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6:42:15

뱅가드급 잠수함

뱅가드급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동명의 영국 전함에 대한 내용은 뱅가드(전함)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영국 국기.svg 현대의 영국 왕립해군 군함 파일:영국 해군기.sv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잠수함 재래식 <colbgcolor=#fefefe,#191919>암피온급R, 익스플로러급R, 포어포이즈급R, 오베론급R, 업홀더급R
SSN 드레드노트초대R, 밸리언트급R, 처칠급R, 스위프트셔급R, 트라팔가급, 아스튜트급, {SSN-AUKUS}
SSBN 레졸루션급R, 뱅가드급, {드레드노트급}
고속정 게이급R, 다크급R, 브레이브급R, 아일랜드급R, 시미터급R, 아처급
원양초계함 캐슬급R, 캐슬급(원양초계함)R, 리버급
호위함 대잠 호위함 12형 휘트비급R, 14형 블랙우드급R, 15형M/R,
16형M/R, 21형 아마존급R
방공 호위함 41형 레오파드급R, 61형 솔즈베리급R
다목적 호위함 12M형 로스시급R, 12I형 리앤더급R, 81형 트라이벌급R,
22형 브로드소드급R, 23형 듀크급,
{26형 시티급}, {31형 인스퍼레이션급}, {32형 호위함}
구축함 배틀급R, 데어링급R, 슈퍼 데어링, 카운티급R, 82형 브리스톨급T/R, 42형 셰필드급R, 45형 데어링급
순양함 밸파스트, 셰필드R, 넵튠급, 미노토어급, 타이거급R
전함 뱅가드R
상륙함 LPH 오션급R
LPD 피어리스급R, 베이급RFA, 알비온급
LSL 라운드 테이블급RFA
경항공모함 센토어급R, 인빈시블급R
항공모함 빅토리어스M/R, 오데이셔스급M/R, CVA-01급, 퀸 엘리자베스급
소해함 벤처러급R, 윌튼급R, 리버급R, 헌트급, 샌다운급
무인함 UUV 시캣, {세투스 XLUUV}
군수지원함RFA 리프급초대~4대RFA/R, 타이드급초대RFA/R, 로버급초대RFA/R,
포트 로자리급RFA, 포트 빅토리아급RFA, 웨이브급RFA, 타이드급2대RFA, {FSS}RFA
항공훈련함/병원선RFA 아거스RFA
※ 윗첨자R: 퇴역 함선
※ 윗첨자M: 개조/개장 함선
※ 윗첨자T: 기존 함을 연습함으로 전용
※ {중괄호}: 도입 예정 함선
※ 윗첨자RFA: 왕립 보조전대(Royal Fleet Auxiliary) 소속 함선
취소선: 계획만 되거나 취소된 함선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군의 운용장비 | 파일:해상병기 아이콘.svg 해상병기 }}}
}}}}}}

파일:뱅가드급.jpg
파일:vanguard-class.jpg
Vanguard-class submarine

1. 개요2. 제원3. 상세4. 동형함 목록5. 대체 사업6. 대중매체에서의 등장7. 기타8. 관련 문서

1. 개요

뱅가드급 잠수함은 영국 해군의 주력 전략원잠이다. 현재 지상/공중 배치 핵무기를 모두 퇴역시킨 영국의 유일한 핵억지력으로 활동하고 있다.

2. 제원

뱅가드급 잠수함
Vanguard-class submarine
이전급 레졸루션급
다음급 드레드노트급
건조 업체 비커스
건조 기간 1986 ~ 1998년
운용 기간 1993년 ~ 현재
건조 4척
전장 149.9 m
전폭 12.8 m
흘수 12 m
수중배수량 15,900 t
동력 방식 원자력
기관 롤스로이스 PWR2 가압수형 원자로 × 1기
제너럴 일렉트릭 터빈 × 2기[1]
알런 터보 발전기 × 2기[2]
팍스만 디젤 발전기 × 2기[3]
추진 펌프제트 1축 프로펠러 추진
최고 속력 25노트 (약 46.3km/h) 이상
승조원 135명
소나 체계 Thales Type 2054
예인식 Type 2046
함수 탑재 Type 2043
레이더 항법용 I-밴드식 Type 1007
지휘체계 BAE 시스템스 SMCS
잠망경 CK51
CH91
무장 SLBM 트라이던트 II D5 × 16발
어뢰 533mm 발사관 × 4문
스피어피쉬 중어뢰

3. 상세

파일:뱅가드급 2.jpg

미국제 폴라리스 A3 SLBM을 탑재한 레졸루션급의 후계형으로 1980년부터 도입계획이 진행되었다. 1992년 선거를 앞두고 보수당은 뱅가드급 4척의 건조를 추진했고 노동당은 이를 축소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처음에는 3척을 주장했고, 이후 2척[4]으로 정정했으며, 당시 건조중이었던 1척에 대해서도 취소를 주장하였다. 하지만 선거에서 보수당이 승리하여 존 메이저 총리가 재선하자 뱅가드급은 보수당의 예정대로 4척이 건조되었다.

1번함 뱅가드는 1993년에 진수 및 운용을 개시했다. 곧이어 1994년에 미사일 발사 실험을 성공적으로 마쳤고, 1995년부터 전략초계에 투입되었다. 그리고 1999년 4번함을 마지막으로 예정된 함이 전부 취역하였다.

처음부터 UGM-133 Trident II 미사일을 수용할 수 있는 핵추진 탄도 미사일 잠수함으로 설계되어 미사일 격실은 UGM-133 Trident II가 장착된 미국 오하이오 급과 동일하다. 이러한 요구 사항으로 Vanguard 급 설계는 이전 Polaris가 장착된 Resolution 급보다 훨씬 더 커졌으며 거의 ​​16,000톤에 달하는 영국 해군 잠수함 중 가장 큰 잠수함이 되었다.

뱅가드급은 오하이오급과 같은 12.8m의 내압 선체를 가지고 있으나 , SLBM을 16발만 탑재하므로 전체 크기는 24발을 적재할 수 있는 오하이오급에 비해 작다. 잠항타는 함수에 설치되었으며, 전체적 형태는 영국 잠수함의 고유한 형태인 고래형 선체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외부에 음향흡수타일을 장착하는 등의 노력을 통해 높은 정숙성을 보유하고 있다. 그리고 승무원을 두 팀으로 편성하여 항상 1척 이상이 전략초계에 운용되고 있다.

원자로아스튜트급을 위하여 롤스로이스사가 독자 개발한 PWR2 1기와 GEC사의 스팀터빈 2기를 구성되고, 보조용으로 2기의 추진모터를 탑재한다. 추진기는 트라팔가급 공격원잠에서 성능이 실증된 펌프제트를 사용한다. PWR 2는 이전 모델보다 수명이 두 배 더 길어졌으며 이는 재급유 없이 세계를 40번이나 일주할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장기 정밀 수리 기간 동안 각 함에 'Core H' 원자로가 장착되어 모든 잠수함이 남은 수명 동안 추가 연료 재급유가 필요하지 않도록 했다.

보조 전력은 WH Allen(나중에 NEI Allen, Allen Power & Rolls-Royce로 알려짐)이 공급하는 한 쌍의 6MW 증기 터빈 발전기와 백업 전원 공급을 위한 두 개의 905kWb Paxman 디젤 발전기에 의해 제공된다.

SLBM은 처음에 트라이던트 Ⅰ을 도입할 예정이었지만, 미국에서 개량형 트라이던트 Ⅱ가 실용화되었기 때문에 계획이 변경되었다. 사정거리 12,000km의 트라이던트 Ⅱ는 오하이오급에 탑재된 것과 동일한 미사일이지만, 탄두는 자국제[5]로 100kt 6발을 장착한 MIRV형이다. 또한 함수에는 533mm 어뢰발사관 4문을 보유하고, 고성능 스피어피쉬 어뢰를 운용하여 충분한 자위능력을 보유하고 있다.

뱅가드급 전략원잠의 금고에는 영국 총리의 친필이 담긴 편지가 보관되어 있다. 이것은 본토의 사령부와 2주 이상 연락이 두절되거나, 국가 기간 방송 BBC Radio 4가 갑자기 중단될 시, 영국이 핵공격을 당해 총리가 사망했거나, 사령부가 궤멸당했다고 판단, 이때 함장 이하의 장교들이 함내에 있는 2개의 금고를 열어, 그곳에 보관된 총리의 친필 편지에 쓰인 지시를 이행하는 형식이다. 이전 총리들의 지시 중 현재까지 알려진 옵션은 총리가 지정한 목표에 핵탄두를 장착한 SLBM을 발사하는 작전, 영국 본토에서 핵미사일을 발사하는 작전, 미국의 도움을 받는 옵션, 그리고 보복하지 않는 옵션 등이 있다.

모항은 스코틀랜드 서부 파스레인(Faslane)에 위치한 HMNB(His/Her Majesty's Naval Base) 클라이드(Clyde)이다.[6] 그래서 2014년 9월 치러진 스코틀랜드 분리독립 투표로 인해 난처한 상황을 겪을 수도 있었다. 모항이 위치한 스코틀랜드가 독립하면 잠수함기지를 영국이 온전히 관할할 수 없게되며, 특히 스코틀랜드 독립파에서는 독립이 결정되면 비핵화를 추진하려고 했다. 그렇게 된다면 영국은 새로운 해군기지를 지어야 하지만 뱅가드급을 수용할만한 인프라를 다시 구축하는데 20년 정도는 걸린다. 그래서 뱅가드급 운용에 큰 차질이 생길 수도 있었지만 다행히 투표로 분리독립이 부결되면서 기우에 그쳤다.

4. 동형함 목록

함번 함명 기공 진수 취역 퇴역
S28 뱅가드 (Vanguard) 1986년 9월 3일 1992년 3월 4일 1993년 8월 14일
S29 빅토리어스 (Victorious) 1987년 12월 3일 1993년 9월 29일 1995년 1월 7일
S30 비질런트 (Vigilant) 1991년 2월 16일 1995년 10월 14일 1996년 11월 2일
S31 벤전스 (Vengeance) 1993년 2월 1일 1998년 9월 19일 1999년 11월 27일

5. 대체 사업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드레드노트급 잠수함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빠르면 2028년, 2030년대에 퇴역할 예정이기 때문에 대체 사업이 진행중이다. 이미 2006년 12월 4일 토니 블레어 총리는 뱅가드 급을 대체할 차세대 탄도미사일 잠수함에 최대 200억 파운드를 투자할 계획을 밝혔었다. 비용을 절감하고 비확산 조약에 대한 영국의 의지를 보여주기 위해 블레어 총리는 잠수함 수를 4개에서 3개로 줄이고 핵탄두의 수를 20% 줄여 160개로 줄일 것을 제안했다.

기존에는 석세서 프로그램이라 불렸으나, 2016년 10월 21일에 공식적으로 "드레드노트급 잠수함"이라는 이름을 받았다.
현재의 Trident II 미사일을 유지하고 새로운 'PWR3' 원자로와 영국 해군의 Astute 급 원자력 함대 잠수함을 위해 개발된 기술을 통합할 것이다.

6. 대중매체에서의 등장

7. 기타

김종대1996년 한국 서해안에서 뱅가드급이 좌초했다고 주장하고 있다. 물론 진지하게 받아들이기는 어렵다. 뱅가드급은 1996년에는 세 번째 함이 진수식을 가진 상태로, 몇 척 없는 귀중한 전략자산을 멀리떨어진 서해까지 굳이 보낼 이유가 없다. 더군다나 김종대는 주장의 근거를 전혀 제시하지 못하고 있으며, 자기가 다른 곳에서 그 얘기를 들었고 남아있는 기록은 없다는 말 뿐이다. 심지어 이 정도의 대형사고라면 영국에서도 비중있게 다뤘겠지만 이와 관련된 이야기는 하나도 나온 적 없다.

2009년 2월 초순에 뱅가드가 프랑스의 전략 원자력 잠수함인 르 트리옹팡과 충돌하는 사고가 일어났다. 관련기사

8. 관련 문서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53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53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27,500 shp (20.5 MW)[2] 6 MW[3] 2,700 shp (2 MW)[4] SSBN은 특성상 최소 3척은 있어야 1척씩 작전, 훈련, 수리/보급을 수행할 수 있다는 의견이 많다.[5] 하지만 미국의 탄두 설계를 그대로 가져와 만들었기 때문에 미제와 큰 차이는 없다.[6] 이전부터 영국 유일의 SSBN 기지로 기능해왔던 곳으로 현재도 계속 가동 중인 영국 본토의 해군기지 세 군데 중 한 곳이다. 나머지는 영국해협에 접한 서유럽 최대 해군기지인 플리머스 인근의 데본포트와 포츠머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