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5-11 00:10:19

W. D. Gaster

미스터리맨에서 넘어옴
파일:언더테일 로고.svg
인물
{{{#!wiki style="margin: 0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fff,#2f3033> 괴물 토리엘* 냅스타블룩 샌즈*
파피루스* 키드 언다인*
테미 화난 더미 알피스*
메타톤* 머펫 아스고어*
그 외
인간 {{{#!wiki style="margin:-16px -11px" 주인공* 여섯 인간 }}}
기타 {{{#!wiki style="margin:-16px -11px" 플라위* 짜증나는 개 }}}
* 스토리 주요 인물
{{{#!wiki style="margin: 0 -11px -5px;"
{{{#!folding [ 스포일러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fff,#2f3033> 괴물 융합체 아스리엘*
인간 차라*
불명 W. D. 가스터
}}}}}}}}} ||
}}}}}}}}} ||

#!if this['this'] == null
'''이 문서는'''
#!if this['this'] != null
'''이 문단은'''
#!if 토론주소2 == null
''' [[https://namu.wiki/thread/TheMaliciousAndWarlikeOrder|토론]]을 통해 작중 언급 문단과 패논 문단에 내용 기재시 출처를 반드시 제시하고 2차 창작은 출처로 인정하지 않으며 독자연구를 허용하지 않기로 합의되었습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나무위키:기본방침/이용자 관리 방침#편집권 남용|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if 토론주소2 != null
''' 아래 토론들로 합의된 편집방침이 적용됩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나무위키:기본방침/이용자 관리 방침#편집권 남용|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wiki style="text-align:center;"
{{{#!folding [ 내용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0px -5px;"
||<table width=100%><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https://namu.wiki/thread/TheMaliciousAndWarlikeOrder|토론]] - 작중 언급 문단과 패논 문단에 내용 기재시 출처를 반드시 제시하고 2차 창작은 출처로 인정하지 않으며 독자연구를 허용하지 않기'''
----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
----
{{{#!if 토론주소3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
----
}}}{{{#!if 토론주소4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
----
}}}{{{#!if 토론주소5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5'''
----
}}}{{{#!if 토론주소6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6'''
----
}}}{{{#!if 토론주소7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7'''
----
}}}{{{#!if 토론주소8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8'''
----
}}}{{{#!if 토론주소9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9'''
----
}}}{{{#!if 토론주소10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0'''
----
}}}{{{#!if 토론주소11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1'''
----
}}}{{{#!if 토론주소12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2'''
----
}}}{{{#!if 토론주소13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3'''
----
}}}{{{#!if 토론주소14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4'''
----
}}}{{{#!if 토론주소15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5'''
----
}}}{{{#!if 토론주소16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6'''
----
}}}{{{#!if 토론주소17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7'''
----
}}}{{{#!if 토론주소18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8'''
----
}}}{{{#!if 토론주소19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9'''
----
}}}{{{#!if 토론주소20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0'''
----
}}}{{{#!if 토론주소21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1'''
----
}}}{{{#!if 토론주소22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2'''
----
}}}{{{#!if 토론주소23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3'''
----
}}}{{{#!if 토론주소24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4'''
----
}}}{{{#!if 토론주소25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5'''
----
}}}{{{#!if 토론주소26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6'''
----
}}}{{{#!if 토론주소27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7'''
----
}}}{{{#!if 토론주소28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8'''
----
}}}{{{#!if 토론주소29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9'''
----
}}}{{{#!if 토론주소30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0'''
----
}}}{{{#!if 토론주소31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1'''
----
}}}{{{#!if 토론주소32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2'''
----
}}}{{{#!if 토론주소33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3'''
----
}}}{{{#!if 토론주소34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4'''
----
}}}{{{#!if 토론주소35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5'''
----
}}}{{{#!if 토론주소36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6'''
----
}}}{{{#!if 토론주소37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7'''
----
}}}{{{#!if 토론주소38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8'''
----
}}}{{{#!if 토론주소39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9'''
----
}}}{{{#!if 토론주소40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0'''
----
}}}{{{#!if 토론주소41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1'''
----
}}}{{{#!if 토론주소42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2'''
----
}}}{{{#!if 토론주소43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3'''
----
}}}{{{#!if 토론주소44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4'''
----
}}}{{{#!if 토론주소45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5'''
----
}}}{{{#!if 토론주소46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6'''
----
}}}{{{#!if 토론주소47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7'''
----
}}}{{{#!if 토론주소48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8'''
----
}}}{{{#!if 토론주소49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9'''
----
}}}{{{#!if 토론주소50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50'''
----
}}}||}}}}}}}}}

파일:Gaster.png
가스터로 추측되는 스프라이트[1]
1. 개요2. 상세3. 언더테일
3.1. 직접적 언급
3.1.1. 가스터 추종자3.1.2. 열일곱 번째 기록3.1.3. 사운드 테스트
3.2. 추측 및 가설
3.2.1. 미스터리 맨3.2.2. 클램 걸3.2.3. 고너 키드3.2.4. 272번 방
3.2.4.1. 마구간
3.2.5. 샌즈, 파피루스와의 연관성3.2.6. demon 텍스트
4. 델타룬
4.1. 직접적 언급
4.1.1. 공식 웹사이트의 의문의 이미지
4.2. 추측 및 가설
4.2.1. 그릇의 창조자와의 동일인물 설
4.2.1.1. 세이브 파일 선택 메뉴
4.2.2. 나무 뒤 남자와의 동일인물 설4.2.3. 히든 보스들과의 연관성
5. 여담6. 2차 창작
6.1. 한국에서
7. 관련 링크

1. 개요

W. D. Gaster

캐릭터 테마 'Gaster's theme'[2]

언더테일에서 그의 추종자들에게만 겨우 언급되는 인물이며, 작중 세계관 내 스토리상 아예 등장하지 않지만, 알피스 이전의 왕실 과학자이며, 뛰어난 실력으로 코어라는 지역 자체를 개발하였고, 어느날, 실험이 잘못되어 자신의 발명품에 빨려들어가 시공간으로 흩어졌다는 등의 큰 떡밥을 가지고 있다.

언더테일의 후속작인지 불명인 델타룬에서 그의 테마가 편곡되어 나오는 등 그의 등장이 예정된 듯한 묘사가 보이고 있다.

2. 상세

매우 낮은 확률로 등장하는 NPC들에게서만 그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알피스 이전에 있었던 왕실 과학자로, 핫랜드의 코어를 만들었다. 초기 버전에서는 정상적인 게임 진행으로는 볼 수 없어서 단순한 더미 데이터일 뿐, 실존하지 않는다고 주장되기도 했다. 그러나 1.001 패치 이후에는 파일 수정 없이 낮은 확률로 이 인물에 대해 언급하는 NPC들을 만날 수 있다.[3]

이름인 W. D. Gaster에서 W. D. 부분은 Wingdings 글꼴의 두문자어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이며, 본인 또한 열 일곱번째 기록 내에서 기록을 남길 때 윙딩 글꼴을 사용했다.

Gaster 부분에 대해서는 Game Master, 즉 GM의 변형이라는 설도 있다. 그것이 맞다면, 가스터는 게임의 유일한 개발자인 토비 폭스라는 말. 하지만 토비의 언더테일 오너캐는 짜증나는 개이므로 아닐 가능성이 높으며, 사실상 반 쯤 우스갯소리에 가까운 추측이다.[4]

3. 언더테일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3.1. 직접적 언급

기술 및 언급을 통해 가스터와의 직접적이고 명백한 연관성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나는 게임 내 요소들을 이 문단에 기술한다.

3.1.1. 가스터 추종자

가스터 추종자
가스터 추종자 1파일:Spr_g_follower_1_0.png
가스터 추종자 2 파일:Gaster_Follower_2.gif
가스터 추종자 3파일:Spr_g_follower_3_0.png

게임 내부에는 fun(함수)이라는 이름의 변수가 존재한다. 이 값은 게임을 처음 시작할 때 무작위로 정해지고 리셋을 하면 바뀐다. 1부터 100까지 존재하며 이 fun 값이 62, 61, 63일 때 핫랜드의 특정 맵에서 각각 G 추종자 1, 2, 3이라는 이름을 가진 회색 NPC들을 만날 수 있다. 추종자들이 등장하는 구간에서는 휴대전화가 켜지지 않아 토리엘과 파피루스에게 전화를 걸 수 없다. 또한 추종자와 마주친 뒤 해당 방에서 벗어날 경우, fun 값이 0으로 초기화되어 다시 만날 수 없게 된다. 관련 영상
추종자 1, 2, 3의 말을 요약하면, 가스터는 알피스 이전의 왕실 과학자였으며, 코어를 만들었다. 아스고어가 후임자를 찾기 힘들 정도로 대단한 실력을 갖추고 있었다고 전해지며, 어떤 실험을 하다가 자신의 발명품에 빨려들어가 시공간으로 흩어졌다고 한다. 또한 G 추종자 3의 주장에 따르면, 시공간으로 흩어진 이후 모든 장소에 존재하며 모든 인물들의 대화를 들을 수 있게 된 것으로 추정된다. 자세한 내용과 전체 대화문은 해당 문서 참고.

닌텐도 스위치 버전에서 또 다른 추종자로 추정되는 자가 나타났다. fun 값이 80~89일 때 워터폴에서 나타나는 NPC 클램 걸이 특정한 조건을 충족할 경우 변형되는 NPC가 해당 인물이며, 게임 파일 내부 명칭은 Clam goner다.[12]

3.1.2. 열일곱 번째 기록

파일:열일곱번째기록.gif
ENTRY NUMBER SEVENTEEN 열일곱 번째 기록 ENTRY NUMBER SEVENTEEN(원문)
DARK DARKER YET DARKER어두워 점점 어두워져 여전히 어두워{{{#!html <span style="font-family:Wingdings;">DARK DARKER YET DARKER<br>
일부 환경에서는 Wingdings 글꼴이 보이지 않을 수 있다.

'열 일곱번째 기록'이란, 어떤 방법을 통해서든 플레이어가 'Room 264'에 입장할 경우 Wingdings 글꼴로 표시되어 출력되는 특정한 기록을 가리킨다.관련 영상 이 때 모든 Wingdings 텍스트는 전부 대문자로만 출력되며,[13] 방에 입장함과 동시에 mus_smile.ogg라는 기괴한 OST가 재생된다. 모든 기록이 출력될 시 짧은 시간동안 화면이 검게 변한 후 게임이 종료된다. 파일 상에서 해당 방의 이름이 room_gaster로 나타나기 때문에, 해당 기록은 명백히 W. D. 가스터에 의하여 작성된 것으로 보인다.

Room 264는 정상적인 게임 플레이를 통해서는 입장이 불가능하며, 세이브 파일 조작이나 디버그 모드 사용을 통해서만 입장이 가능하다. 세이브 파일 조작을 통해 입장하려고 할 경우 Room 값을 264로 변경하면 되며, 디버그 모드를 통해 입장하려고 할 경우 Y키를 누른 상태에서 6을 눌러 진실의 연구소로 이동한 뒤 Insert 키(다음 맵으로 이동)를 연타하다 보면 해당 방으로 입장할 수 있다.[14]

알피스가 작성한 진실의 연구소의 17번 기록과는 무관하다. 해당 기록은 엄연히 게임 파일 내부에 더미 데이터로서 가스터의 열 일곱번째 기록과는 별개로 존재하며, 내용 또한 가스터가 작성한 열 일곱번째 기록의 내용과는 완전히 다르다. 알피스가 작성한 17번째 기록의 내용은 대략 '괴물들에게 의지를 넣으면 버티지 못하고 몸이 무너져 내린다' 라는 내용이다.

마지막의 '너희 둘'이 가리키는 대상에 대해서는 샌즈파피루스라는 해석과 샌즈알피스라는 해석이 가장 유명하다. 알피스는 가스터 이후의 왕실과학자이고, 샌즈는 한때나마 알피스와 면식이 있었으며[15] 연구를 도와준 전적이 있는 데다가 "가스터" 블래스터라는 무기를 사용하는 등 가스터와 연관이 있는 듯한 모습을 보여주었고, 파피루스는 샌즈의 동생이기 때문이다. 또한 델타룬이 출시된 이후, 크리스수지라는 해석 또한 간간히 제기되고 있다.

3.1.3. 사운드 테스트

fun값이 65일 경우, 파피루스 전투를 끝마친 뒤 스노우딘의 낚시대 맵으로 이동할 때 50% 확률로 낚시대 맵이 이 맵이 대체되어 등장할 수 있다. 또한 후술할 '272번 방'을 통해서도 이 곳에 입장할 수 있으나, 272번 방은 세이브 파일을 조작해야만 입장할 수 있기 때문에 정상적인 루트는 아니다.

게임 내 다른 어떤 bgm도 흘러나오지 않고 행복한 마을, 고기 공장, 골칫덩이 골짜기, 가스터의 테마라는 곡들이 제시된다. 전부 공식 OST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곡들이다. 다른 곡을 들을 때는 관련이 없으나, 가스터의 테마를 재생하고 난 뒤엔 다른 곡을 선택해도 재생 자체가 불가능해진다. 또한 맵 OST라고는 생각하기 어려울 정도로 상당히 기괴하다.

가스터의 테마를 20초정도 재생하고 나면, "피드백 감사합니다! 또 봅시다!"라는 텍스트가 출력된 뒤 스노우딘의 낚시대 맵으로 이동된다. 272번 방을 통해 사운드 테스트에 입장했을 경우 이 때 게임이 충돌한다. 관련 영상

여담으로, 사운드 테스트에서 재생할 수 있는 OST들 중 가스터의 테마를 제외한 곡의 오디오 파일명은 전부 곡의 이름이 명시적으로 표기되어 있으나, (예시: mus_st_happytown.ogg) 오직 가스터의 테마만큼은 오디오 파일명이 mus_st_him.ogg로 3인칭 남성형 인칭대명사를 사용해 우회적으로 표기되어 있다.

3.2. 추측 및 가설

이하의 게임 내 요소들은 기술 및 언급을 통해 직접적으로 가스터와 연관성이 있는지에 대한 여부가 밝혀지지 않았으며, 대체로 제한적, 간접적으로만 연관되어있거나 팬덤의 추측 및 가설에 기반해 가스터와의 연관성이 주장되고 있는 요소들이다. 이 문단과 하위 문단에서는 팬들 사이에서 가스터와 연관성이 존재함을 비교적 널리 인정받는 게임 내 요소들을 서술한다.
파일:Beware_of_man_who_speaks_in_hands.png
* 리버퍼슨의 배를 타고 지역과 지역 사이를 이동할 때, 리버퍼슨은 무작위로 대사를 내뱉는다. 그중 "손으로 말하는 남자를 조심해라."[18]라는 대사를 내뱉는데, 이것이 위의 열일곱 번째 기록에 쓰인 Wingdings 글꼴에 손 모양이 있다는 것을 근거로 그 자가 가스터라는 추측된이 존재한다. 또는 손으로 말하는 모션을 지닌 가스터 추종자 2일 가능성도 있다.[19]
파일:Him in the True lab.png
* 진실의 연구소에 존재하는 방들 중 환풍기가 있는 방에서 환풍기를 작동시키지 않고 냉장고들이 있는 방으로 향하면 환기가 되지 않아 매우 어두운 상태인데, 이때 돌아다니다가 특정 부분에서 상호작용을 하면 '남자의 형태인것 같은 무언가가 있다'라는 스크립트가 출력되며, 환풍기를 작동시킨 이후엔 볼 수 없다.[20]

델타룬에서도 모습은 안 보이지만 달걀을 얻을 수 있는 장소의 나무 뒤쪽에 남자가 있다고 묘사된다. 평행 세계의 비슷한 동일인물인지는 불명, 해당 장소에서 재생되는 OST 'man'에는 가스터의 테마(mus_st_him.ogg)에 사용된 악기와 동일한 악기가 사용되었기에 연관지어서 이 남자가 가스터라는 가설이 있다.

3.2.1. 미스터리 맨

파일:graydoor.png
fun 값이 66일 때, 워터폴의 크리스탈 치즈 방(room 94)과 망원경 방(room 95) 사이 본래 아무것도 없던 자리에 복도(room 268)가 나타난다.

복도에는 기본적으로 아무 것도 존재하지 않으나, 10% 확률로 회색 문이 출현한다. 만약 여기서 문에 들어가지 않고 복도를 떠날 경우, fun 값이 0으로 바뀌어 다시 복도에 들어갈 수 없게 된다.
파일:가스터 방.png
회색 문과 상호작용할 시, 플레이어는 room_mysteryman(room 269)으로 이동한다. 방의 내부에는 '팬덤에 의해 W. D. 가스터로 추측되는 인물' 외에는 아무것도 존재하지 않으며, 해당 인물의 스프라이트 파일명은 spr_mysteryman이다.

미스터리 맨은 말을 거는 즉시 snd_mysterygo.ogg라는 기이한 효과음을 재생함과 동시에 사라져버리며, 앞에 서 있으려고 해도 충돌 물리 법칙이 존재하지 않아 그대로 통과된다. 이 방에서 나왔을 때 방 자체도 사라져 들어갈 수 없게 된다.

미스터리 맨에 대한 팬덤의 취급과는 달리, 미스터리 맨이 W. D. 가스터와 동일 인물이라는 직접적인 근거는 현재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나 미스터리 맨은 다음과 같은 W. D. 가스터와의 연관점으로 인해 만에 하나 W. D. 가스터 본인이 아니더라도 '최소한' W. D. 가스터와 지대한 연관성이 존재하는 인물일 것으로 여겨진다.

3.2.2. 클램 걸

클램 걸/클램 고너파일:클램걸.png파일:클램고너.png
fun 수치가 80~89이며 몰살 루트에 진입하지 않았을 경우, 핫랜드 입구에서 만날 수 있는 조개 괴물 NPC이다. 상호작용할 시 자신은 도시에서 워터폴로 여행을 왔으며, 자신의 이웃의 딸이 '수지'와 주인공이 반드시 친구가 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자세한 내용은 해당 문서 참고.

닌텐도 스위치 판에서는 fun 값이 정확히 81일 때, 이전에 클램 걸과 미리 만났을 경우 불살 루트 엔딩을 보기 직전 출력되는 대사가 기존과 달라지는 이벤트가 추가되었다.
파일:GasterShell.gif
"So you never met my neighbor's daughter."
"결국 내 이웃집 딸을 만나지 못했나 보구나."
"But please don't despair. Because the time that you will meet her..."
"그래도 낙담하지 마. 네가 그 애를 만나게 될 날이..."

(BGM이 멈추며)
"...is fast approaching."
"...머지않았으니까."
대화 도중 G 추종자들을 연상시키는 모습으로 변해[21] 알 수 없는 말을 남기고서는 snd_mysterygo 효과음[22]을 재생함과 함께 사라진다. 영상. 모습이 변한 뒤 스프라이트 파일명 또한 Clam girl에서 Clam goner로 변경된다.

대화를 마치고 사라질 때 내는 효과음이 미스터리 맨, G 추종자 2가 사라질 때 내는 효과음과 동일하며, 전반적인 외형이 G 추종자들과 유사하기 때문에 가스터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는 인물인 것으로 여겨진다. 또한 해당 문서에서 알 수 있듯 여러 대사 및 묘사를 통해 델타룬과 직접적인 연관성을 가지고 있다고 여겨지는 NPC인만큼, 델타룬의 향후 챕터에서 등장이 암시되고 있는 가스터와 엮일 여지가 존재하는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3.2.3. 고너 키드

고너 키드 파일:Spr_mkid_goner.png

보통 엔딩을 본 이후 fun 수치가 90~100일 때, 언다인이 창을 던지며 싸우던 맵에서 계속 왼쪽으로 가면 어떤 한 NPC가 생긴 것을 발견할 수 있다. Goner Kid라는 이름을 가진 NPC이며, 동공이 없다. 몬스터 키드와 닮았고 실제 몬스터 키드의 도트를 흑백화한 모습이다. 다만 성격은 몬스터 키드와는 다르게 무척 우중충하다. 자세한 내용과 전체 대화문은 해당 문서 참고.

말을 걸면 플레이어가 없다는 걸 빼고 모든 게 똑같은 세계가 있다는 걸 상상해 보라는 대사를 하는데, 이는 시공간으로 흩어져 모두에게 잊혀진 가스터를 말하는 것이거나 언더테일보다 가스터와의 연관성이 높게 나타나는 델타룬[23]의 세계를 의미하는 것이라는 두 가지 추측이 있다.

만약 우산을 들고 만났다면 처음엔 여기엔 비가 오지 않는데 우산을 왜 들고 왔냐며 당황하지만 직후 기분이 나아졌다 말하며[24] 더 이상 자신의 대해 생각하지 말아달라고 부탁한다.

이후 고너 키드를 만난 후, 방을 나갔다 다시 들어오면 고너 키드는 사라져 있다. 관련 영상

3.2.4. 272번 방

파일:언더테일Redacted.png
272번 방(room 272, room_water_redacted)은 게임 데이터 내에 존재하는 미사용된 방들 중 하나다. 플레이어가 방에 입장할 시 Premonition OST가 재생된다.[25] 방 안에는 하얀 실루엣의 형상을 지닌 NPC(스프라이트 파일명 spr_redacted_a, 편의상 redacted_a로 후술) 외에는 아무것도 존재하지 않으며, redacted_a는 플레이어가 가까이 다가가기 전까지는 모습을 보이지 않다가 플레이어가 근접할 시 모습을 드러낸다. 플레이어가 말을 걸 시 위 사진과 같이 Wingdings 폰트로 적혀있는 "* [redacted]"[26]라는 짧은 문장을 출력한다.

272번 방에서 남쪽으로 이동할 경우, 가스터의 테마가 포함되어 있는 사운드 테스트 방으로 이동한다. 팬덤에서는 이 사실을 redacted_a가 Wingdings 폰트를 사용한다는 사실과 연관지어 272번 방이 본래 미스터리 맨, G 추종자 이벤트와 유사하게 가스터와 관련된 이벤트의 일부로서 기획되었으나, 모종의 사유로 인해 삭제되어 게임에서 잘려나갔을 것이라고 추측하고 있다.
3.2.4.1. 마구간
파일:언더테일 마구간.jpg
이후 데이터 마이닝을 통해 게임 파일 내부에서 해당 이벤트의 정체로 추정되는 삭제된 콘텐츠의 흔적이 발견되었는데, 이는 게임 내부에 '마구간'이 추가될 예정이었다는 사실을 암시하는 코드, 텍스트 문자열, 스프라이트 등의 미사용 데이터들이었다. 상단의 이미지는 마구간의 입구 문으로 추정되는 미사용 스프라이트이며, 특정한 조건에 따라 외형이 변경되는 3가지 상태가 존재한다.

관련 코드 및 파일들의 순서 및 배열을 감안했을 때, '마구간'은 워터폴의 냅스타블룩의 집이나 달팽이 농장, 또는 그 인근 방에 위치할 예정이었던 것로 추정된다. 사용되지 않았을지언정 최소한 세이브파일 조작을 통해 인게임에서 '구현된' 형태의 방으로 접근은 가능했던 일반적인 미사용 방들과는 달리, 마구간은 미사용 방으로조차도 구현되지 않았으며 기껏해야 파일 내부 깊숙한 곳에 일부 미사용 데이터의 흔적밖에 남아있지 않았기 때문에 인지도가 상당히 낮은 편에 속한다. 해외 팬덤에서는 레딧 등의 커뮤니티와 유튜브 분석 영상을 통해 존재 자체는 미약하게나마 알려져있으나, 국내 팬덤에서는 유튜브는 고사하고 언더테일 커뮤니티에서조차 관련 언급이 전혀 존재하지 않는다.

관련 미사용 데이터들을 인게임에 구현시키는 방식으로 재구성한 결과에 따르면, 마구간에 입장하기 위한 과정은 대략 다음과 같을 것으로 추정된다. 플레이어가 마구간에 들어가기 위해 마구간 입구 문과 상호작용할 시 마구간에 입장할 것인지 묻는 선택지가 출력되고, 예를 선택할 시 문을 밀쳐냈으나 잠겨있다는 텍스트가 출력된다. 그 다음 [redacted][27] 안에서 갑자기 소리가 들려온다는 내용의 텍스트가 잇달아 출력된다. 이후 마구간 근처의 쓰레기통 스프라이트와 상호작용할 시 마구간의 열쇠를 획득할 수 있으며, 획득과 동시에 미사용 플래그 92의 값이 3보다 작은 값으로 변경된다. 해당 열쇠를 마구간 근처로 가져갈 경우 조건(플래그 92의 값이 3보다 작을 것)이 충족된 결과 마구간의 입구를 묘사한 스프라이트의 내부에 redacted_a의 스프라이트(spr_redacted_a)가 나타난다. 이 때 redacted_a와 상호작용할 경우, Wingdings 폰트로 적혀있는 "* x"[28]라는 텍스트를 출력한 뒤 마구간의 문이 열리게 된다. 이후 플레이어가 마구간 내부로 입장하게 해주는 역할의 코드 또는 텍스트는 따로 존재하지 않으나, 정황상 272번 방이 마구간의 내부 역할을 맡을 예정이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해당 과정을 인게임으로 구현 시도한 유튜브 영상 구현 시도 2 관련 미사용 텍스트

여담으로, 마구간의 존재를 델타룬 챕터 메인 보스들이 체스 기물에 대응한다는 이론과 관련지어 redacted_a와 '기사' 간의 연관성을 주장하는 추측이 존재한다. 더 자세한 내용은 해당 영상 참고.

3.2.5. 샌즈, 파피루스와의 연관성

팬들이 특히 강하게 믿는 가설은 바로 가스터가 게임에 등장하는 해골 형제, 특히 샌즈와 친분이 있거나 친족 관계[29]이며, 같은 해골 괴물이라는 것이다. 가설의 근거는 다음과 같다.

샌즈와 파피루스, W. D. 가스터는 세 명 모두 특정 글꼴의 명칭으로부터 따오는 방식으로 작명된 이름을 보유하고 있으며,[30] 모든 대사가 소문자 또는 대문자 둘 중 하나로만 표시된다.[31]

1.000 버전에서 샌즈의 개인 실험실에 들어가서 서랍을 조사하면 "당신이 모르는 사람들과 찍은 샌즈의 사진"이 존재하는데, 이 또한 가스터라는 가설이 있다. 청사진을 조사하면 이상한 기호로 휘갈겨져 있다고 한다. 이 이상한 기호가 Wingdings 글꼴이라는 추측이다. 또한 그의 실험실에는 천막으로 가려진 망가진 기계가 있는데 이 기계를 가스터가 만들었으며, 샌즈는 그래서 시공간을 헤집고 다닐 수 있었고 따라서 플레이어가 하는 세이브/로드에 대하여 잘 알고 있었다는 것이다. 그릴비에서 도고는 샌즈가 움직이지도 않고 여기저기 다닐 수 있다고 하는 등 샌즈의 공간 능력과 관련 있다는 내용을 뒷받침하는 가설로 쓰인다.

또한, 파피루스가 플레이어와의 전투 도중 필살기로 꺼내려고 했던 것도 샌즈의 공격에 사용되는 "가스터 블래스터(gaster blaster)"라는 추측이 존재한다. 몰살루트 탈선 이후 파피루스와의 데이트를 진행할 시, 데이트가 시작되기 직전 파피루스가 말하는 "만약에 내가 필살기를 사용했다면 널 날려(blasted)버렸을 거야."라는 대사가 해당 추측의 근거다. 해당 대사는 1.001 버전에서 추가되었다.

미사용된 샌즈의 전투 테마 'Song That Might Play When You Fight Sans'에 가스터의 테마가 포함돼 있고, 파피루스와의 데이트 테마인 'Dating Start!에도 가스터의 테마가 포함돼 있는 것이 아닌지 추측하고 있다.

작품 외로는 토비 폭스가 2017년 1월에 본인에 X 계정을 통해 공개했던 파피루스의 초창기 컨셉 아트 또한 해골 형제와 가스터의 연관성에 대한 근거 중 하나가 될 수 있다. 컨셉 아트의 오른쪽에는 'has a brother named Comic Sans'라는 짤막한 메모가 적혀있는데, 해당 메모의 밑에 다음과 같은 메모가 잇달아 적혀있다. 'and a (검열됨) named (검열됨)'[32]

3.2.6. demon 텍스트

언더테일의 코드 내부에는 데이터 마이닝을 통해서만 확인할 수 있는 미사용 텍스트들이 존재하며, 'demon 텍스트'란 demon(특정 알파벳)과 같은 형식의 이름을 가지고 있는 스크립트 내 미사용 변수들[33]에 할당되어 있는 특정 미사용 텍스트들을 의미한다.

게임 버전에 따라 demon 변수의 개수와 각 demon 변수에 할당되어 있는 텍스트의 내용에 차이점이 발생한다.

버전 별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 ScriptName: gml_Script_attention_hackerz_no_2
{
self.demonx = "Part of this game\'s charm is the mystery of how many options or secrets there are. If you are reading this, please don\'t post this message or this information anywhere. Or doing secrets will become pointless.";
self.demony = "By the way, most of the seemingly unused text/files are used.";
self.demonz = "If you can find the in-game context for an asset, you can show it off. But if you can\'t, it probably means you haven\'t looked hard enough. Anything truly unused I\'ll probably post myself, later.";
self.demonr = "Living in a world like this, where people can simply cheat out the answers from the code... your impatience has REALLY damaged you, hasn\'t it?";
}
}}}// ScriptName: scr_namingscreen
(중략)
self.demonx= "Part of this game\'s charm is the mystery of how many options or secrets there are. If you are reading this, please don\'t post this message or this information anywhere. Or doing secrets will become pointless.";
if(self.l_char == "gaster") game_restart();
}}}// ScriptName: attention_hackerz_no_2
// CodeName: gml_Script_attention_hackerz_no_2
// ArgumentCount: 0
/*
Locals: 4
demona, demonb, demonc, demond
*/
self.demona= "Greetings.";
self.demonb= "You have made yourself completely clear.";
self.demonc= "Understood.";
self.demond= "I, your humble servant, will follow you to the utmost...";
}}}}}}}}}}}}
demon 텍스트는 팬덤의 추측에 의해 주로 W. D. 가스터와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이를 뒷받침하는 근거는 다음과 같다.
또한 a, b, c, d demon 변수에 할당된 텍스트가 차라와 관련되어 있다는 추측이 존재하는데, 해당 인물이 '당신'에게 건내는 인삿말로 Greetings을 사용했기 때문이다. 해당 인삿말은 게임 전체를 통틀어 오직 토리엘과 차라만이 사용하며, 차라 역시 해당 대화문에서 스스로를 악마로 지칭한 전적이 있었기에 가스터와 마찬가지로 꽤 분명한 악마와의 연관성이 나타난다. 다만 차라는 작중에서 플레이어를 '파트너'로 호칭했기 때문에, '당신'의 겸손한 하인이 되겠다는 발언은 차라가 말할 대사로는 어울리지 않아 보인다는 의견 또한 존재한다. 참고 링크

4. 델타룬

토비 폭스가 언더테일의 DLC는 나오지 않을 거라고 단언함으로써 가스터는 풀리지 않은 떡밥으로 끝나는 듯 보였으나(...) 2018년 공개된 패러렐 월드인 델타룬에서도 그 존재감을 과시하며 스토리상 중요 인물로 추측되고 있다.

4.1. 직접적 언급

4.1.1. 공식 웹사이트의 의문의 이미지

델타룬 공식 웹사이트는 2018년 10월 31일 챕터 1 데모가 공개됨과 동시에 해당 데모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사이트로서 팬덤에 처음 공개되었다.

그러나 웹 아카이빙 사이트 Wayback Machine에는 deltarune.com의 2015년, 2016년 아카이브 페이지가 존재했는데, 이는 델타룬이 출시되기 한참 이전부터 해당 사이트가 존재해왔다는 사실을 증명한다.

2015년, 2016년 당시의 deltarune.com은 얼핏 보면 검은색 바탕밖에 존재하지 않는 사이트로 보였다. 그러나 좌측 상단을 커서로 드래그하면 'him'이라는 파일명이 붙여진 사진이 한 장 존재한다는 것을 알 수 있는데, 해당 사진의 밝기를 올리면 Wingdings 폰트로 적힌 짧은 문장이 나타난다. 이 때 나타나는 문장은 2015년 페이지와 2016년 페이지가 서로 다르다.

해당 Wingdings 문장은 연도별로 다음과 같은 문장으로 번역된다.
파일:2015윙딩.png
* 2015년 12월 9일 아카이브
THIS NEXT EXPERIMENT (이 다음 실험은)
SEEMS VERY VERY INTERESTING (매우 매우 흥미로워 보이는군)[43][44]
파일:2016윙딩.png
* 2016년 8월 17일 아카이브
THREE HEROES APPEARED(세 명의 영웅들이 나타났다)
TO BANISH THE ANGEL S HEAVEN(천사들의 천국을 몰아내기 위하여)[45]

본래 deltarune.com 도메인은 2015년 9월 언더테일이 출시된 직후 몇 개월간 한 언더테일 팬사이트에 의해 사용되고 있었으나, 토비 폭스 본인의 도메인 변경 요청으로 인해 해당 팬사이트의 도메인은 dreemurr.com으로 변경되었다. 정황상 도메인 변경 직후 deltarune.com 도메인을 토비 폭스가 소유하게 되었으며, 2015년 12월 8일경 사이트가 발견되기 직전 2015년 연말 즈음에 사이트의 내용이 수정된 것으로 보인다.참고 이미지

4.2. 추측 및 가설

4.2.1. 그릇의 창조자와의 동일인물 설

델타룬 챕터 1에는 플레이어가 게임을 시작한 직후, 플레이어의 지시대로 그릇(플레이어의 분신)을 준비하고 설정과 이름을 붙이는, 팬덤에 의해 그릇의 창조자라는 가칭으로 불리는 한 인물이 등장하는데, 해당 인물은 가스터와 동일인물일 가능성이 매우 높을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그 근거는 다음과 같다.
4.2.1.1. 세이브 파일 선택 메뉴
세이브 파일 선택 메뉴는 챕터 1을 클리어했는지, 아니면 아직 클리어하지 않았는지의 여부에 따라 구성과 디자인이 판이하게 달라진다.
파일:챕1클이전세이브.png 파일:챕1클이후세이브.png
챕터 1 클리어 이전 챕터 1 클리어 이후
챕터 1을 아직 클리어하지 않았을 경우 배경은 존재하지 않으며, UI 디자인과 글자의 색은 전부 초록색이다. 반면 챕터 1을 클리어할 시 배경이 샘을 마주하고 있는 크리스, 수지, 랄세이를 묘사한듯한 일러스트로 변경되며, UI 디자인과 글자의 색 또한 하얀색으로 변경된다.

거기에 더해 플레이어의 행동에 따라 출력되는 나레이터의 대사도 챕터 1 클리어 여부에 따라 확연히 달라지는데, 챕터 1을 클리어했을 경우 나레이터의 대사는 평범하게 문어체로 출력되며 영어 원문 기준으로 대문자와 소문자를 모두 사용한다. 그러나 챕터 1을 아직 클리어하지 않았을 경우 나레이터의 대사가 마치 누군가가 직접 말하는듯한 구어체로 출력되며, 말할 때 오직 대문자만을 사용한다.

일본어 번역판 기준으로는 히라가나를 전혀 사용하지 않고 가타카나와 한자만을 사용하는 독특한 말투를 구사하며, 이는 그릇의 창조자의 일본어 번역판 기준 말투와 동일하다. 또한 윈도우 창의 제목은 그릇을 창조할 때와 동일하게 CONTACT로 변경된다. 이러한 사실에 미루어보아 챕터 1 클리어 이전 세이브 파일 선택 메뉴의 나레이터는 그릇의 창조자와 동일한 존재인 것으로 보인다.참고 영상
파일:언델타룬세계파괴.jpg
* 여담으로 챕터 1 클리어 이전 삭제 확인 질문 창의 선택지에서 YES를 선택할 경우 THEN IT WILL BE DESTROYED.(그렇다면 파괴합니다.)라는 대사와 함께 ERASE/DO NOT 선택지가 포함된 2차 삭제 확인 질문 창이 표시되는데, 해당 창에서 표시되는 선택지는 전작의 몰살 루트 최후반부에서 차라가 플레이어에게 세계를 지워버릴 것을 제안할 때 표시되는 선택지와 대/소문자 구분까지 완벽하게 동일하다. 챕터 1 클리어를 완료했을 경우 2차 삭제 확인 질문 창 선택지의 내용이 Yes!/No! 로 변경되는 것을 감안했을 때 이는 다분히 의도적인 단어 선택인 것으로 보인다.

4.2.2. 나무 뒤 남자와의 동일인물 설

델타룬 챕터 1과 2에는 특정 지역을 오가다 보면 낮은 확률 나타나는, 나무 한 그루만 덩그러니 놓여있는 방에서 나무 뒤에 있는 한 남자로부터 '달걀'이라는 아이템을 획득할 수 있는 이벤트가 존재한다. 이때 나무 뒤에 있는 남자가 가스터라는 추측이 존재하는데, 그 근거는 다음과 같다.

4.2.3. 히든 보스들과의 연관성

챕터 별 히든 보스들과 가스터의 연관성에 대한 추측이 존재한다.

5. 여담

6. 2차 창작

게임에 일반적으로 등장하는 주요 캐릭터가 아니었음에도 불구하고 특유의 미스터리함으로 인해 인지도가 엄청나게 상승하여 수많은 2차 창작들이 탄생했다.

가스터 관련 떡밥들은 하나 같이 음산하고 기괴한 분위기를 풍기는지라[59] 가스터 역시 진중하고 강력한 캐릭터로 묘사되는 경우가 많다. 특히 진지한 분위기의 2차 창작이라면 선역으로 나오든 악역으로 나오든 압도적으로 강하게 묘사된다. 샌즈가 사용한 무기인 "가스터 블래스터"를 개발한 장본인으로 나오거나, 상위호환인 다른 블래스터를 들고 나오는 경우도 잦다. 악역으로 등장할 경우 인간 영혼이나 의지의 힘을 연구하기 위해 주인공을 납치하거나, 해골 형제의 몸을 빼앗아 원래 세계로 돌아오려는 모습을 보인다. 선역으로 등장할 경우 주로 차라가 세계를 파괴할 때 등장해 진최종보스 역할을 맡는다.

흑백 톤이라 해골이 연상되는 생김새, 샌즈의 방에서 언급되는 알 수 없는 문자 떡밥, 샌즈가 사용하는 무기인 "가스터 블래스터", 17번째 기록 등의 떡밥을 근거로 샌즈와 가장 많이 엮이고 샌즈가 등장할 때 십중팔구 따라오는 파피루스, 후임 왕실 과학자인 알피스 등과도 엮인다.

반면 일상이나 개그 분위기가 강한 2차 창작에서는 기존에 워낙에 강하고 음산하게 묘사되던 만큼 반대급부로 아주 제대로 망가지는 개그캐 역할을 맡는다. 허구한 날 연구 땡땡이 치고 도망가서 알피스나 샌즈가 잡으러 간다든지, 대사 전체가 윙딩어여서 (혹은 아예 '윙딩'으로 채워져서) 못 알아먹겠다고 한 소리 듣는다든지... 차원에 흩어져 있다는 설정 역시 적당히 순화되어서 아무데나 불쑥불쑥 나타날 수 있는 편리한 능력으로 그려진다.

더 나아가 주인공을 통해 샌즈와 파피루스를 만나게 되기도 한다. 예시, 예시 2, 풀버전.

샌즈가 사용하는 빔 무기가 명칭이 "가스터 블래스터"라는 점에서 가스터와 관련 있다는 떡밥을 통하여 샌즈보다 더 강하게 그려지는 경우가 다반사. 뼈다귀 형제와 엮일 때에는 샌즈의 방에서 나온 사진이나 윙딩 폰트, 샌즈 또한 시공간 연구학자였다는 설정으로 샌즈와 주로 나온다.

17번 실험 기록의 첫 줄인 Dark, Darker, Yet Darker로 이름지은 가스터 테마 리믹스 곡도 있다. 예시. 다른 해골 둘과 마찬가지로 보컬화까지 되고 있는 중이다. 이 곡 말고도 SharaX가 리믹스한 또 다른 리믹스곡이 있다.[60]

흔히 알려진 Dark Darker Yet Darker 말고도 Cacodemonovania라고 하는 팬들이 만들어낸 2차 언더테일 게임인 "유니테일"에서 만나볼 수가 있는 "슈퍼 가스터전"에서 볼 수가 있는 가스터의 테마(Gaster's Theme)를 바탕으로 만든 어레인지 OST곡과 슈퍼 가스터 2차전에 나오는 OST인 The Voids Wrath가 있는데, Cacodemonovania이라고 하는 테마곡의 "원래" 단어인 Cacodemon[61]은 "악귀, 악마, 악인"을 의미하며, 해당되는 테마곡인 "Cacodemonovania"와 비슷한 단어인 Cacodemonomaniasms는 "악령 빙의, 악령을 지녔다는 망상을 특징으로 하는 증상"을 의미한다고 한다. 일단 테마곡 제목에 MEGALOVANIA의 VANIA가 있는 것으로 보아 Cacodemonovania는 가스터의 테마에 MEGALOVANIA를 합쳐서 만들어낸 편곡인 것으로 보이는데, 실제로 Cacodemonovania를 듣다 보면 MEGALOVANIA의 멜로디 같은 것이 들린다.

그 외 ENTRY NUMBER SEVENTEEN 곡도 있다. 이쪽은 언더팬츠 몰살 엔딩 편에 사용되었다.

그리고, 유튜브에서 amella가 만든 가스터의 테마와 샌즈의 테마곡인 MEGALOVANIA를 합쳐서 만들어낸 OST인 W.D.Gaster's Megalovnia가 있는데, 상당한 퀄리티를 자랑한다.[62]

이 외에도 2차 창작으로 가스터 본인의 테마곡이나 노래가 여러 가지 있는데, Wardoc이라고 하는 유튜버(추측)가 부른 Stronger Than You Gaster와 또다른 버전의 Stronger Than You Gaster가 있으며, KHTLL13이 해석한 Gaster's Theme + Dark Darker Yet Darker가 있으며, SharaX 버전의 Dark Darker Yet Darker를 바탕으로 만든 노래인 Entry Number 17 - Dark Darker Yet Darker가 있다.

이제는 MUGEN까지 진출했다. 심지어 exe 파일에다가 논외다.
이처럼 가스터와 대결하는 if물에서는 차라가 가스터를 죽이거나, 가스터 자체가 너무 강해서 이길 수 없는 식으로 묘사된다.[63]

샌즈나 파피루스가 가스터의 실험체로 나오는 것도 있다. 그런 곳에선 성실하거나 '일 중독'으로 그려지고 있어서 '컵라면 덕후 윙딩이'로만 알고 있는 사람이라면 놀랄 일이다.

2차 창작물에서 그려질 때 주로 길쭉한 체형으로 묘사되는데, 희한하게도 인게임 신체 등신 비율이 잘 지켜지지 않는다. 사실 가스터는 인게임 도트로 2등신, 좋게 봐 줘야 2.5등신의 넨도로이드 급의 SD이다. 물론 언더테일의 인게임 신체 등비율이 기본 3~4등신임을 감안해도 말이다. 기본 체형 특징이 그대로 유지되며 그려지는 샌즈와 파피루스에 비하면 이례적인 케이스. 아니면 느낌이 매우 비슷한 슬렌더맨의 영향일지도 모른다. 때문에 슬렌더맨 외에도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가오나시나, FNaF 2퍼펫, 유메닛키의 우봐 등을 닮았다는 얘기도 나오고 이들과 종종 엮인다.

나라를 가리지 않고 기본적으로 목폴라 또는 목 폴라니트 + 검은 가운 패션을 고수한다.[64] 가운은 종류마다 달라지는데, 소매가 없는 가운은 손에 구멍이 난 해골 손만 둥둥 떠다니고 팔은 없는 디자인도 많다. 왕실 과학자로 나오는 상황에선 소매 달린 하얀 가운이 주류.

얼굴은 두개골과 전신을 가리는 가운 패션 때문인지, 뼈다귀 형제와 잘 엮임에도 똑같은 스켈레톤으로 그려지는 일이 적다. 심지어 손도 고퀄의 섬세한 그림에서마저 손뼈도 아닌 인형의 손 관절 모양으로 그리는 경우도 심심찮게 찾아볼 수 있다.

뼈다귀 형제, 프리스크 페어 외에는 플라위와 엮이기도 하는데, 가스터가 플라위의 진짜 정체를 알고 있거나 그와 대결하는 경우가 많다. 가끔 그릴비와 엮이기도 하는데 둘 다 연륜이 비슷해 보이기 때문. 이 경우는 높은 확률로 개그물이다. 앞서 서술한 가스터 = 본브로의 아버지 설이 함께한다면, 그릴비가 가스터의 부탁으로 뼈 형제를 돌봐주느라 샌즈와 친하다는 설정도 가끔씩 보인다.

역안에 한쪽 눈동자는 푸른색, 다른 쪽 눈동자는 붉은색이나 진한 주황색의 오드아이로 묘사되기도 한다. 몰살 루트에서 번쩍이는 샌즈의 파란색 눈에 대응하여 가상 풀파워 파피루스에게 번쩍이는 주황색 눈을 그려 넣는 경우가 생겼고, 거기에서 또 착안하여 이 둘과 관련이 있을 듯한 가스터에게 같은 눈을 그려 넣은 것.

상호 작용시 미스터리 맨 스프라이트의 몸에 해당하는 부분이 상하반전 시킬 경우 얼굴과 유사한 형상을 띄기 때문에 가끔씩 두 명이 합쳐진 존재라는 설정으로 그려지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 가스터 본인은 실험 도중 발생한 사고에 휘말려 하나가 된 존재로 묘사된다.

유명한 언더테일 팬 게임인 Undertale: Last breath에서는 시작 부분인 워터폴에서부터 등장한다. 플레이어가 30번째 몰살 루트를 진행하려 할 때 전에는 못 보던 하얀 문을 하나 발견하는데 그곳에서 바로 가스터가 등장한다. 이후 샌즈와 만나기도 하고 1페이즈, 3페이즈에서도 등장하며, 가스터가 얼마나 인지도가 높은지를 몸소 보여준다.

언더테일 팬 애니메이션인 UNDERPANTS는 그가 해골 형제의 아버지라는 설을 채용했다. 다만 이는 어디까지나 가설인데, 그 애니메이션이 2차 창작 중에서 대중성이 크기에 트위터 등지에서는 저게 진짜냐며 소란스러웠다.

2차 창작에서 종종 갑툭튀로 사용되기도 한다.

6.1. 한국에서

서양 및 일본 2차 창작에서는 대부분 간지 나는 흑막 내지 매드 사이언티스트로 묘사되는 반면 어째 한국산 2차 창작에서는 유난히 망가지는 경향이 있다.

초창기 트위터 팬덤의 이름은 이삿짐 센터. 이유는 상술된 언더테일 패치와 관련되어 있다. 이후 인 게임 내 fun 이벤트에 등장하는 NPC들처럼 'G 추종자'로 자칭하는 사람들이 늘어났다.

한국산 개그 2차 창작에서는 매일 컵라면을 잘못 끓여서 고통받는다거나, 야근하기 싫어서 도망가는 등, 현실적이면서도 나사가 빠진 면이 있는 캐릭터로 묘사된다. 어째서 컵라면이냐면 처음 가스터를 만날 때 없어지면서 보이는 목부분이 꼭 컵라면 같이 보이지 않냐는 말로 시작된 기믹. 가스터의 기록의 너희 둘을 뜻하는 것이 컵라면과 라면 스프였다는 드립도 있다...

야근하기 싫어서 도망가는 만화에서는 자기가 해골인 걸 잊은 건지 알피스, 테미 등의 등장인물 앞에서 대놓고 날아가려는 모습이나 샌즈한테 걸려서 혼나거나 2차 창작물이 있다. 그 밖에도 샌즈에게 장난치는 내용도 있다.

윙딩체의 경우 제대로 구현하려면 대사를 영어로 번역한 후 다시 윙딩체로 적용해야 해서 매우 귀찮기 때문에 한국산 2차 창작에서는 보통 '윙딩'이라는 단어를 말버릇처럼 쓰거나 아예 모든 말을 '윙딩'으로만 하는 식으로 단순화해 표현되는 경우가 많다. 그 '윙딩'이라는 말의 묘하게 하찮은 어감도 가스터의 개그캐화에 영향을 미치기도 했다.

7. 관련 링크


이러한 이론들에 더 관심이 있다면
[1] 파일 명칭은 미스테리 맨(spr_mysteryman)[2] 게임 폴더 내에서의 오디오 파일명은 'mus_st_him.ogg'.[3] Underminer 서브레딧 해당 스래드[4] 한편 짜증나는 개가 게임 내에서 작고 하얀 개로 언급되므로 제작자 하얀 개를 영문으로 풀어보면 White Dog Game Master. 줄여서 W.D 가스터가 된다는 주장도 있다.[5] 세이브 파일 조작을 통해 이름을 가스터로 정하면 진행이 가능하긴 하지만 리셋 버튼을 누를 시 게임이 재시작되므로 리셋이 봉인된다.[6] 참고로 바로 위 값인 절대신 아스리엘의 데이터 번호는 99, 100번이다. 여러모로 의도가 다분한 번호 책정.[7] typer value, 특정 캐릭터의 폰트와 텍스트의 빠르기, 크기, 소리 등을 판별하는 언더테일과 델타룬에 공통적으로 포함된 변수다.[8] 가스터의 경우는 게임에서 등장하지 않았지만 데이터상으로 볼 때는 불사의 언다인보다도 체력이 약 30배 정도로 제일 많다.[9] 6은 수학적으로 첫 번째 완전수이기도 하다.[10] 666은 악마를 상징하므로 정황상 "천사"를 상징하는 게임 바깥 플레이어들과 대척점에 서 있는 것으로도 해석할 수 있다.[65] 챕터 2 히든 루트에서의 플레이어의 행적을 생각해보면 의외로 선역일 수도 있다.[11] 파일:가스터블래스터.png[12] 클램 고너의 경우 사라질 때 미스터리 맨, 가스터 추종자 2와 마찬가지로 효과음 snd_mysterygo를 재생하므로 가스터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것으로 여겨지나, 고너 키드는 가스터와 관련된 직접적인 요소는 보유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추종자 여부는 확실하지 않다.[13] Windings 글꼴에는 소문자에 대응하는 텍스트 이모지가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17번째 기록의 화자는 오로지 대문자에 대응하는 텍스트 이모지만을 사용한다.[14] 스노우딘에서 이스터에그로 갈 수 있는 짜증나는 개의 방의 문이 있는 곳에서 Del키를 눌러도 볼 수 있다. 이유는 위의 맵들이 아닌 맵들은 중간에 보통 엔딩 룸이 있어 돌리다 보면 보통 엔딩을 보게 되기 때문이다. 진실의 연구소와 이스터에그 개의 방은 보통 엔딩 룸 뒤에 있다.[15] 아스리엘전 이후에 주요인물들에게 물어서 확인할 수 있다.[16] 원문은 G...로 끝나고 팀 왈도 번역판에선 ㄱ...로 끝낸다. 일본어판에서는 이 부분이 번역이 안 되었고 영어 원문 그대로 나온다.[17] 여기서 버그가 하나 있는데 전화 이벤트 발생 전 마지막으로 말을 건 상대가 대화창에 얼굴이 나오는 NPC라면 잘못 건 전화 대화창에도 해당 NPC의 얼굴이 그대로 출력된다.[18] 팀왈도 비공식 번역 기준[19] 일부에서는 손으로 말하는 자가 손으로 글자를 입력하는, 즉 인터넷에 글을 쓰는 사람들을 나타낸다고 주장하기도 한다.[20] 스토리를 진행하면 알겠지만 진실의 연구소는 주인공과 알피스, 융합체들 외엔 누구도 있어선 안 되는 곳이다.[21] 단순히 회색이 되는 것뿐만이 아니라, 오렌지 머리가 눈알로 변하고 양팔에 손이 생겨난다. 그리고 처음 말을 걸었을 땐 대화창이 아래에 나타나나, 모습이 변함과 동시에 대화창이 위로 옮겨진다.[22] 미스터리 맨이 사라질 때의 효과음이다.[23] 델타룬에선 언더테일의 주인공을 제외한 모든 인물들과 델타룬에만 등장하는 새 인물들이 있다.[24] 우산은 비가 오지 않으면 그 가치를 잃는다. 그리고 고너 키드는 무가치한 우산을 자신에게 건내준 플레이어의 행동을 자신에 대한 블랙 유머로 받아들인 것으로 보인다.[25] Premonition은 스노우딘의 그릴비 상점에서 샌즈가 주인공에게 '말하는 꽃'에 대해 들어본 적 있냐고 질문할 때 재생되는 OST다. 다만 Premonition의 내부 파일명이 'mus_mysteriousroom2.ogg'기 때문에, 해당 OST는 본래 272번 방을 위해 작곡되었다가 272번 방의 삭제로 인해 지금의 용도로 변경된 것으로 추측된다.[26] 직역할 시 '편집됨, 삭제됨'이라는 뜻이며, 일반적인 의미의 편집을 뜻하는 'edit'과는 달리 주로 기밀 정보나 민감한 정보를 검열 삭제했다는 의미로 사용된다.[27] 실제로 텍스트가 이렇게 표기되어있으며, 개발 단계에서 구상된 원본 텍스트 문자열에서 해당 부분만 게임 출시 때 삭제된 것으로 보인다. 어째서 텍스트 문자열 전체를 완전히 삭제하지 않고 특정 부분만 삭제한 체 파일 내부에 남겨두었는지는 불명이다.[28] 마찬가지로 게임 출시 때 삭제된 것으로 보인다.[29] 이 설정을 따르는 2차 창작물들의 경우, 대체로 아버지로 그려진다.[30] 샌즈: Comic Sans, 파피루스: papyrus, W. D. 가스터: Wingdings[31] 샌즈: 소문자, 파피루스: 대문자, W. D. 가스터: 대문자[32] (검열됨) 부분은 검은 상자로 내용이 가려져있다.[33] 예시: demonx, demony, demonz... 편의상 demon 변수로 통칭하며, 여러 demon 변수들을 한번에 묶어 부를 경우 'x, y, z demon 변수'와 같은 방식으로 기술함[번역1] 이 게임의 매력 중 하나는 얼마나 많은 옵션이나 비밀이 있는지에 대한 미스터리입니다. 이 글을 읽고 있다면, 이 메시지나 정보를 어디에도 게시하지 마세요. 그렇지 않으면 비밀을 밝히는 것이 무의미해질 것입니다.[번역2] 참고로, 겉보기에 쓸모없어 보이는 텍스트/파일들은 대부분 이미 사용되었습니다.[번역3] 게임 내에서 에셋의 맥락을 찾을 수 있다면 자랑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찾을 수 없다면, 아마 충분히 찾아보지 않았다는 뜻일 겁니다. 정말로 쓸모없는 것들은 나중에 제가 직접 게시할 겁니다.[번역4] 사람들이 코드에서 답을 쉽게 낚아챌 수 있는 이런 세상에 살고 있다니... 당신의 조급함이 당신에게 정말 큰 상처를 입혔군요, 그렇죠?[번역5] 안녕하세요.[번역6] 당신은 당신의 입장을 완전히 명확히 밝혔습니다.[번역7] 이해했습니다.[번역8] 저는, 당신의 겸손한 하인이 되어 당신을 끝까지 따르겠습니다...[42] 때문에 이곳이 '열일곱 번째 기록'에 나오는 가스터의 실험과 관련된 장소가 아니냐는 팬덤의 추측이 존재한다.[43] 열 일곱번째 기록의 내용의 일부를 그대로 인용했다.[44] 2015년 12월 8일에 한 레딧 이용자에 의해서 최초로 발견되었으며, 바로 다음날에 페이지가 아카이브되었다. 링크[45] 델타룬 오프닝에서 출력되는 문장의 일부분과 유사하다.[46] 언더테일의 샌즈의 작업실에서 청사진을 조사했을 때 출력되는 대사와 유사하다.[47] 그릇의 이름과 창조자의 이름이 똑같을 경우[48] 그릇의 이름 혹은 창조자의 이름을 KRIS, SUSIE, NOELLE 셋 중 하나로 작명할 경우[49] typer value, 특정 캐릭터의 폰트와 텍스트의 빠르기, 크기, 소리 등을 판별하는 언더테일과 델타룬에 공통적으로 포함된 변수다.[50] 다분히 의도적인 설정인데, 666보다 낮은 타이퍼 값들 중 가장 높은 타이퍼 값의 크기는 111이기 때문이다.[51] 텍스트의 크기를 제외하면 모든 설정이 타이퍼 값 666과 동일하다.[52] 다만 챕터 1 클리어 이후에도 게임 오버 후 제시되는 선택지에서 No를 선택할 경우 챕터 1 게임 오버 화면 화자의 대사가 짧게 출력된다.[53] 파일:가스터계정명.png █의 갯수가 정확히 6개로, 'Gaster'를 쓰기 위해 필요한 글자 수와 일치한다.[54] 선택지 YES/NO 중 무엇을 선택하는지, 파일을 삭제하는지 아닌지는 중요하지 않으며, 오직 삭제 확인 질문 창을 10번 띄우기만 하면 된다. 삭제 확인 질문 창을 띄울 때마다 'THREAT'(위협) 변수가 1씩 증가하며, 수치가 10에 도달할 경우 조건이 만족된다.[55] 이 때 THREAT'(위협) 변수의 수치가 0으로 초기화된다.[56] 단, 스팸톤의 경우 대괄호 사이의 단어를 말할 때에는 소문자를 사용하며, 일반 루트 한정으로 전투 종료 직후에는 소문자를 사용함과 동시에 정상적인 말투로 말한다.[57] 상술했듯 크리스의 전화기를 다크 월드에서 사용하면 잡음(Garbage Noise)밖에 들리지 않는다는 대사가 출력됨과 동시에 전작의 미사용된 264번 방, 즉 열 일곱번째 기록이 출력되는 방에서 재생되던 OST mus_smile.ogg가 짧게 단축되어 재생된다.[58] 참고로 가스터의 역할은 은둔자였다.[59] 미스터리맨 스프라이트와 가스터의 추종자들은 전부 색채 없는 흑백 톤이고, 조우하는 이벤트 내용도 무척 어둡다. 전용 테마곡 역시 음산하며 다른 곡의 재생도 막아버린다.[60] 유튜브에서 조회수 4000만 회를 찍을 정도로 유명한 곡이다.[61] 둠 시리즈카코데몬과 철자가 같다 보니 이쪽으로 잘못 해석하는 경우도 있다.[62] 듣다 보면 글리치테일 가스터에 2번째 테마인 'Ascended'과 닮아있는 부분이 있다.[63] 전자의 경우 배드 엔딩으로 끝나는 일도 있지만, 가스터가 전 시공간으로 흩어졌다는 설정을 차용해서 죽여도 다시 돌아온다꿈도 희망도 없는 전개로 가는 일도 있다. 후자의 경우 가스터의 성향에 따라 달라지는데, 악인으로 묘사될 경우 차라를 역관광 보내거나 세뇌시키는 경우도 있고, 선인으로 묘사될 경우 차라를 완전히 제거시키고 프리스크로 되돌리는 전개가 자주 나온다.[64] 가스터의 창작물이 등장할 초기에는 이 설정을 한국 팬덤에서 자주 채용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