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05 20:48:00

버추어 파이터 5: 얼티밋 쇼다운


버추어 파이터 시리즈
버추어 파이터 버추어 파이터 2 버추어 파이터 3
버추어 파이터 4 버추어 파이터 5
(얼티밋 쇼다운 / R.E.V.O)
New VIRTUA FIGHTER Project(가제)
버추어 파이터 5: 얼티밋 쇼다운 / R.E.V.O
Virtua Fighter 5: Ultimate Showdown / R.E.V.O
Virtua Fighter esports
파일:logo-vf5.png
<colbgcolor=#676264><colcolor=white> 개발 용과 같이 스튜디오, 세가 AM2
유통 세가
플랫폼 PlayStation 4 | 아케이드 | Microsoft Windows
ESD PlayStation Network | ALL.Net P-ras MULTI 3(ALLS) | Steam
장르 대전 격투 게임
출시 PS4
2021년 6월 1일
Arcade
2021년 6월 2일
STEAM
2025년 1월 28일
엔진 드래곤 엔진[1]
한국어 지원 자막 지원
심의 등급
파일:게관위_평가용.svg 평가용
파일:게관위_등급분류거부.svg 등급 분류 거부
심의 예정(한국)
심의 없음(한국)
##
파일:ESRB Everyone.svg ESRB E
파일:ESRB Everyone 10+.svg ESRB E10+
파일:ESRB Teen.svg ESRB T
파일:ESRB Mature.svg ESRB M
파일:ESRB Adults Only.svg ESRB AO
파일:ESRB Rating Pending.svg ESRB RP
##
파일:CERO A.svg CERO A
파일:CERO B.svg CERO B
파일:CERO C.svg CERO C
파일:CERO D.svg CERO D
파일:CERO Z.svg CERO Z
##
파일:EOCS 전연령.gif EOCS 전연령
파일:EOCS E12.gif EOCS E12
파일:EOCS E15.gif EOCS E15
파일:EOCS 18금.gif EOCS 18금
##
파일:PEGI 3.svg PEGI 3
파일:PEGI 7.svg PEGI 7
파일:PEGI 12.svg PEGI 12
파일:PEGI 16.svg PEGI 16
파일:PEGI 18.svg PEGI 18
##
파일:USK 0 로고.svg USK 0
파일:USK 6 로고.svg USK 6
파일:USK 12 로고.svg USK 12
파일:USK 16 로고.svg USK 16
파일:USK 18 로고.svg USK 18
##
파일:ACB General.svg ACB G
파일:ACB Parental Guidance.svg ACB PG
파일:ACB Mature.svg ACB M
파일:ACB Mature Accompanied.svg ACB MA15+
파일:ACB Restricted(R18+).svg ACB R18+
파일:ACB Refused Classification.svg ACB RC
##
파일:GSRR G 로고.svg GSRR G
파일:GSRR P 로고.svg GSRR P
파일:GSRR PG 12 로고.svg GSRR PG 12
파일:GSRR PG 15 로고.svg GSRR PG 15
파일:GSRR R 로고.svg GSRR R
##
파일:CADPA-8+.png CADPA 8+
파일:CADPA-12+.png CADPA 12+
파일:CADPA-16+.svg CADPA 16+
관련 사이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플레이스테이션 스토어 아이콘.svg
1. 개요2. 특징3. 출전 캐릭터4. PC(Steam)판
4.1. 시스템 요구 사항
5. 평가6. 기타

[clearfix]

1. 개요

2021년 5월 27일 정식 발표된 세가의 대전 액션 게임 버추어 파이터 5 파이널 쇼다운리마스터작. 용과 같이 6부터 사용되었던 드래곤 엔진의 그래픽으로 일신한 것이 특징이다. 일본 내수용 명칭은 버추어 파이터 esports. 5월 27일 진행된 버추어 파이터×esports 프로젝트 정식 발표 방송을 통해서 공식 발표되었으며, 가정용으로는 2021년 6월 1일, 아케이드용으로는 6월 2일에 발매한다.

오락실 인터넷은 세가의 ALL.Net을 사용하며 Aime, BANA PASSPORT, 코나미 e-amusement pass, 타이토 NESiCA 등(Aime를 제외한 카드는 Amusement IC 지원 4세대 최신 발매 카드만 대응) IC 카드도 사용 가능하다.

발표와 동시에 바로 다음달인 2021년 6월 PS Plus 무료 게임으로 발표되었다. 무료 배포 기간은 2021년 8월 2일까지이며, PS Now로는 서비스 종료 시까지 계속 제공. 다만 DLC 팩은 무료로 제공되지 않아 별도로 구매해야 한다.

유료 판매는 단품으로는 판매하지 않고 DLC팩과 합본으로만 판매하며, 정가는 한국 기준 32,400원, 일본은 3,300엔이다.

2025년 1월 28일 발매된 PC(Steam) Virtua Fighter 5 R.E.V.O 는 아래 내용 참조. 이와 때를 같이 해 기존 아케이드판과 PS4판은 2.0으로 버전업된다. PC판 역시 2.0의 변경 사항이 적용되어 출시된다.

2. 특징

3. 출전 캐릭터

[[버추어 파이터 5: 얼티밋 쇼다운|
파일:logo-vf5.png
버추어 파이터 5: 얼티밋 쇼다운
]]
[ 캐릭터 펼치기 · 접기 ]
파일:vchara01.png
파일:vchara02.png
파일:vchara03.png
파일:vchara04.png
파일:vchara05.png
파일:vchara06.png
파일:vchara07.png
파일:vchara08.png
파일:vchara09.png
파일:vchara10.png
파일:vchara11.png
파일:vchara12.png
파일:vchara13.png
파일:vchara14.png
파일:vchara15.png
파일:vchara16.png
파일:vchara17.png
파일:vchara18.png
파일:vchara19.png
파일:vchara20.png

4. PC(Steam)판

파일:VF5 REVO.png
공식 제목은 "버추어 파이터 5: R.E.V.O"

버추어 파이터 2 이후 무려 28년만에 출시된 PC판으로, Steam 출시일은 2025년 1월 28일이다.

버추어 파이터 5 얼티밋 쇼다운 2.0 버전을 기반이므로, 롤백 넷코드, 4K 그래픽 지원, 신기술 추가 및 캐릭터 밸런스 조정 등이 더해졌다. 기존의 밸런스 조정 담당자가 퇴사한지 오래라 다시 채용해 작업했다고 한다.
그래서 기존의 얼티밋 쇼다운(PS4판)과의 크로스 플레이도 불가능 하다. 왜냐하면 PS4판은 스펙상 롤백 넷코드를 실장하기 어려워 롤백 넷코드를 지원하지 않기 때문이다.#1

그외 추가적으로 변경된 점은 아직 없는 수준이다.
게임 볼륨이 작은 것은 여전해서, DLC를 사야만 본격적인 캐릭터 코스튬이 가능하다.[4] 애초 멀티 대전에 초점을 맞춘 작품이라 싱글플레이 역시 아케이드 하나 뿐인데 타임 기록 순위도 없고, 부가적인 리플레이 저장/관전 기능 역시 추가하지도 않았다. 이미 여러 버추어 파이터 포럼에서는 REVO를 신작 개발을 위한 테스트용으로 출시한 것이라 보는 시각이 많다.

그럼에도 오랜만에 PC판으로 버추어파이터를 즐길 수 있다는 점에 큰 의미를 두고 있다.

가격은 PC판 발매일 기준 원작이 19년된 작품이고 얼티밋 쇼다운 PC버전으로 봐도 무방한 수준이라 2만원대로 내려서 판매 중이다. 물론 DLC 코스튬을 위한 업그레이드판을 구매하면 4~5만원대로 올라간다. DLC로 용과 같이철권 7 컬래버레이션 팩도 판매중.#2

4.1. 시스템 요구 사항

5. 평가


||<:><-3><table align=center><table width=500><table bgcolor=#fff,#1c1d1f><table bordercolor=#333,#555><#333>
기준일:
2024-08-14
파일:메타크리틱 로고.svg
'''[[https://www.metacritic.com/game/virtua-fighter-5-ultimate-showdown/critic-reviews/| 메타스코어 {{{#!wiki style="display:inline-block"]]''''''[[https://www.metacritic.com/game/virtua-fighter-5-ultimate-showdown/user-reviews/| 유저 평점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상세 내용

기준일:
2024-08-14
파일:오픈크리틱 로고.svg
파일:오픈크리틱 strong-man.png 평론가 평점
78 / 100
평론가 추천도
79%
유저 평점
XX / 100


오랜만에 발매되는 버추어 파이터 시리즈 최신작이라서 발매 전부터 격투 게임 팬들 사이에서 상당한 화제를 모았으나, 10년전 작품의 리마스터 격이라는 것을 감안해도 상당히 아쉬운 작품이라는 평이 많다.

파이널 쇼다운에서 있었던 라이선스 챌린지[5], 스페셜 스파링 모드[6] 등의 모드가 삭제되었으며, 싱글 컨텐츠는 아케이드 모드 하나 뿐이다. 제목부터 e스포츠를 내세우며 싱글 컨텐츠보다 유저들간의 대전에 집중한 작품인데다 가격도 저렴한만큼 싱글 컨텐츠가 적을 것이라는 사실은 발매전부터 예상이 가능했으나, 정작 가장 중요한 온라인 대전조차 넷코드 품질이 좋지 않다. 유저 풀 문제로 타국 유저들과의 매칭이 많은 일본 외 국가 유저들한테는 특히 치명적인 문제. Steam 버전 R.E.V.O 출시와 함께 롤백 넷코드가 채용되어 어느정도 해결되었다.

또한 새로운 엔진으로 개발하며 모델링을 일신했기 때문인지, 캐릭터 커스터마이징도 파이널 쇼다운에 비해 볼륨이 상당히 줄어들었다. 커스터마이징 아이템의 숫자가 적은 것은 그나마 DLC로 추가 아이템이나 용과 같이 시리즈, 철권 시리즈 등과의 콜라보 스킨이 추후에 발매되었기 때문에 개선의 여지가 있지만, 단순히 아이템의 숫자가 적은 것뿐이 아니라 꾸밀수 있는 부분이 제한되었거나 같이 쓸 수 있는 파츠가 정해져 있는 등 커스텀의 자유도 자체도 많이 낮아졌기 때문에 한계가 명확하다.

튜토리얼도 상당히 불친절한데, 기본적인 조작이나 시스템만 가볍게 설명하는 정도로 끝나기 때문에 버파 시리즈에 처음 입문하는 유저라면 따로 인터넷에서 검색하지 않는 이상 시리즈 특유의 공방이나, 저스트 낙법, 스턴 회복, 유효 연계, 유효 콤보 등의 고급 정보를 얻기 어렵다.

무엇보다 인터뷰 등을 통해 캐릭터 추가나 밸런스 조정 등의 게임의 큰 틀을 바꾸는 업데이트는 되도록 자제할 것임이라 밝혔기 때문에, 버그 수정이나 전술한 콜라보 스킨 등의 사소한 업데이트를 제외하면 게임 콘텐츠 자체의 큰 변화를 기대할 수 없어서 장기적으로 유저를 붙잡아들만한 요소가 상당히 부족하다. 실제로 발매 후 1년도 안되는 시점에서 이미 오랫동안 신작에 목말라있던 골수 버파 유저들만 울며겨자먹기로 붙잡고 있는 실정인데, 이조차도 게임 엔진의 차이 등으로 발생하는 파이널 쇼다운과의 사소한 차이나 조작감 등을 이유로 구작을 선호하는 유저도 있기 때문에 한국서버에서는 매칭에 어려움이 발생하는 수준으로 주로 일본계정을 통해 일본서버에서 플레이하고 있다.

6. 기타

캐릭터 스킨 BGM
유키 아키라 키류 카즈마 Rolling Eyes Fall Down the Dragon Wall(용과 같이 7)
파이 첸 무코다 사에코 Yokohama Crackhouse(용과 같이 7)
라우 첸 다테 마코토 Flirt with Bomb(용과 같이: 극)
울프 호크필드 사에지마 타이가 Hailstorm(용과 같이 5)
제프리 맥와일드 아다치 코이치 Asphodelos(용과 같이 7)
카게마루 한준기 Theory of Beauty(용과 같이 6)
사라 브라이언트 고로미(마지마 고로) Receive and Slash You(용과 같이 5)
재키 브라이언트 아키야마 슌 Affected Fight(용과 같이 5)
순제 난바 유우 Survival Can Collecting(용과 같이 7)
리온 라팔 마지마 고로 Receive You the Hyperactive(용과 같이 7)
우메노코지 아오이 사야마 카오루 Outlaw's Lullaby(용과 같이 2)
레이페이 쵸우 티안유 Enter the Tiger(용과 같이 7)
바네사 루이스 선희 Answer from Geomijul(용과 같이 7)
브래드 번즈 카스가 이치반 Ascension Point(용과 같이 7)
히노가미 고 고다 류지 Bad Fortune Flower(용과 같이 2)
엘 블레이즈 미네 요시타카 Fly(용과 같이 3)
아이린 사와무라 하루카 Loneliness Loop(용과 같이 5)
타카 아라시 삼도천 꽃장수 KAMURO Again(용과 같이 6)
장 쿠조 니시키야마 아키라 For Buddy(용과 같이 제로)
듀랄 없음 ???

[1] 용과 같이 스튜디오에서 개발한 게임 엔진으로 용과 같이 6부터 사용되었다. 용과 같이 시리즈 외에 사용된 게임은 본작이 최초다.[2] 다만, 사용할 Aime 카드와 홈페이지의 신청서, 기존에 사용했던 카드를 세가 본사에 우편으로 우송해야 한다. 기존에 사용했던 VF5FS 카드는 요청하면 다시 돌려받을 수 있다.[3] 일본 국외 유저에 대한 참가 제한 등은 적혀있지 않다.[4] 기본적으로 코스튬 할 수 있는 아이템 자체가 전무하다.[5] 일종의 챌린지 모드 같은 조건부 대련이다. 예를 들면 "가드를 5번 성공해라!" 미션 등...[6] 아케이드 시절 버파 5에 있었던 녹다운 트라이얼 모드와 비슷하다. 철권 시리즈로 얘기하자면 고스트 모드.[7] 본작 발매 소식이 있기 전에는 300엔 안팎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