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9-03 08:07:37

베누아 아수에코토

베누아 아수-에코토에서 넘어옴
카메룬의 前 축구선수
파일:benoit-assou-ekotto.jpg
<colbgcolor=#eeeeee,#191919> 이름 브누아 아수에코토
Benoît Assou-Ekotto
본명 브누아 피에르 다비드 아수에코토
Benoît Pierre David Assou-Ekotto
출생 1984년 3월 24일 ([age(1984-03-24)]세)
프랑스 아라스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카메룬|{{{#!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카메룬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카메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신체 178cm
직업 축구 선수 (레프트백 / 은퇴)
소속 선수 RC 랑스 (1994~2004 / 유스)
RC 랑스 (2004~2006)
토트넘 홋스퍼 FC (2006~2015)
퀸즈 파크 레인저스 (2013~2014 / 임대)
AS 생테티엔 (2015~2016)
FC 메스 (2016~2018)
국가대표 23경기 (카메룬 / 2009~2014)

1. 개요2. 클럽 경력3. 국가대표 경력4. 플레이 스타일5. 여담6. 기록
6.1. 클럽 기록6.2. 우승 기록

1. 개요

카메룬의 前 축구 선수.

2. 클럽 경력

2.1. RC 랑스

랑스 유스 출신으로, 10살에 유스팀에 입단했다. 오랜기간 팀에서 성장과정을 밟아왔고, 마침내 2003-04 시즌 PSG와의 리그 경기를 통해 1군 선수로 데뷔했다. 첫 시즌에는 3경기 출전에 그쳤고, 두번째 시즌부터 주전 레프트백으로 낙점받으며 리그 29경기에 나섰다. 그리고 다음 시즌에는 리그에서 뿐만 아니라 유럽 대항전 경기도 소화하며 바쁘게 시즌을 보냈고 리그 앙에서 촉망받는 레프트백으로 거듭나기에 이른다.

2.2. 토트넘 홋스퍼 FC

파일:tottenham-hotspur-fc-v-fc-basel-1893-uefa-europa-league-quarter-final-first-leg-1024x688.jpg
204경기 4골 10도움

2006년 여름 토트넘 홋스퍼로 이적했으며, 이영표와 같은 포지션에서 경쟁하던 사이. 2006-07 시즌 초반 전시즌 주전 레프트백인 이영표를 밀어냈지만 공수 균형이 잡히지 못해 수비적으로 아쉬움을 노출해 후반기엔 백업으로 밀려났으며 2007-08 시즌에는 이영표와 경쟁하는 중에 가레스 베일이 영입되어 확고한 주전 자리를 차지하진 못했다.

이후 이영표가 후안데 라모스 감독의 구상에서 배제되어 떠난 2008-09 시즌부터 주전으로 도약했고, 2009-10 시즌 중반 가레스 베일이 풀백에서 윙어로 포지션을 정착하면서 확고한 주전 레프트백이 되어 꾸준히 토트넘에서 활약해왔다. 주전으로 자리잡은 뒤에는 입단 초와는 달리 수비 능력이 꽤 상승했다.

2010-11 시즌에는 리그와 컵 대회 포함 45경기에 출전하며 여전히 붙박이 주전으로 뛰었다.

그리고 2011-12시즌은 토트넘에서 가장 좋은 활약을 보였던 시절이었다. 2012년 1월 11일 에버튼전에서 1골과 1도움을 기록했으며, 2월 11일 뉴캐슬과의 홈 경기에서는 선제골을 넣으며 5:0 대승을 기여했다.

2011-12 시즌에는 40경기 2골 5도움을 기록했다.

2012-13 시즌 WBA와의 홈 경기에서 환상적인 슛팅으로 득점을했지만 팀은 무승부에 그쳤으며 노리치시티전 이후 무릎 부상을 당하면서 점차 하락세를 타기 시작해 2013-14 시즌엔 챔피언십의 퀸즈 파크 레인저스로 임대를 갔고, 임대 복귀 이후로는 팀에서 자리를 완전히 잃은 채 출전하지 못하다가 2015년 2월 상호 계약 해지로 토트넘에서 방출되었다.

2.3. 이후

2015-16 시즌 AS 생테티엔으로 이적해서 유로파 리그에도 4경기 출장하는 활약을 보였고, 다음 시즌에는 FC 메스로 이적하게 되었다.

그리고 2018년, 현역 은퇴를 선언했다.

3. 국가대표 경력

2009년부터 카메룬 국가대표로 출전하였고, 2010년 남아공 월드컵2014년 브라질 월드컵에도 출전했는데 브라질 월드컵에서는 조별리그 2차전인 크로아티아전에서 동료인 뱅자맹 무칸조에게 말싸움을 하다가 박치기까지 하는 정신나간 행동으로 물의를 빚었으며 그 때문이었는지 마지막 조별리그 3차전인 브라질전에서는 아예 출전하지도 못했다.

4. 플레이 스타일

공수양면으로 역동적인 모습을 보여줬던 사이드백으로, 특히 풀백임에도 공격 상황에서의 저돌적인 면모 덕분에 리그앙에서 차세대 레프트백으로 주목받았다. 아프리카 출신답게 신체 능력과 운동 능력이 매우 좋아서, 이를 이용한 좌측면에서의 돌파나 크로스 시 파괴력이 상당했다. 빠른 속도에 탄력이 붙은 드리블로 상대를 제치거나, 뛰어난 파워의 크로스를 통해 박스 안에서 동료 공격수에게 기회를 창출해주는 플레이도 곧잘 시도했다. 다만, 공격 전개 상황에서 시야나 판단이 투박해서 간혹 폼이 안 좋은 날에는 공격 상황에서의 드리블이나 크로스가 끊기는 경우도 잦았다.

과거, 토트넘 입단 초에는 수비적인 측면에서 하자를 보였지만, 경험이 쌓인 이후로는 수비적인 면에서도 완숙한 모습을 보였다. 특히, 공격에서 수비, 수비에서 공격으로 전환되는 공수 전환 상황에서 아수에코토의 뛰어난 체력이 빛을 발하였다.

5. 여담

6. 기록

6.1. 클럽 기록

시즌 클럽 소속 리그 리그 국내 컵 대회 유럽 클럽 대항전 기타[2] 총계
경기 득점 도움 경기 득점 도움 경기 득점 도움 경기 득점 도움 경기 득점 도움
03/04 RC 랑스 리그 1 3 0 0 0 0 0 0 0 0 - 3 0 0
04/05 29 0 0 4 0 0 0 0 0 - 33 0 0
05/06 34 0 3 1 0 0 14 0 1 - 49 0 4
시즌 클럽 소속 리그 리그 국내 컵 대회 유럽 클럽 대항전 기타 총계
경기 득점 도움 경기 득점 도움 경기 득점 도움 경기 득점 도움 경기 득점 도움
06/07 토트넘 홋스퍼 프리미어 리그 16 0 1 4 0 1 5 0 0 - 25 0 2
07/08 1 0 0 0 0 0 1 0 0 - 2 0 0
08/09 29 0 1 5 0 1 2 0 0 - 36 0 2
09/10 30 1 2 4 0 0 0 0 0 - 34 1 2
10/11 30 0 0 3 0 0 12 0 0 - 45 0 0
11/12 34 2 4 3 0 0 3 0 0 - 40 2 4
12/13 15 1 0 2 0 0 5 0 0 - 22 1 0
합계 프리미어 리그 155 4 8 21 0 2 28 0 0 - 204 4 10
시즌 클럽 소속 리그 리그 국내 컵 대회 유럽 클럽 대항전 기타 총계
경기 득점 도움 경기 득점 도움 경기 득점 도움 경기 득점 도움 경기 득점 도움
13/14 QPR 챔피언십 리그 31 0 2 1 0 0 0 0 0 - 32 0 2
시즌 클럽 소속 리그 리그 국내 컵 대회 유럽 클럽 대항전 기타 총계
경기 득점 도움 경기 득점 도움 경기 득점 도움 경기 득점 도움 경기 득점 도움
15/16 AS 생테티엔 리그 1 20 0 0 1 0 0 7 0 0 - 28 0 0
시즌 클럽 소속 리그 리그 국내 컵 대회 유럽 클럽 대항전 기타 총계
경기 득점 도움 경기 득점 도움 경기 득점 도움 경기 득점 도움 경기 득점 도움
16/17 FC 메스 리그 1 18 0 1 2 0 0 0 0 0 - 20 0 1
합계 리그 1 104 0 4 8 0 0 21 0 1 - 133 0 5
통산 290 4 14 30 0 2 49 0 1 - 369 4 17

6.2. 우승 기록


[1] 이 정도로 축구에 애정도 열정도 없는데 생테티엔이나 토트넘 같은 명문 구단에서 뛰면서 국가대표로 월드컵 무대까지 밟을 정도면 재능이 어마어마한 것으로 보인다. 축구에 대한 열정이 어마어마하면서도 국대는 고사하고 유럽 명문 구단 근처에도 못 가보는 선수들이 전세계에 넘쳐나는 것을 생각해보면...[2] 각 리그의 슈퍼컵, FIFA 클럽 월드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