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4-22 10:47:26

보헤미아와 헝가리의 언너

<colbgcolor=#D3DBF7><colcolor=#000> 독일왕 페르디난트 1세의 왕비
보헤미아와 헝가리의 언너
Jagelló Anna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Hans_Maler_-_Queen_Anne_of_Hungary_and_Bohemia_-_WGA13895.jpg
이름 헝가리어 야기엘로 언너
(Jagelló Anna)
체코어 안나 야겔론스카
(Anna Jagellonská)
크로아티아어 아나 야겔로비치
(Ana Jagelović)
독일어 아나 야기엘로
(Anna Jagiello)
출생 1503년 7월 23일
헝가리 왕국 부더
사망 1547년 1월 27일 (향년 43세)
보헤미아 왕국 프라하
배우자 페르디난트 1세 (1521년 결혼)
자녀 엘리자베트, 막시밀리안 2세, 아나, 페르디난트 2세, 마리아, 막달레나, 카타리나, 엘레오노라, 마르가레타, 바르바라, 카를 2세, 헬레나, 요하나
아버지 울라슬로 2세
어머니 푸아켄달의 안
형제 러요시 2세
종교 가톨릭
1. 개요2. 생애
2.1. 어린 시절2.2. 결혼2.3. 사망
3. 가족관계
3.1. 조상3.2. 자녀
4. 기타

[clearfix]

1. 개요

보헤미아와 헝가리-크로아티아의 왕이었던 울라슬로 2세와 켄달 백작 가스통 드 푸아의 딸이자 울라슬로 2세의 세 번째 아내인 푸아켄달의 안 사이에서 태어난 장녀로, 신성 로마 제국의 황제 페르디난트 1세의 아내이다. 남동생 러요시 2세모하치 전투에서 사망한 이후 보헤미아 왕국, 헝가리 왕국, 크로아티아 왕국의 상속녀가 되었다.[1] 남편이 황제로 즉위하기 이전 사망했기에 공식적으로 황후는 아니였고, 독일왕비이자 보헤미아 왕국의 왕비, 헝가리 왕국의 왕비, 크로아티아 왕국의 왕비였다.

2. 생애

2.1. 어린 시절

1503년 7월 23일 헝가리 왕국 부더에서 태어났다. 태어날 당시 언너는 울라슬로 2세의 늦은 외동딸이었고, 그녀의 탄생은 상속자가 될 수 있는 남자아이를 기대하였던 이들을 실망시키긴 했으나 그럼에도 기쁜 소식이었다. 어머니 푸아캉달의 안은 미숙아로 태어난 남동생 러요시 2세를 낳다가 사망하였고, 아버지인 울라슬로 2세 역시 언너가 13살일 때 사망하게 되자 이후 막시밀리안 1세의 손녀 마리아와 함께 막시밀리안 1세의 보살핌 아래 인스브루크에서 성장하였다.

2.2. 결혼

언너의 약혼에 대한 논의는 1506년부터 시작되었지만, 실제로 약혼이 성사된 것은 1515년이었다. 빈 이중 결혼식에서 남동생인 러요시는 막시밀리안 1세의 손녀인 마리아와 약혼했고, 언너는 막시밀리안 1세의 손자 중 한 명과 약혼하게 되었지만 이때까지 카를 5세페르디난트 1세 중 어느 쪽과 결혼하게 될 것인지는 확정되지 않았기에 막시밀리안 1세가 대리 결혼을 맡았다.[2]

이후 무효가 된 잉글랜드와의 혼사와는 별개로, 스페인에 정착할 생각이었던 카를이 언너와의 약혼을 오스트리아를 다스리게 될 남동생 페르디난트와 성사시키면서 결과적으로 페르디난트와 린츠에서 결혼했다. 언너는 유망한 상속자인 카를과 결혼하지 못하자 실망했지만, 결혼 생활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개인적으로나 정치적으로나 합스부르크 가문에서 가장 행복했던 결혼으로 평가받을 정도로 행복했다. 부부는 서로에게 충실했으며 언너는 대부분의 여정에서 페르디난트와 동행했을 정도로 신임받았다.

언너는 라틴어, 체코어, 헝가리어, 독일어를 구사할 수 있었고 자수와 사냥 실력 역시 뛰어났으며, 신앙심과 자선 활동, 지혜로 명망이 높았다.[3] 결혼 4년차까지 자녀가 없어 주변의 우려를 받기도 했지만, 장녀 엘리자베트를 시작으로 언너는 무려 4남 11녀에 달하는 많은 자식을 낳았다. 자녀들 또한 유아 사망율이 높았던 당시에 드물게도 2명을 제외하고는 모두 유아기를 지나서까지 성장했다. 또한 당시로는 이례적이게도 부부가 개인적으로 자녀를 돌보았다.

2.3. 사망

마지막 자녀인 요하나를 낳고 나서 며칠 되지 않아 산욕열로 사망하였다. 페르디난트 1세는 그녀의 죽음 이후 재혼을 거부했고, 수염을 깎지 않았으며, 애도를 표하는 검은 상복을 입은 채로 지냈다.[4] 이후 사망한 페르디난트 1세의 시신은 언너의 시신과 함께 프라하성의 성 비타 대성당에 묻혔다.[5]

3. 가족관계

3.1. 조상

본인 부모 조부모 증조부모
보헤미아헝가리의 언너
(Anna of Bohemia and Hungary)
<colbgcolor=#fff3e4,#331c00> 울라슬로 2세
(Vladislaus II)
<colbgcolor=#ffffe4,#323300> 카지미에시 4세
(Casimir IV)
브와디스와프 2세
(Vladislaus II)
조피아 홀샨스카
(Sophia of Halshany)
오스트리아의 엘리자베트
(Elisabeth of Austria)
알브레히트 2세
(Albrecht II)
룩셈부르크의 엘리자베트[6]
(Elizabeth of Luxembourg)
푸아켄달의 안
(Ann of Foix-Candale)
켄달 백작 푸아의 가스통
(Gaston of Foix)
켄달 백작 푸아의 장
(Jean of Foix)
마르그리트 커데스턴
(Margaret Kerdeston)
푸아의 카트린
(Catherine of Foix)
푸아 백작 가스통 4세
(Gaston IV of Foix)
나바라의 레오노르[7]
(Leonor of Navarre)

3.2. 자녀

자녀 이름 출생 사망 배우자 / 자녀
1녀 폴란드의 왕비 엘리자베트
(Elizabeth, Queen of Poland)
1526년 7월 9일 1545년 6월 15일 지그문트 2세 아우구스트
1남 막시밀리안 2세
(Maximilian II)
1527년 7월 31일 1576년 10월 12일 오스트리아의 마리아[8]
슬하 6남 3녀[9]
2녀 바이에른 공작부인 안나
(Anna, Duchess of Bavaria)
1528년 7월 7일 1590년 10월 16일 바이에른 공작 알브레히트 5세
슬하 5남 2녀
2남 외지오스트리아 대공 페르디난트 2세
(Ferdinand II, Archduke of Further Austria)
1529년 6월 14일 1595년 1월 24일 필리피네 벨저[10]
슬하 2남
안나 율리아나 곤차가[11]
슬하 3녀[12]
3녀 율리히클레페베르크 공작부인 마리아
(Maria, Duchess of Jülich-Cleves-Berg)
1531년 5월 15일 1581년 12월 11일 율리히클레페베르크 공작 빌헬름[13]
슬하 2남 4녀
4녀 마그달레나 여대공
(Archduchess Magdalena)
1532년 8월 14일 1590년 9월 10일
5녀 폴란드의 왕비 카타리나
(Catherine, Queen of Poland)
1533년 9월 15일 1572년 2월 28일 만토바 공작 프란체스코 3세
지그문트 2세 아우구스트
6녀 만토바 공작부인 엘레오노라
(Eleonore, Duchess of Mantua)
1534년 11월 2일 1594년 8월 5일 만토바 공작 굴리엘모 1세
슬하 1남 2녀
7녀 마르가레테 여대공
(Archduchess Margaret)
1536년 2월 16일 1567년 3월 12일
3남 요한 대공
(Archduke Johann)
1538년 4월 10일 1539년 3월 20일
8녀 페라라 공작부인 바르바라
(Barbara, Duchess of Ferrara)
1539년 4월 30일 1572년 9월 19일 페라라 공작 알폰소 2세
4남 내지오스트리아 대공 카를 2세
(Karl II, Archduke of Inner Austria)
1540년 6월 3일 1590년 7월 10일 바이에른의 마리아 안나[14]
슬하 4남 8녀[15]
9녀 우르술라 여대공
(Archduchess Ursula)
1541년 7월 24일 1543년 4월 30일
10녀 헬레나 여대공
(Archduchess Helena)
1543년 1월 7일 1574년 3월 5일
11녀 토스카나 대공비 요하나
(Johanna, Grand Duchess of Tuscany)
1547년 1월 24일 1578년 4월 11일 토스카나 대공 프란체스코 1세 데 메디치
슬하 1남 3녀[16]

4. 기타


[1] 엄밀히 따지면 페르디난트 1세는 귀족 선거에 따라 각각의 왕으로 추대된 것이나, 혈연관계가 강력한 근거로 제시되었기에 상속녀라고 할 수 있다.[2] 당시 카를은 잉글랜드 왕국과 혼담이 오가고 있었고, 페르디난트는 외할아버지인 아라곤 왕국 국왕 페르난도 2세와 함께 스페인에서 양육되고 있었기 때문이다.[3] 특히 체코인에게 인기가 좋았다.[4] 페르디난트 1세는 언너의 사후 언너의 사촌이자 폴란드의 상속녀인 안나 야기엘론카와 혼담이 오가기도 했지만 본인이 재혼을 거절했다.[5] 나중에는 장남 막시밀리안 2세의 시신도 함께 묻혔다.[6] 지기스문트의 딸이다.[7] 추안 2세수리아 1세의 딸이다.[8] 카를 5세의 장녀로 막시밀리안과는 친사촌간이다.[9] 스페인의 왕비 안나, 루돌프 2세, 프랑스의 왕비 엘리자베트, 마티아스[10] 귀천상혼[11] 페르디난트 1세의 외손녀다.[12] 신성 로마 제국의 황후 안나 등[13] 클레페의 앤의 남동생이다.[14] 페르디난트 1세의 외손녀다.[15] 폴란드스웨덴의 왕비 안나, 페르디난트 2세, 스페인의 왕비 마르가리타, 폴란드의 왕비 콘스탄챠 등[16] 프랑스와 나바라의 왕비 마리[17] 가장 가까운 촌수로 따지면 추안 2세를 기준으로 이복 7촌인데, 언너는 추안 2세의 첫 번째 부인 수리아 1세의 후손이고 페르디난트 1세는 두 번째 부인 후아나 엔리케스의 후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