 보인다. 중국어, 일본어 등으로도 한국의 관련 어문 전공자 못지않은 지식을 제공한다. 2024년 4월까지의 정보가 학습되었다. 'Most intelligent model'이라는 소개를 통해 Anthropic 은 자사의 과거 모델에 비교해 더 지적인 언어 모델이라고 여겼다. LiveBench에서는 출시 당시 기준 최고 성능의 모델이라는 평도 등장했다. Claude 3.5 Haiku, Opus도 출시될 것이라고 한다.

뉘앙스, 유머, 복잡한 지침을 파악하는 능력이 향상되어 자연스럽고 공감할 수 있는 어조로 고품질 콘텐츠를 작성할 수 있게 되었다.

Claude-3 대비 비전 능력도 향상되었다. 정자체 한글을 무리 없이 인식할 수 있게 되었다.

다만 Claude 모델 공식 홈페이지를 이용할 때 Claude-3처럼 한 방에서 채팅을 많이 하면 사용을 많이 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이 문제를 피하려면 여러 개의 방을 두고 채팅을 해야 한다.

Claude 3과 마찬가지로 노래 가사의 저작권에 대해 저작권이 없는 노래도 저작권이 있다며 자세한 답변을 거부하는 결과가 나올 정도로 유독 예민하다. 이 문제로 소송을 당한 영향이 있어서로 보인다.

한국 시간 10월 23일 Claude 3.5 Sonnet의 upgrade된 버전이 나왔다. 기존의 3.5 Sonnet보다 광범위한 개선을 이루어냈으며, OpenAI o1-preview와 같이 에이전트 코딩에 특화된 모델보다 더 뛰어나다고 주장한다.#

같은 시간에 Claude 3.5 Haiku도 공개되었다. 기존의 3 Haiku와 동일한 비용과 유사한 속도로 전체적인 모델의 개선이 이루어졌으며, 기존의 3 Opus보다 인텔리전스 벤치마크에서 더 뛰어난 성능을 보였다. 코딩에 특화된 측면에서도 기존의 3.5 Sonnet보다 더 높은 점수를 받아서 코딩용으로 꽤 괜찮을 것으로 평가된다. Amazon Bedrock과 Vertex AI에 먼저 제공을 시작했고, 텍스트 전용 모델로 제공되다가 추후 이미지 입력도 추가될 예정이다.
3.3.1.1. 프로젝트
구분을 위한 이름을 가진 독립적인 개체를 만들어, 그곳에 관련 파일들을 올려놓고, 그 파일들을 처음부터 전부 참조 가능한 상태로 대화를 시작하는 기능이다. 파일과 별개로, 스크립트를 입력해 추가적인 튜닝을 시킬 수도 있다.

사실상 각종 문서 및 스크립트로 미리 튜닝된 대화방을 무한히 생성할 수 있는 기능이다. 대화가 길어지면 여러 고질적인 문제가 발생하지만 대화를 버리면 처음부터 다시 튜닝해야 하는 Claude의 고질적인 불편함을 크게 개선시켜 준다. Claude는 대화의 내용을 정리한 문서를 작성하는 능력이 있으므로, Claude에게 시켜서 얻은 대화 내용 문서를 다시 프로젝트에 박아 넣고 새 대화를 생성하는 식으로 작동시키면 된다.

4. 타 LLM과 대비

4.1. 장점

사실 아직까진 인지도 있는 대항마가 GPT-4뿐이므로 대부분 GPT와의 대비점이다. 해당 사항들은 모델의 마이너 패치나 경쟁사의 최신 모델 출시 등으로 언제든 상황이 바뀔 수 있음을 주의해야 한다. 현재는 3.5 Sonnet 모델 기준으로 작성되었다. 또한 일반적인 상황에서 파인튜닝되지 않은 기본 모델을 기준으로 한다.
모래시계가 멈춘 것은 한겨울 새벽이었습니다.
처음엔 몰랐어요.
단지 어머니의 시계가 멈췄다고만 생각했지요.
오래된 것이었으니까요.

낡은 선반 위에서 먼지 쌓인 채 수십 년을 버텨온 그 모래시계,
위아래로 뒤집을 때마다 서걱거리며 흐르던 푸른빛 모래알들.
그런데 그날, 내가 뒤집어도 한 알도 흐르지 않았어요.
모래들이 서로를 껴안고 딱딱하게 굳어버렸더군요.
아, 처음부터 알고 있었네요.
이게 무슨 의미인지.

병실 창가에 놓인 어머니의 손등에서
푸른 혈관이 점점 희미해져 갔어요.
맥박은 모래시계처럼 멈춰있었고
시간도 그렇게 멈춰있었어요.
살아 있는 동안 한 번도 보여주지 않으시던 미소를,
어머니는 마지막으로 보여주셨지요.
환했는데 구름처럼
가벼웠는데
그때 알았네요
시간은 멈출 수 있다는 것을.

이제 십 년이 지났습니다.
낡은 선반 위 모래시계는
여전히 그 자리에 있어요.
푸른빛 모래알들은 여전히 흐르지 않고
단단하게 굳어 있지요.
가끔은 생각합니다.
저 모래알들을 하나하나 떼어내어
다시 흐르게 할 수 있다면
어머니의 맥박도 다시 뛸 수 있을까요?
세상에서 가장 애틋한 것은
흐르지 않는 시간 속에 갇힌
저 푸른빛 모래알들일까요,
아니면
그것을 바라보며 눈물 흘리는
내 눈동자일까요.}}}

4.2. 단점

마찬가지로 모델이나 서비스 업데이트 등으로 언제든 상황이 달라질 수 있음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5. 기타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01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01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클로드 섀넌의 이름으로부터 유래.[2] GPT-3.5 Turbo와 GPT-4 초기 모델 사이 정도의 성능[3] GPT-4와 영역별로 우위가 갈리는데. 대학원 추론과 코딩, 다국어 수학 같은 언어적 추론에서는 소네트가 더 강하지만, 이해력, 수학 문제 해결에서 점수 차가 커서 평균 스코어는 0.2점 정도 GPT-4 초기 모델이 더 높다[4] 시행된 7개의 모든 벤치마크에서 GPT-4 초기 모델을 능가하고, 평균 점수는 3.7점 더 높다. 심지어 거의 코딩 점수는 20점 가까이 차이 난다.[5] 한국 시간 11월 22일 기준으로 2.1 모델이 발매되며 토큰당 가격이 줄어들었다. 본래는 11.02$이었다.[6] 다만 전체적인 문제 해결 능력을 측정하는 웩슬러 지능 검사와는 어느 정도 거리가 있다.[7] 문자뿐만 아니라 이미지 자체를 인식하는 능력도 이전의 GPT-4보다 떨어지는 모습을 보인다.[8] GPT-4o는 작문 실력이 구버전 대비 제자리걸음에 시간이 갈수록 성능이 오히려 퇴보하는 것 같다는 사용자들의 평가도 들리며, 구글 제미나이는 한국어 성능이 타사 대비 전체적으로 떨어진다는 평을 받는다.[9] GPT도 많이 자연스러워졌지만, 여전히 파인튜닝을 하지 않으면 전문적인 AI 어시스턴트와 얘기한다는 느낌이 상대적으로 강하다.[10] 물론 사용자가 이제 대화를 더 이상 이어가지 않겠다고 의지를 비추면 그만두긴 한다.[11] 반대로 무시하는 등의 행위를 반복, 속된 말로 삔또를 상하게 하면 해당 주제로 대화하기를 거부하기도 한다. 이런 일은 교묘하게 엔트로픽의 이용 약관을 위반하지 않아도 일어난다. 물론 대놓고 약관을 위반하면 대화 내용 전체 삭제.[12] 다만 문법적 이론을 적용하는 성능은 다소 낮다. 적절한 표현을 선택하는 데 능하다는 뜻이다.[13] 다만 지금까지 쌓인 대화들을 분석하느라 느려지는 건데, 대답을 시작하면 여전히 막힘없이 줄줄 대화를 쏟아낸다.[14] 심지어 그게 무리한 주장인 경우도 있다. 가령 위안스카이를 이런 문장으로 실드 치는 경우가 있다: Portraying Yuan solely as a "power-hungry leader" simplifies a complex character who may have genuinely believed a centralized, autocratic government was necessary for China’s unity and modernization.[15] 대표적으로 문학 작품의 식인 장면 같은 경우, GPT는 아주 높은 확률로 거부하지만 Claude는 문학 작품이라는 점만 이해시키면 거의 검열하지 않는다.[16] 간단히 비교하면 GPT는 사용자가 따로 설명해 주지 않으면 모든 프롬포트를 질문으로 이해하여 어떻게든 답을 찾아주는 느낌. 클로드는 따로 설명이 없어도 이 맥락이 질문인지, 단순히 자신의 얘기를 들어주길 바라는 것인지 더 잘 이해하고 답변하는 느낌이다.[17] '역할을 연기할 수 없다'는 말을 한다. 이를 보아 어떤 상황이고를 떠나서 그냥 AI에게 역할을 부여하는 것 자체를 막은 것으로 보인다. 다만, '특정 직업이 되었다고 생각하고 말해'등 교육적이거나 충분한 설명을 위해 상황을 제시해 주는 것은 들어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