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04 17:14:13

보얀트 오하 국제공항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2021년 7월 개항한 신공항에 대한 내용은 칭기즈 칸 국제공항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보얀트 오하 국제공항
Буянт-Ухаа олон улсын нисэх буудал
ᠪᠤᠶᠠᠨᠲᠤ ᠬᠤᠸᠠ ᠣᠯᠠᠨ ᠤᠯᠤᠰ ᠦᠨ ᠨᠢᠰᠬᠦ ᠪᠠᠭᠤᠳᠠᠯ
Buyant-Ukhaa International Airport
파일:attachment/ZMUB1.jpg
IATA: ULN / ICAO: ZMUB
개요
국가
[[몽골|]][[틀:국기|]][[틀:국기|]]
위치 몽골 울란바토르
종류 국내공항
소유 민간
운영 몽골 민간항공청
운영시간 24시
개항 1957년 2월 19일
고도 1300m (4364 ft)
좌표 북위 47도 50분 35초
동경 106도 25 분 59초
활주로
1활주로 14/32 (3100m × 45m)[1]
2활주로 15/33 (2005m) [2]??? ]
웹사이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지도

1. 개요2. 상세3. 운항노선
3.1. 국내선
4.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몽골의 수도 울란바토르에 위치한 공항으로 본래 이름은 칭기즈 칸 국제공항이었으며, 이름대로 국제선 카운터에는 역대 몽골 제국 칸들의 초상화가 벽화로 그려져 있다. 2021년 7월 4일자로 신 울란바토르 국제공항 (New Ulaanbaatar International Airport, NUBIA)이 개항하며 이름을 이어받았고, 기존의 이 공항은 보얀트 오하 국제공항으로 명칭이 바뀌었다. #

2. 상세

1957년에 개항했으며, 미아트 몽골항공훈누에어, 에어로 몽골리아가 허브로 삼고 있다. 과거 국제선 이력을 보고 싶으면 칭기즈 칸 국제공항 문서로 가면 된다. 현재는 2활주로도 폐쇄 후 국내선만 운항 중.

3. 운항노선

해당 공항에서는 국내선만 운행하며 국제선은 신공항인 칭기즈 칸 국제공항에서 운행한다. #

국내선은 몽골인들이 거주하는 내몽골자치구부랴티아 등의 다른 몽골 지역으로 가는 노선도 많다. 다만 2020년부터 코로나19 확산으로 항공 수요가 위축되어 2022년 현재는 부정기 항공편만 다니는 신세이다.

3.1. 국내선

몽골 국내선은 몽골의 주요 교통수단이다. 도로 인프라가 열악하고, 땅이 넓은 데다가 인구가 없다시피한 빈땅이라 비행기가 없으면 이동이 안 된다. 울란바토르 말고는 한국식 고속도로는 커녕 제대로 된 도로조차 찾기 힘들다.
항공사 편명 취항지
미아트 몽골항공 OM 오유 톨고이
훈누에어 MR 알타이, 바잉헝거르, 처이발상, 달란자드가드, 허브드, 무릉, 오보트, 타반 톨고이
아에로 몽골리아 M0 알타이, 바잉헝거르, 처이발상, 달란자드가드, 오보트, 을기, 오유 톨고이, 타반 톨고이, 올랑검

4. 관련 문서



[1] ILS유무 - 있음 활주로 재질 - 아스팔트[2] ILS유무 - 없음 활주로 재질 - 자갈(grav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