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2-07-08 19:00:27

박순발

박순발
Park Soon Barl
파일:박순발(고고학자)1.jpg
출생일 1958년
학력 서울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 / 학사)
서울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 고고학 전공 / 석사)
서울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 고고학 전공 / 박사)
현직 충남대학교 고고학과 교수
약력 호암미술관 학예연구원
경남대학교 박물관 연구원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소장
충남대학교 박물관장
충청문화재연구원 원장
한국고고학회 회장(제28대)
충남대학교 고고학과 교수
1. 개요2. 생애3. 연구 주제4. 저술 및 연구실적
4.1. 주요 논문4.2. 주요 저역서
5. 기타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고고학자. 現 충남대학교 고고학과 교수

2. 생애


1958년 경상북도 경주에서 태어났다. 1984년 서울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를 졸업하였으며, 동 대학원에서 고고학 전공으로 1989년에 「한강유역 백제토기의 변천과 몽촌토성의 성격에 대한 일고찰」로 석사학위를 취득하고, 1998년에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박사학위 논문제목은 「백제 국가의 형성 연구」이다.

1992년에 충남대학교 고고학과 교수로 부임하였으며, 충남대학교 박물관장,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소장을 역임하였고 제28대 한국고고학회 회장(2020-2021)직을 수행하였다.

3. 연구 주제

주 연구 분야는 백제 고고학이지만, 실제로 신석기시대 부터 고려시대까지 다양한 유적을 조사하고 보고서를 출간하였다.

현재는 세부적으로 백제 토기의 편년연구 및 도성의 사용과 폐기에 관하여 연구하고 있다.

박순발 이전의 백제고고학은 거의 단편적인 수준의 발굴 결과 밖에 없었지만 1987년 부터 서울대학교 박물관에 재직하면서 발굴한 몽촌토성은 한국 백제고고학 및 백제토기의 신기원을 이룬 연구성과이다.

그 후 충남대학교에 교수로 재직하면서 본격적인 백제고고학의 기틀을 다졌으며 무수히 많은 제자들을 양성하며 백제고고학의 비조로 자리 잡았다.

지금도 거의 매일 연구실에서 밤 늦게까지 연구하고 집필하면서 중국 남조와 백제와의 관계 및 삼국시대 고대사 문헌에 드러나지 않는 각종 물질자료의 탐구에 몰두하고 있다.

고대 국가의 성립을 순수하게 유물론적으로 제시한

1. 통일된 토기양식의 형성

2. 대형 분묘의 등장

3. 성곽의 출현과 도성제의 확립

기준은 지금도 한국 역사고고학계에서 널리 인정 받는 탁견이다.

4. 저술 및 연구실적

4.1. 주요 논문


박순발, 2020, 「무령왕릉 묘지(墓誌) 형태 비교 연구」, 『백제연구 72』,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박순발, 2019, 「백제 불사 입지 비교 연구」, 『백제연구』 70,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박순발, 2019, 「호서고고학 20년」, 역사고고학, 『호서고고학』 42, 호서고고학회
박순발, 2018, 「백제 사비기 원락 건물의 유형과 성격- 부여 청산지구 원락 유적의 성격 규명에 즉하여 -」, 『백제학보』 25, 백제학회
박순발, 2017, 「백제 도성 묘역의 비교 고찰」, 『백제연구』 66,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박순발, 2017, 「한반도 요고 전래고」, 『백제연구』 65,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박순발, 2016, 「마한사의 전개와 익산」, 『마한백제문화』 28, 원광대학교 마한백제문화연구소
박순발, 2016, 「入唐百濟遺民流向與連雲港石室墓」, 『東南文化』 2016-4, 南京博物院
박순발, 2016, 「백제의 해상 교통과 기항지 - 對 中國 航路를 중심으로 -」, 『백제학보』 16, 백제학회
박순발 (공저), 2015, 「韓國古代製鹽考古初探」, 『동방고고』 12, 산동대학문화유산연구원
박순발, 2015, 「通過考古材料看唐熊津都督府所在」, 『당대강남사회』, 강소인민출판사
박순발, 2015, 「偏堡文化의 形成과 展開」, 『한국청동기학보』 16, 한국청동기학회
박순발, 2015, 「극동아시아 농렵구 설정」, 『백제연구』 61,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박순발, 2014, 「사비도성에 대한 비교도성사적 고찰」, 『충청학과 충청문화』 19, 충남역사문화원
박순발, 2014, 「동아시아 고대 도성 民里의 형성과 전개」, 『역사문화연구』 52, 역사문화연구소
박순발, 2014, 「朝鮮半島圍墻聚落的出現及相關問題」, 『中國人民大學北方民族考古硏究叢書之二』, 科學出版社
박순발, 2013, 「중국 고대 도성 廟壇의 기원과 전개」, 『한국고대사연구』 71, 한국고대사학회
박순발, 2013, 「連雲港 封土石室墓의 歷史 性格」, 『백제연구』 57,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박순발 (공저), 2011, 「原三國~百濟 熊津期 의 變遷樣相 및 編年 -漢江 및 錦江流域을 中心으로-」, 『백제연구』 53,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박순발, 2010, 「益山 王宮里 遺蹟 宮墻과 神籠石 山城의 起源」, 『백제연구』 52,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박순발, 2008, 「백제 "농관용" 연구」, 『백제연구』 48,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박순발, 2007, 「묘제의 변천으로 본 한성기 백제의 지방 편제 과정」, 『한국고대사연구』 48, 한국고대사학회
박순발 (공저), 2007, 「대전 흑석동 산성」, 『백제연구』 46,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박순발, 2007, 「사비나성연구의 현단계」, 『구루』 13, 古代山城硏究會
박순발, 2007, 「사비도성과 익산 왕궁성」, 『마한백제문화』 17, 원광대학교 마한백제문화연구소
박순발, 2006, 「한국고대사에서 종족성 인식」, 『한국고대사연구』 44, 한국고대사학회
박순발, 2005, 「초두고, 동아고고논단』 1」, 충청문화재연구원
박순발, 2005, 「토기상으로 본 호남지역 원삼국시대 편년」, 『호남고고학보』 21, 호남고고학회
박순발 (공저), 2005, 「베이지안 통계학(Bayesian statistics)을 이용한 한국 청동기시대 전기 가락동유형의 연대고찰」, 『한국상고사학보』 47, 한국상고사학회
박순발, 2004, 「한성기 백제 대중교섭 일예-몽촌토성 출토 금동과대금구 추고-」, 『호서고고학』 11, 호서고고학회
박순발, 2004, 「백제토기 형성기에 보이는 낙랑토기의 영향-심발형토기 및 장란형토기 형성 과정을 중심으로-」, 『백제연구』 40,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박순발 외 공저, 2004, 「공주 계룡산성」, 『백제연구』 40,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박순발, 2004, 「한성백제 고고학의 연구 현황 점검」, 『고고학』 3, 서울경기고고학회
박순발, 2004, 「湖西地域 平地野山城에 대하여-축조시점 및 성격을 중심으로-」, 『호서고고학』 11, 호서고고학회
박순발, 2004, 「호서지역 평지야산성에 대하여」, 『호서고고학』 10, 호서고고학회
박순발, 2004, 「遼寧粘土帶土器文化韓半島定着過程(日文)」, 『福岡대學考古學論集, 小田富士雄先生退職記念事業會
박순발, 2004, 「요녕 점토대토기문화의 한반도 정착 과정」, 『금강고고』 1, 충청문화재연구원
박순발, 2004, 「泗泌都城」, 『국제심포지움』 제21집, 국립일본문화연구센타
박순발, 2003, 「漢城期 百濟 都城의 問題-風納土城과 夢村土城의 築造 時期 比定을 中心으로-」, 한국고대학회
박순발, 2003, 「주구묘의 기원과 지역성 검토」, 『충청학과 충청문화』 2, 충남역사문화연구소
박순발, 2003, 「한성기 백제 도성의 문제-풍납토성과 몽촌토성의 축조시기 비정을 중심으로-」, 『선사와 고대 19, 한국고대학회
박순발, 2003, 「미사리유형 형성고」, 『호서고고학』 9, 호서고고학회
박순발, 2003, 「사비도성 공간 구획 예찰」,『호서지방사연구』, 호서사학회
Hong, D., Galloway, R., Kim, M., & Park, S., 2003, Optical dating of the hydroponic farm at Korea, Kluwer Academic Publisher
박순발 (공저), 2003, 「한국 부여 논유적의 광여기루미니센스 연대측정」, Journal of Radioanalytical and Nuclear Chemistry 256, Kluwer Academic Publishers
박순발, 2003, 「웅진 사비기 백제토기 편년에 대하여」, 『백제연구』 37,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박순발, 2002, 「동아시아 속의 한반도 선사문화의 정체성 모색-S.넬슨,한국고고학-」, 『해외 한국학 평론』 3, 연세대학교 현대한국학연구소
박순발, 2002, 「한성기 백제의 성곽」, 『향토서울』 62, 서울특별시 시사편찬위원회
박순발, 2002, 「대형고분 출현과 백제의 국가 형성」, 『문화재연구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11, 국립문화재연구소
박순발, 2002, 「영동 계산리 건물지의 성격-중세고고학의 일례-」, 『호서고고학』, 호서고고학회
박순발, 2002, 「사비도성, 금강」, 국립공주박물관
박순발 (공저), 2002, 「부여군 노화리 제4기 고경작지에서 산출된 화분 포자에 의한 고기후 해석」, 『J.Paleont. Soc. Korea.』 18, 한국고생물학회
박순발 공저, 2002, 「아산만지역 신석기유적」, 『백제연구』 35,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박순발, 2000, 「4-5세기 한국 고대사와 고고학의 몇 가지 문제」, 『한국고대사연구』 24, 한국고대사학회
박순발, 2000, 「영산강유역 전방후원분과 식륜, 한.일 고대인의 흙과 삶」, 국립전주박물관
박순발, 2000, 「심발형토기고」, 『호서고고학』 4, 호서고고학회
박순발, 2000, 「영산강유역 전방후원분의 의의」, 『朝鮮學報』 179, 朝鮮學會
박순발, 2000, 「帶頸壺一考」, 『호남고고학보』 13, 호남고고학회
박순발, 2000, 「마한대외교섭의 변천과 백제의 등장」, 『백제연구』 33,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박순발, 2000, 「계족산성 국적:신라인가 백제인가」, 『충청학연구』 1, 한남대 충청학연구센타
박순발, 2000, 「백제사비도성의 나성구조에 대하여」, 『古文化談叢』 45, 九州古文化硏究會
박순발, 2000, 「묘제의 정치사회적 함의-가족합장묘 등장의 배경을 중심으로-」, 『하곡 김남규교수 정년퇴임기념 사학논총』, 경남대학교 사학논총간행위원회
박순발 (공저), 1999, 「대전 월평동 즐문토기 및 고구려토기 산포유적」, 『호서고고학』 1, 호서고고학회
박순발, 1999, 「백제 국가 성립에 대한 이해」, 『선사와 고대』 12, 한국고대학회
박순발, 1999, 「흔암리유형 형성과정 재검토」, 『호서고고학』 1, 호서고고학
박순발, 1999, 「한성백제의 대외관계」, 『백제연구』 30,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박순발, 1999, 「고구려토기의 형성에 대하여」, 『백제연구』 29,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박순발, 1998, 「송산리고분군과 무령왕릉」, 『韓國文化』 220, 榮光敎育文化硏究所(在日韓國文化院監修)
박순발, 1998, 「계족산성에 대한 신지견-발굴조사 결과를 통해 확인된 고고학자료에 대한 검토-」, 『대전문화』 7, 대전광역시
박순발 (공저), 1998, 「대전시 유성구 장대지역 홀로세 하성 퇴적층에서 산출된 화분 분석」, 『第四期學會誌』 12, 한국제4기학회
박순발, 1997, 「삼국시대-백제의 유적」, 『韓國文化』 214, 榮光敎育文化硏究所(在日韓國文化院監修)
박순발, 1997, 「문화재보호법과 문화행정의 난맥」, 『역사비평』 38, 역사비평사
박순발, 1997, 「백제의 국가형성과 백제토기」, 『백제논총』 6, 백제문화개발연구원
박순발, 1997, 「한강유역의 기층문화와 백제의 성장과정」, 『한국고고학보』 36, 한국고고학회
박순발, 1997, 「한성백제의 중앙과 지방」,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박순발, 1996, 「백제도성의 변천과 특징」, 『한국사의 이해(중산 정덕기박사 회갑기념 한국사학논총)』, 경인문화사
박순발, 1996, 「한성백제 기층문화의 성격-중도유형 문화의 성격을 중심으로-」, 『백제연구』 26,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박순발, 1995, 「감천의 고대 문화, 감천의문화유산」, 대전서구문화원
박순발, 1995, 「한강유역의 청동기 초기철기 및 원삼국시대에 대한 편년적 고찰」, 『한국상고사학보』 18, 한국상고사학회
박순발 (공저), 1994, 「홍성금곡리 원천 유적채집 백제토기에 대하여」, 『우강권태원교수정년기념논총-민족문화의제문제-』, 세종문화사
박순발, 1994, 「한성백제 성립기 제묘제의 편년검토」, 『선사와고대』 6, 한국고대학회
박순발 (공저), 1993, 「소가야 문화권 유적지표조사 약보―고성군일대의 청동기시대-가야시대 유적을 중심으로―」, 『가라문화』 10, 경남대학교 가야문화연구소
박순발, 1993, 「우리나라 초기철기문화의 전개과정에 대한 약간의 고찰」, 『고고미술사론』 3, 충북대학교고고미술사학과
박순발, 1992, 「백제토기의 형성과정」, 『백제연구』 23,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박순발, 1989, 「미사리 즐문토기의 분류및 변천」, 『서울대학교 박물관연보』 1, 서울대학교 박물관
박순발, 1989, 「한강유역 원삼국시대의 토기의 양상과 변천」, 『한국고고학보』 23, 한국고고학회
박순발 (공저), 1985, 「용인고려백자요의 요업변천에 대한시고」, 『삼불김원용교수정년퇴임기념논총』, 일지사
박순발 (공저), 1985, 「여주 흔암리 선사취작지 출토 석기류 Ⅱ.」, 『고문화』 26, 한국대학박물관협회
박순발 (공저), 1985, 「여주 흔암리 선사취락지 출토 석기류 Ⅰ.」 『변태섭박사화갑기념사학논총』, 삼영사

4.2. 주요 저역서


박순발 공저, 2021, 『六朝與百濟』, 光明日報出版社
박순발 공저, 2021, 『북위 , 선비 탁발부의 발자취, 한성백제박물관』, 국립부여박물관
박순발 공저, 2020, 『백제의 계획도시, 세종나성동』, 국립공주박물관
박순발 공저, 2020, 『王宮と王都』, 雄山閣
박순발 공저, 2020, 『대가야의 도성』, 영남대학교 박물관 고령군 대가야박물관
박순발 공저, 2020, 『백제왕도- 동아시아 도시 외곽의 형성-』, 문화재청 백제왕도핵심유적보존관리사업추진단
박순발 공저, 2020, 『마한의 시작과 꽃을 피운 땅』, 전북연구원 전북학연구센터
박순발 공저, 2019, 『(사신이 호위하사) 백제 능산리 1호 동하총』, 국립부여박물관
박순발 공저, 2019, 『대전광역시 문화재대관』, 대전광역시 문화유산과
박순발 공저, 2018, 『연운항봉토석실묘조사여연구』, 상해고적출판사
박순발 공저, 2018, 『한강유역사』, 상해고적출판사
박순발 공저, 2018, 『마한 고고학개론』, 진인진
박순발 공저, 2018, 『국립공주박물관』, 국립공주박물관
박순발 공저, 2018, 『김해 봉황동 유적과 고대 동아시아』, 주류성
박순발 공저, 2017, 『한강과 마을의 흔적 : 한성백제박물관 한강유역 신규 발굴 유물 특별전시회』, 한성백제박물관
박순발 공저, 2017, 『한성백제사 다시보기』, 한성백제박물관
박순발 공저, 2017, 『백제, 한성에서 웅진으로』, 한성백제박물관
박순발 공저, 2016, 『경주 월성 발굴과 세계유산 사례 연구』,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박순발 공저, 2016, 『청동기시대의 고고학. 1-3, 5』, 서경문화사
박순발 공저, 2016, 『중서부지역 고고학 연구』, 진인진
박순발 공저, 2016, 『백제의 변경-화천 원천리유적』, 진인진
박순발 공저, 2015, 『진도 명량대첩로 해역』,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박순발 공저, 2015, 『백제 정림사와 북위 영녕사 : 2015 뤄양박물관 문물교류전』, 국립부여박물관
박순발 공저, 2015, 『매장문화재조사 정책 및 제도의 발전 방향』, 한국매장문화재협회
박순발 공저, 2015, 『백제와 요서지역』, 한성백제박물관
박순발 공저, 2014, 『백제의 왕권은 어떻게 강화되었나』, 한성백제박물관
박순발 공저, 2013, 『익산역사유적지구 유사유산비교연구』, 원광대학교 마한 백제문화연구소 / 세종 C and C
박순발 공저, 2013, 『백제, 누가 언제 세웠나』, 학연문화사
박순발 공저, 2013, 『백제 도성제와 주변국 도성제의 비교연구』, 충청남도 역사문화연구원
박순발 공저, 2011, 『동아시아 도성의 비교연구』, 교토대학학술출판회
박순발 공저, 2010, 『충청남도지』, 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박순발, 2010, 『백제의 도성』, 충남대학교 출판부
박순발 공저, 2010, 『중국 동북공정 고구려사 연구논저 분석』, 동북아역사재단
박순발 공저, 2009, 『강릉 초당동 유적』, 고려출판사
박순발 공저, 2009, 『백제, 마한을 담다』, 아디람
박순발 공저, 2009, 『마한 숨쉬는 기록』, 통천문화사
박순발 공저, 2009, 『익산 왕궁리 유적 - 발굴20년 성과와 의의』, 주류성
박순발 공저, 2008, 『국가 형성의 고고학』, 한국고고학회
박순발 공저, 2008, 『한성백제사 3-왕도와 방어체계-』,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박순발 공저, 2008, 『유적 유물로 본 백제(I)』, 충청남도역사문화원
박순발 공저, 2007, 『백제의 건축과 토목』, 충청남도역사문화원
박순발 공저, 2006, 『백제 사비시기 문화의 재조명』, 춘추각
박순발 공저, 2006, 『충남도지3권-선사에서 백제로-』, 충청남도지편찬위원회
박순발, 2006, 『백제토기 탐구』, 주류성
박순발 공저, 2004, 『백제문화의 원형』, 공주대학교 백제문화원형복원센타
박순발 공저, 2003, 『사비도성』,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박순발 공저, 2003, 『부여의 문화유적』, 부여의 문화유적
박순발 공저, 2003, 『백제도성의 변천과 연구상의 문제점』, 서경
박순발 공저, 2003, 『부여의 문화유적』, 부여군지편찬위원회
박순발 공저, 2003, 『사비도성』,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박순발 공저, 2002, 『村落의 形成과 發展』, 가락국사적개발연구원
박순발 공저, 2002, 『고대 일본과 백제』, 大巧社
박순발 공저, 2002, 『Ancient Japan and Backje』, 大巧社
박순발, 2001, 『한성백제의 탄생』, 서경문화사
박순발 공저, 2001, 『용인서리 고려백자요지의 재조명』, 경기일보사
박순발 공저, 2000, 『한국고대문화의 변천과 교섭』, 서경문화사
박순발 공저, 2000, 『후백제와 견훤』, 서경문화사
박순발 공저, 2000, 『하곡김남규교수정년기념 사학논충』, 경남대학교 출판부
박순발 공저, 2000, 『한국의 전방후원분』, 충남대학교 출판부
박순발 공저, 2000, 『논산 황산벌 전적지』,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박순발 공저, 2000, 『사비도성과 백제의 성곽』, 서경문화사
박순발 공저, 2000, 『백제사상의 전쟁』, 서경문화사
박순발 공저, 2000, 『한국 고대사와 고고학』, 충남대학교 박물관
박순발 공저, 1998, 『마한사 연구』, 충남대학교 출판부
박순발 공저, 1997, 『백제의 중앙과 지방』,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박순발 공저, 1993, 『한강유역사』, 민음사
박순발 공저, 1989, 『미사리 즐문토기의 분류 및 변천』, 서울대학교 박물관

5. 기타

한국 고고학회 회장을 맡으면서 적극적으로 SNS와 유튜브를 최초로 도입 및 활용하였다.


한국의 인디애나 존스 시리즈에 등장하기도 하였다 채찍은 안 갖고 다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