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4-06 21:42:59

방렬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포병 용어
,
,
,
,
,

1. 개요2. 설명3. 방렬? 방열?4. 종류5. 여담6. 기타

1. 개요

[1] / laying

견인포, 자주포, 박격포의 사격준비를 뜻하는 포병 군사 용어.

2. 설명

포병 세부병과 중 전포대가 이런 임무를 수행한다. 포를 사격하는 임무 중 가장 중요한 것이 방렬작업이다. 일반적으로 여러 대의 포를 하나의 통제 단위로 묶은, 포대 전체가 동시에 사격하므로 사격제원(각도)이 같다. 그러므로 미리 모든 포신을 같은 방향으로(평행선이 되게) 맞추어야 효과가 크다.

간단하게 설명하면 평행하는 두 선(이때의 선은 사격선을 의미한다.) 위에 각각의 선에 점(이 점은 포반을 뜻한다.)을 찍고 그 점을 지나는 선을 그을 때에 생기는 끼인각을 이용한다.

가끔씩 단어가 생각이 안나면 시즈 모드로 이야기 하기도 한다. 시즈 모드 자체가 방렬이기 때문. 자주포든 견인곡사포든 포병대에서 방렬을 쉽게 설명하는데엔 시즈 모드가 제격이다.

3. 방렬? 방열?

일단 국어사전에도 '방렬(放列)[방ː녈]'로 등재되어 있지만 방열[2]이 압도적으로 많이 쓰이고 있으며, 교재, 교본의 표기 및 실생활에서의 발음도 모두 방열로 한다, 포병 출신에게 방렬이라고 하면 못 알아듣는다.

이는 '列(렬)'이라는 한자가 '오와 열', '열도' 등 두음법칙이 적용되는 경우에 많이 사용되고, '전열', '대열', '서열', '진열', '분열' 등 글 뒤에서 사용될 때에도 (하필 후술된 법칙에 따라) 죄다 '열'로 쓰는 경우가 많다 보니 '방렬'의 경우에도 '방열'로 쓰는 것으로 굳어진 것이다.

'列'은 본음이 '렬'이나 어두에서는 '열'이 되며, 어두가 아닐 때에는 앞 음절의 받침이 없거나 앞 음절의 받침이 ㄴ일 경우에만 '열'로 쓴다. '放列'의 '放(방)'은 'ㅇ' 받침이므로 이 조건에 맞지 않기에 두음법칙을 적용할 것 없이 그냥 '방렬'로 쓰면 된다. 발음이야 유음의 비음화가 적용된 [방ː녈]로 하면 되고.

흔히 사용되는 단어 중에 列를 렬로 읽는 단어는 '행렬', '항렬', '일렬', '정렬' 정도밖에 없어 '방렬'이라는 표기는 좀 낯설게 느껴져 방열로 바뀐 모양이며, 구글 검색 결과도 "방렬"은 13,400개, "방열"은 2,260,000개로 비교조차 되지 않을 정도로 방열로 쓰이는 경우가 더 많다.

4. 종류

긴급 방렬, 방렬, 화력정찰, 그리고 장비의 종류마다 다르지만, 방렬의 일반적인 절차는 크게 3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5. 여담

목표 방향과 정확히 반대되는 방향으로 방렬을 하는 '역방렬' 실수가 나올 수도 있다. 특히 야간 긴급방렬시에 발생할 수 있다. 낮에는 다른 포 보고 어영부영 따라갈 수 있지만, 야간 긴급방렬시 등화금지이므로 이런 실수가 종종 일어난다. 언뜻 봐서는 역방렬 실수를 했다는 걸 알아차리기 힘든 경우도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 야외전술훈련시 역방렬 해놓고 아침에 일어나서 포방향이 엉뚱한 걸 발견하게 된다면….

6. 기타

구형 견인포의 경우 전포반원들 3~4명이 달라붙어 포의 다리를 들고 화포를 회전 시키거나 포 다리를 땅에 고정하기 위해 '정해진 시간 내에!!'. '삽'과 '곡괭이'로 미친듯이 땅을 파고 포를 고정시켜야 한다. 노가다 [10] 화포가 발사될때 포신이 뒤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이다. 특히 105mm 곡사포를 운용하는 부대는 높은 확률로 이러한 육체노동이 포함된다. 수송에서 화포를 놓아주어 위치를 잡아준 이후 부턴 전포반이 알아서 해야 한다.

자주표의 경우 완전 자동 장입 장치가 장착되어 있는 최신 화포라면 모를까, 일단 이러한 장치가 없으면 포탄을 직접 손으로 들고 최소 탄약을 장전하는 탄약수와 같은 육체노동은 해야 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98
, 1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98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놓을 방/벌일 렬.[2] 방열은 放熱. 놓을 방 자는 같이 사용하지만 뒤의 열은 '더울 열'을 쓴다. 열방출이라는 의미. 이것도 기계공학 개념어다보니 군사용어에서도 자주 사용된다. 가령 달궈진 총열의 열기를 배출하는 방열판 등이 있다.[3] 포병의 분대단위. 보통 1포반이 1장비를 운용한다.[4] 보통은 전포대장이나 전포사격통제관[5] 아침마다 포반에서 하는 그것인데, 주기적으로 표적을 교체하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기본적으로 대기 중 습도와 풍량 및 풍향 등 날마다 바뀌는 기상 상황을 반영해서 제원을 매일 다시 받기 때문에 아무것도 하지 않았어도 재방렬을 해야하기 때문이다.[6] 오차각을 θ라 하면 사거리 χ에서 오차는 2χ√(1-(cos(θ/2)²)가 된다. 이해가 어렵다면 아래그림을 보자. 파일:attachment/포격오차_구하기.jpg[7] 원래 밀리라디안은 1/1000 라디안으로 360도는 약 6283 밀리라디안이지만 NATO 밀은 계산상의 편의를 위해 80의 제곱수인 6400을 사용하는 것이다.[8] 그도 그럴것이 이 경우 10km(2차 대전시 105mm급 포의 일반적인 사거리였다)에서 오차는 약 20m가 되기 때문 즉 2밀 이상 벗어나면 최대사거리에서 유효타를 기대할 수 없다. 155mm인 경우 15km에서 30m오차가 나게 된다. 기본적으로 발사하는 탄종인 고폭탄의 살상범위가 반경 50m인데 이 경우 위에서 나열된 오차들만 따져봐도 상대측에게 주는 피해의 그 정도가 달라지게 되거나 다른 쪽에 피해를 주는 경우도 생긴다.[9] 다만 측지반이 힘들게 측량한 좌표가(제대로 측량하기만 했다면) GPS보다 더 정확하긴 하다. 게다가 실전에서는 GPS 교란장치 때문에 해당 신호가 안잡히거나 부정확하게 잡힐 수 있으므로 측지반도 활발히 활동해야 한다.[10] 특히 겨울에 땅이 얼어있는 상태면 거의 죽을 맛이 된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