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2-04-06 15:33:07

백제 멸망/계백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본 문서는 게임 스타크래프트의 유즈맵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한국사의 사건에 대한 내용은 백제멸망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백제 멸망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백제 멸망/백제팀
, 백제 멸망/의자왕
, 백제 멸망/흑치상지
, 백제 멸망/연개소문
,
,

1. 개요2. 전체적인 플레이방법3. 영웅 운용법4. 초보라면?

1. 개요

나당팀의 영웅과 책사를 견제하기에 가장 좋으며, 맵에서 가장 강력한 영웅인 계백의 존재로 인하여 인기가 많은 역할이다.

계백은 의자왕과 함께 전방에 있기 때문에 극초반에 해야 할 일이 의자왕만큼은 아니어도 많다. 또한 3분 금트나 첫턴 황산의자 등 극초반 전략을 백제팀이 시도할 때 비중이 꽤 있으며, 계백의 영웅들은 대체로 백제멸망의 모든 역할들 중 가장 성능이 뛰어나기 때문에 의자왕 다음으로 그 비중이 크다. 계백의 영웅들은 의직을 제외하고는 버릴 영웅이 없다.[1]

계백은 연개소문과 더불어서 극초반을 제외하고는 해야 할 일이 딱 명확하게 정해진 것이 아니라 그때그때 달라지는 경향이 커서 초보가 잡게 되면 무슨 일을 해야 하는지 몰라 멍을 때리고 아무것도 하지 않은 채 황산에 쳐박혀 있는 경우를 많이 볼 수 있다. 다만 의자왕과 달리 극초반부터 지켜야 할 중요거점이 털리는 일은 엥간해서는 없기 때문에[2] 그 점에 있어서는 의자왕보다 난이도가 쉽다.

계백 트리거는 다음 링크를 참고하기 바란다. #

2. 전체적인 플레이방법

시작하자마자 계백이 기본적으로 2분 안에 해야 할 일들은 다음과 같다.
위의 일을 다 하기 어렵다면 황산 마당 트리거 발동, 윤충, 의직 존버, 탐라 병영 피난 이 3개만큼은 꼭 해주자.

이후 황산의자일 경우 황산수비에 전념을 다하고, 황산의자가 아니라면 다른 백제팀들과 함께 사비, 술천, 웅진, 거물, 수곡성을 방비하는 것을 돕는다. 또 11시 병영을 띄우고 고구려의 평양성 자리나 평양성 뒤쪽에 미리 병영을 내려놓는다.

황산은 퇴각하는 적의 영웅이나 책사들을 암살할 때 유용한 기지이기 때문에 임존의자 시 계백을 임존에 투입시켰거나 고구려 세력 말살 전[5], 혹은 계백이 사망하지 않은 이상 버리면 안된다. 황산은 적기지인 금성과 기벌포에 가깝기 때문에 안에서 계백을 내보내 적의 영웅이나 책사들을 암살하거나 검병이나 기병, 결사대를 내보내 계백이 암살을 보좌하는데 아주 제격이다.[6]

도침의 임존트리거로 주어지는 백제기병(벌처)은 계백과 함께 신라팀의 영웅이나 책사를 암살하는 데에 아주 제격인 유닛이다. 계백과 조합해서 사용하면 좋다.

백제팀의 전략이 대충 결정되었다면 그 전략에 맞게 성문들을 옮겨 유용하게 사용할 준비를 한다.

중후반에도 황산이 아직 살아있다면 결사대가 꽤 쌓여있을텐데, 이 결사대들을 소정방 병력이 올라오는 길목에 배치하여 소정방의 병력을 줄여주면 좋다.

3. 영웅 운용법

계백은 디바우링 원이라 1:1로는 전부 다 이기니 영웅이 따로 다니거나 견적이 나오면 바로바로 상대방의 영웅이나 책사를 따주는데 활용하면 매우 좋다. 계백이 만약 임존이나 황산에 있다면 검샷으로 상대방의 영웅이나 책사를 견제해준다. 성 밖에 있다면 황산을 이용하여 회복을 위해 돌아오는 적의 영웅이나 책사들을 암살해주자.

황산의자나 임존의자시 안에 들어가 있는 도침은 스윔+검샷으로 병영이나 시설을 뽀개려 하는 김품일, 김유신, 소정방 3영웅을 적극적으로 견제해주자. 도침은 상대팀 입장에서 공성 시 가장 까다로운 유닛이라서 저격 1순위인 만큼 관리에 많은 신경을 써야 한다. 공성 시 스윔 안에서 검샷을 시도하는 적 영웅들을 견제해줄 수 있는 유일한 영웅이라서 매우 중요하다.

윤충은 성에서 농성시 몸빵에 유용하며 의직은 길막에 유용하니 이들도 적극 활용해주자.

4. 초보라면?

극초반 - 황산 마당 트리거[7], 무산과 탐라 병영의 빠른 존버, 무산성의 윤충, 의직 존버

이후의 플레이는 황산은 절대 버리지 않는다, 도침은 반드시 의자왕이 있는 성(임존이나 황산)에 둔다, 계백을 적극 활용해서 적들의 책사나 영웅들을 암살. 이것들만이라도 기억하자. 영웅들 중 계백만이라도 잘써서 적들의 영웅과 책사를 암살하는데 자주 성공하면 초보소리는 커녕 오히려 팀들로부터 잘한다는 평가를 받을 수 있다. 계백만 잘써도 상대방 입장에서는 엄청나게 까다롭다.


[1] 연개소문은 영웅이 3개밖에 없고, 초중반에는 강력한 모습을 보여주지만 중후반쯤 되어서 수곡성이 함락되면 비중이 없어지고 평양성까지 함락되면 비중이 더욱 줄어서 공기화되기에 의외로 비중이 그리 높지 않다.[2] 신라만으로 황산을 밀기는 매우 어렵고 사비성과 달리 무산성과 탐라는 중요한 성이 아니다. 단 신라 플레이어인 김춘추나 김유신이 극초반에 황산 뚫기 전략을 시도하면 황산에 초반에 날아갈 수도 있다. 만약 일부러 황산을 버린게 아닌데 김춘추, 김유신 플레이어가 이 황산을 뚫는데 성공했다면 그 계백이 초보인 것이다.[3] 황산내부에서 뽑은 검병들과 계백만 있어도 이 전략은 막을 수 있다. 그러나 계백이 이 전략을 막는데 전혀 동참해주지 않으면 두 신라가 트리거 발동 후 스윔을 치고 영웅들을 들이밀기 때문에 황산이 털릴 수 있다.[4] 왜 계백의 비중이 의자왕 다음으로 높은지 알수 있는 대목. 계백이 잘하면 위와 같이 나당팀이 위험성과 실패시의 불리함을 감안하고 시도하는 도박전략들을 대부분 무산시켜버릴 수 있다.[5] 임존의자 때 고구려 세력이 말살되면 곧 신라병력에 의해 막히므로 황산도 의미가 사라진다.[6] 잘하는 계백은 계백이 끝도없이 돌아다니면서 황산에 검병, 기병, 결사대 등을 일부 내보내 도망치는 적 영웅과 책사를 길막하거나 가둔 다음 곧 이어 계백으로 달려와서 암살하는 플레이를 하며 계속 백제기병, 계백, 황산내부에서 튀어나온 검병 등 여러방향에서 상대방의 영웅과 책사를 위협하는데 이러한 플레이는 황산이 있어야 가능하다.[7] 늦어도 1분 안에 발동해야 한다. 이 이상 늦게 되면 신라 1명이 사비성 우측을 치기 시작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47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47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