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9-27 11:15:38

방송통신기사

{{{+2 {{{#FFFFFF 방송ㆍ무선 분야 자격증}}}}}}
방송통신기능사 방송통신산업기사 방송통신기사
무선설비기능사 무선설비산업기사 무선설비기사

방송통신기사
放送通信技士
Engineer Broadcasting Communication
중분류 212. 방송ㆍ무선
관련부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시행기관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
1. 개요2. 시험 방식3. 시험 과목
3.1. 필기
3.1.1. 1과목
3.1.1.1. 디지털 전자회로(개정 전, ~2022년)3.1.1.2. 방송통신일반(개정 후, 2023년~)
3.1.2. 2과목(방송통신기기)3.1.3. 3과목(방송미디어)3.1.4. 4과목(방송통신 시스템)3.1.5. 5과목(컴퓨터일반 및 방송설비 기준)
3.2. 실기
3.2.1. 필답형3.2.2. 작업형
3.2.2.1. 1과제(설계 및 측정이론)3.2.2.2. 2과제(측정기 운용)3.2.2.3. 3과제(방송신호 측정)

1. 개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 주관하고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에서 시행하는 국가자격 시험 및 그 자격증을 의미한다. #

방송국에서 방송 제작용 기기에서 제작된 방송 정보가 송신소로 송출되기 전까지의 단계에 해당하는 기기들의 운용,유지보수, 시스템 구성의 업무, 방송기기 관련업체에서 방송기기 설계, 제조, 설치, 운영 및 유지보수를 하는 업무를 수행하는 인력을 양성하고자 양성하고자 2002년에 자격제도를 제정하였다. (하위 자격인 방송통신산업기사/기능사는 1979년 제정)

전기전자공학과, 정보통신공학과, 컴퓨터공학과, 정보보안학과, 제어계측공학과, 인공지능학과, 반도체학과정보대학 4학년이 되면 응시 가능하다. 연 2회(제1회, 제4회) 실시된다.

무선설비기사보유자와 동일하게, 방송국이나 연주소의 무선종사자로 선임될 수 있다.

2. 시험 방식

여느 기사와 마찬가지로 필기 시험을 본 후, 응시 자격조건이 되는 경우에 한해서 실기시험을 치르는 방식이다.

필기 시험의 경우엔 5과목(방송통신일반, 방송통신기기, 방송미디어공학, 방송통신시스템, 전자계산기 및 방송설비기준)에서 각각 20문제씩 총 100문제가 출제되며, 각 과목당 40점이상을 취득하고 전과목 평균 60점이상 취득하면 합격이다.

실기 시험의 경우는 복합형 (필답형과 작업형)으로 이루어진다.

필답형(50점) + 작업형(50점)으로 평가하며, 두 영역을 합산하여 60점 이상이면 합격이다.

3. 시험 과목

3.1. 필기

3.1.1. 1과목

3.1.1.1. 디지털 전자회로(개정 전, ~2022년)
다이오드, 트랜지스터, 변복조회로, 발진회로, 논리회로에 대한 이론들을 물어보는 과목이다.

전자, 통신 분야 기사 필기 시험에 공통적으로 있는 과목이다.

무선설비기사, 전파전자통신기사를 취득한지 2년 내에 면제받을 수 있다.

2023년부터 방송통신일반으로 대체된다.
3.1.1.2. 방송통신일반(개정 후, 2023년~)

3.1.2. 2과목(방송통신기기)

방송설비, 라디오, TV, CATV, 지상파TV, 위성방송, 방송측정기기에 대한 이론들을 물어보는 과목이다.

계산문제가 그다지 많지 않으며 이해 위주의 과목이기 때문에 그다지 어려운 과목은 아니다.

3.1.3. 3과목(방송미디어)

음향이론, 영상이론, 조명이론, 방송콘텐츠, 멀티미디어에 대한 이론들을 물어보는 과목이다.

계산문제는 거의 없으며, 암기위주의 과목으로 암기력이 약하다면 가장 어려워하는 과목이다.

3.1.4. 4과목(방송통신 시스템)

방송기술에 관련된 통신이론들에 대해서 물어보는 과목으로 방송통신기기 내용과 어느정도 겹치는 과목이다. 산업기사는 응시하지 않는다.

3.1.5. 5과목(컴퓨터일반 및 방송설비 기준)

컴퓨터구조론[1]과 방송통신에 사용되는 다양한 법규들에 대해서 물어본다. 각각 10문제씩 출제된다.

3.2. 실기

실기시험은 방송기술 실무에 대해 복합형(필답형과 작업형)으로 이루어진다.

각 영역당 필답형(50점) + 작업형(50점)으로 평가하며, 두 영역을 합산하여 60점 이상이면 합격이다.

3.2.1. 필답형

필답형은 문제당 배점 2~6점으로 10~15문제 랜덤으로 출제되며, 단답형 및 서술형으로 구성된다.

별도의 답안지 없이 시험지가 곧 답안지이며, 답은 흑색이나 청색 중 한가지 색의 볼펜으로만 작성해야 한다.

다행히 필답치고는 전기기사, 산업안전기사에 비해 공부량(암기량)은 적은편이다.

어느 정도의 필기 개념과 10개년도 과년도 기출을 분석하면 무난하게 풀 수 있다.

3.2.2. 작업형

오로지 경기도 광주 ICT폴리텍 대학에서만 응시가능하다.

작업형은 총 3과제로 진행되며, 배점은 1과제 20점,2과제 20점,3과제 10점이다.
3.2.2.1. 1과제(설계 및 측정이론)
1과제는 한 장소에 동시에 진행되며, 아래 4가지 소과제를 필답형과 유사하게 시험지에 풀이해야 한다. 제한시간은 30분.
1) (디지털 방송시스템 구성) 지상파, 위성방송, 유선방송 등 제시되는 디지털 방송시스템 블록도의 빈 칸(압축기, 다중화기 등)에 장비명 작성, 전송률, 대역폭 작성
2) (디지털 방송시스템 측정) 지상파, 위성방송, 유선방송 등 제시되는 디지털 방송시스템에서 요구하는 신호(비디오, 오디오, 주파수 등)의 측정위치 및 측정장비 작성
3) (디지털 방송시스템 설정) 지상파, 위성방송, 유선방송 등 제시되는 디지털 방송시스템의 요구하는 신호(비디오, 오디오 등)의 총 전송률, 패킷 전송률, 데이터 전송률 등 계산
4) (방송신호 측정이론) 제시된 휘도신호(Y) 및 컬러신호(Cb, Cr)를 바탕으로 벡터스코프 또는 웨이브폼모니터를 그리고 계산과정 서술

지상파 등 방송시스템별 구성방식, 신호의 특성 및 측정장비의 기능, 전송률 계산법을 모두 이해하고 있어야 문제를 풀 수 있다. 즉, 알면 고득점을 챙겨갈 수 있으나 모르면 손도 못 댄다.
3.2.2.2. 2과제(측정기 운용)
2과제는 방송측정기기인 'SDI 분석기'와 'MPEG분석기' 조작 및 '실무면접'이다. 제한시간은 40분.

1) 패턴신호발생기로 송출하는 8컬러바 신호를 SDI분석기(웨이브폼모니터)를 이용하여 Amplitude, Jitter, Fall Time, Rise Time 측정
2) 임의의 디지털방송 동영상(TS파일)을 MPEG분석기로 분석하여 비디오 및 오디오 압축방식, PAT 값, PMT 값 기술, Null Packet 계산, PAT와 PMT 분석창에서 CRC_32 등 측정하여 작성

모든 과정에서 측정한 값이 의미하는 사항 또는 감독위원이 질문하는 사항을 답변하는 구술면접이 병행된다.

독방에서 고가의 장비를 다루고, 면접까지 보다보니 매우 긴장될 수 있다. 면접은 주로 측정값이 무엇을 뜻하는지를 물어보므로 단순 측정기를 보고 값을 적는다는 생각보다는 그 값의 단어 뜻을 어느 정도 알아가야 면접을 제대로 볼 수가 있다.
3.2.2.3. 3과제(방송신호 측정)
3과제는 스펙트럼 분석기 조작 및 계측 영역이다. 제한시간은 20분.

감독관이 신호발생기로 8VSB 신호를 송출하면 스펙트럼 분석기를 이용하여 주파수대역, 중간주파수, 파일롯 신호 주파수 및 전력값, 주파수의 최대 전력, 채널 전력과 신호 감쇄 후 감쇄값을 측정한다.


[1] 통신분야 기사에 공통으로 출제되며, 전자기사에도 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