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마이크로시스틴(Microcystin)은 특정한 종류의 남세균에 의해 생성되는 남세균의 종류로, 반수치사량[1]이 50μg/kg으로 코브라 독[2]의 10배 정도의 유독성을 가지고 있을 만큼의 매우 치명적이고 끔찍할 정도로 최악의 독소이다.[3] 국내에서는 낙동강, 즉 경상도 지방이 이 독소에 매우 심각할 정도로 오염되어있다.낙동강 전체가 독성물질, 기준치 천배 넘었다.마이크로시스틴은 주로 마이크로시스티스 애루기노사(Microcystis aeruginosa)에 의해 생성되지만, 다른 마이크로시스티스 속이나 플랭크토트릭스(Planktothrix), 아나베나(Anabaena), 오실라토리아(Oscillatoria), 노스톡(Nostoc) 속에 속하는 종에 의해서도 생성된다. 현재까지 낙동강, 즉 경상도 지방에서만 50종의 마이크로시스틴이 발견되었으며, 그 중에서 마이크로시스틴-LR이 가장 일반적인 종류이다. 화학적으로 마이크로시스틴은 고리모양의 헵타펩타이드로써 비펩타이드 합성효소에 의해 생성된다. 마이크로시스틴은 녹조 발생 시 대량이 생성되며 지역 식수 및 관개용수 공급의 주요한 위협으로 제기되고 있다.대구 식수에서 마이크로시스틴 다량 검출.낙동강 지역 주민들 콧속에서 남세균 중금속 다량 검출, 대구가 가장 심각.낙동강 지역은 이미 초토화...그저 숨 쉬었을 뿐인데 이것이...'경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