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 <tablebordercolor=#FF0000,#8B0000><tablealign=center><table width=310> | }}} | |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 <colbgcolor=#FF0000,#1f2023><colcolor=#fff,#FF0000> 구룡, 홍산, 옥산, 충화, 내산, 외산 | ||
은산, 장평, 청남, 정산 | |||
장암, 임천, 세도, 충화, 남면, 홍산, 강경 | |||
아울렛, 문화단지 | |||
부여 | |||
석성, 초촌, 논산 | |||
규암(순환) |
1. 개요
구룡면, 홍산면, 옥산면, 충화면, 내산면, 외산면 방향으로 운행되는 노선들이다.2. 노선 정보
2.1. 홍산면 방면
내산을 경유하는 노선들은 다른 노선에 비해 약 20분이 더 소요되며, 340번대도 부여읍과 홍산면을 연결하지만 100번대보다 소요시간이 더 길다.2.1.1. 100번
| |||||
기점 |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가증리(부여여객) | 종점 | 충청남도 부여군 홍산면 북촌리(홍산정류소) | ||
종점 행 | 첫차 | 평일 16:45 / 휴일 07:10 | 기점 행 | 첫차 | 06:38 |
막차 | 21:30 | 막차 | 21:40 | ||
운수사명 | 부여여객 | 배차간격 | 종점행 평일 4회, 휴일 5회 / 기점행 1일 8회 | ||
노선 | 부여여객 - 대향로로타리 - 부여여고 - 정림사지 - 부여중 - 성요셉병원(부여시외버스터미널) - 부여시장 - 부여경찰서 - 규암농협 - 규암초교 - 백제중 - 합송초교 - 구봉리 - 먹고개 - 구룡삼거리 - 논티 - 조현리 - 좌홍리 - 홍산정류소 |
| |||||
기점 |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가증리(부여여객) | 종점 | 충청남도 부여군 홍산면 북촌리(홍산정류소) | ||
종점 행 | 첫차 | 평일 07:10 | 기점 행 | 첫차 | 미운행 |
막차 | 평일 07:10 | 막차 | 미운행 | ||
운수사명 | 부여여객 | 배차간격 | 종점행 평일 1회 | ||
노선 | 부여여객 → 대향로로타리 → 부여여고 → 정림사지 → 부여중 → 성요셉병원(부여시외버스터미널) → 부여시장 → 부여경찰서 → 규암농협 → 규암초교 → 백제중 → 합송초교 → 구봉리 → 먹고개 → 구룡삼거리 → 논티 → 조현리 → 좌홍리 → 홍산정류소 - 홍양리 - 홍산농공단지 |
부여읍과 홍산면을 연결하는 가장 기본적인 노선이라고 할 수 있다.
부여 7시 10분 출발 차량은 평일에는 100-1번으로, 휴일에는 100번으로 운행하며, 홍산정류소에 종착한 뒤 100번으로 운행한다.
홍산 8시 10분 출발 차량은 서독안경원(시외버스터미널 인근)에 종착한 뒤 604번으로 운행한다.
부여 16시 45분 출발 차량과 19시 50분 출발 차량은 홍산정류소에 종착한 뒤 각각 103번과 341번으로 운행한다.
2024년 8월 기준 / 출처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횟수 | 부여 | 홍산 | ||||||
1 | 07:10 | 06:38 | |||||||
2 | 16:45 | 08:10 | |||||||
3 | 19:50 | 14:05 | |||||||
4 | 21:00 | 14:26 | |||||||
5 | 21:30 | 18:25 | |||||||
6 | - | 18:45 | |||||||
7 | - | 20:45 | |||||||
8 | - | 21:40 |
2.1.2. 101번
| |||||
기점 |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가증리(부여여객) | 종점 | 충청남도 부여군 옥산면 상기리(상기1리) | ||
종점 행 | 첫차 | 10:00 | 기점 행 | 첫차 | 06:55 |
막차 | 20:30 | 막차 | 19:05 | ||
운수사명 | 부여여객 | 배차간격 | 종점행 1일 3회 / 기점행 1일 5회 | ||
노선 | 부여여객 - 대향로로타리 - 부여여고 - 정림사지 - 부여중 - 성요셉병원(부여시외버스터미널) - 부여시장 - 부여경찰서 - 규암농협 - 규암초교 - 백제중 - 합송초교 - 구봉리 - 먹고개 - 구룡삼거리 - 논티 - 조현리 - 좌홍리 - 홍산정류소 - 홍양리 - 수암리 - 옥산 - 목동 - 홍연리 - 학산리 - 상기1리 |
| |||||
기점 |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가증리(부여여객) | 종점 | 충청남도 부여군 옥산면 상기리(상기1리) | ||
종점 행 | 첫차 | 15:58 | 기점 행 | 첫차 | 미운행 |
막차 | 15:58 | 막차 | 미운행 | ||
운수사명 | 부여여객 | 배차간격 | 종점행 1일 1회 | ||
노선 | 부여여객 → 대향로로타리 → 부여여고 → 정림사지 → 부여중 → 성요셉병원(부여시외버스터미널) → 부여시장 → 부여경찰서 → 규암농협 → 규암초교 → 백제중 → 합송초교 → 구봉리 → 먹고개 → 구룡삼거리 → 논티 → 조현리 → 좌홍리 → 홍산정류소 → 가덕리 → 내대리 → 옥산 → 목동 → 홍연리 → 학산리 → 상기1리 |
| |||||
기점 |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가증리(부여여객) | 종점 | 충청남도 부여군 옥산면 상기리(상기1리) | ||
종점 행 | 첫차 | 14:05 | 기점 행 | 첫차 | 미운행 |
막차 | 14:05 | 막차 | 미운행 | ||
운수사명 | 부여여객 | 배차간격 | 종점행 1일 1회 | ||
노선 | 부여여객 → 대향로로타리 → 부여여고 → 정림사지 → 부여중 → 성요셉병원(부여시외버스터미널) → 부여시장 → 부여경찰서 → 규암농협 → 규암초교 → 백제중 → 합송초교 → 구봉리 → 먹고개 → 구룡삼거리 → 논티 → 송수리 → 남면 → 송수리 → 조현리 → 좌홍리 → 홍산정류소 → 홍양리 → 수암리 → 옥산 → 목동 → 홍연리 → 학산리 → 상기1리 |
| |||||
기점 |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가증리(부여여객) | 종점 | 충청남도 부여군 옥산면 상기리(상기1리) | ||
종점 행 | 첫차 | 07:38 | 기점 행 | 첫차 | 09:15 |
막차 | 07:38 | 막차 | 09:15 | ||
운수사명 | 부여여객 | 배차간격 | 1일 1회 | ||
노선 | 부여여객 - 대향로로타리 - 부여여고 - 정림사지 - 부여중 - 성요셉병원(부여시외버스터미널) - 부여시장 - 부여경찰서 - 규암농협 - 규암초교 - 백제중 - 합송초교 - 구봉리 - 먹고개 - 구룡삼거리 - (→ 만자 → 내산 → 밤고개 → 천보리 → 무정리 →/← 논티 ← 송수리 ← 남면 ← 송수리 ← 조현리 ← 좌홍리 ←) - 홍산정류소 - 홍양리 - 수암리 - 옥산 - (→ 신안리 → 봉산리 → 용연마을 →/← 목동 ←)''' - 홍연리 - 학산리 - 상기1리 |
| |||||
기점 |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가증리(부여여객) | 종점 | 충청남도 부여군 홍산면 북촌리(홍산정류소) | ||
종점 행 | 첫차 | 11:50 | 기점 행 | 첫차 | 미운행 |
막차 | 11:50 | 막차 | 미운행 | ||
운수사명 | 부여여객 | 배차간격 | 종점행 1일 1회 | ||
노선 | 부여여객 → 대향로로타리 → 부여여고 → 정림사지 → 부여중 → 성요셉병원(부여시외버스터미널) → 부여시장 → 부여경찰서 → 규암농협 → 규암초교 → 백제중 → 합송초교 → 구봉리 → 먹고개 → 구룡삼거리 → 논티 → 조현리 → 좌홍리 → 홍산정류소 - 홍양리 - 수암리 - 옥산 - (→ 신안리 → 봉산리 → 용연마을 →/← 목동 ←) - 홍연리 - 학산리 - 상기1리 |
2015년 7월 28일부터 봉곡마을에도 들어간다. 부여군 보도자료
홍산면과 옥산면을 경유하여 상기리까지 운행하는 노선이다.
101-4번은 상기리를 경유하여 홍산정류소에 종착한 뒤 106번으로 운행한다.
2024년 8월 기준 / 출처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1 | - | - | 101 | 06:55 | ||||
2 | 101-3 | 07:38 | 101-3 | 09:15 | |||||
3 | 101 | 10:00 | 101 | 11:15 | |||||
4 | 101-4 | 11:50 | 106 | 13:15 | |||||
5 | 101-2 | 14:05 | 101 | 15:30 | |||||
6 | 101-1 | 15:58 | 101 | 17:15 | |||||
7 | 101 | 18:00 | 101 | 19:05 | |||||
8 | 101 | 20:30 | - | - |
2.1.3. 104번
| |||||
기점 |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가증리(부여여객) | 종점 | 충청남도 부여군 홍산면 북촌리(홍산정류소) | ||
종점 행 | 첫차 | 06:38 | 기점 행 | 첫차 | 미운행 |
막차 | 12:50 | 막차 | 미운행 | ||
운수사명 | 부여여객 | 배차간격 | 종점행 1일 2회 | ||
노선 | 부여여객 → 대향로로타리 → 부여여고 → 정림사지 → 부여중 → 성요셉병원(부여시외버스터미널) → 부여시장 → 부여경찰서 → 규암농협 → 규암초교 → 백제중 → 합송초교 → 구봉리 → 먹고개 → 구룡삼거리 → 논티 → 조현리 → 좌홍리 → 홍산정류소 → 홍양리 → 수암리 → 옥산 → 내대리 → 가덕리 → 홍산정류소 |
홍산면을 경유하여 옥산면 일대를 순환하는 노선이다.
홍산정류소에 종착한 뒤 첫차는 106-1번으로, 막차는 100번으로 운행한다.
2.1.4. 105번
|
| |||||
기점 |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가증리(부여여객) | 종점 | 충청남도 부여군 충화면 천당리(충화) | ||
종점 행 | 첫차 | 08:00 | 기점 행 | 첫차 | 09:00 |
막차 | 18:57 | 막차 | 19:50 | ||
운수사명 | 부여여객 | 배차간격 | 1일 4회 | ||
노선 | 부여여객 - 대향로로타리 - 부여여고 - 정림사지 - 부여중 - 성요셉병원(부여시외버스터미널) - 부여시장 - 부여경찰서 - 규암농협 - 규암초교 - 백제중 - 합송초교 - 구봉리 - 먹고개 - 구룡삼거리 - 논티 - 조현리 - 좌홍리 - 홍산정류소 - 가덕삼거리 - 지석리 - 충화초교 - 충화 |
| |||||
기점 |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가증리(부여여객) | 종점 | 충청남도 부여군 충화면 오덕리(오덕리) | ||
종점 행 | 첫차 | 06:10 | 기점 행 | 첫차 | 07:05 |
막차 | 06:10 | 막차 | 07:05 | ||
운수사명 | 부여여객 | 배차간격 | 1일 1회 | ||
노선 | 부여여객 - 대향로로타리 - 부여여고 - 정림사지 - 부여중 - 성요셉병원(부여시외버스터미널) - 부여시장 - 부여경찰서 - 규암농협 - 규암초교 - 백제중 - 합송초교 - 구봉리 - 먹고개 - 구룡삼거리 - 논티 - 조현리 - 좌홍리 - 홍산정류소 - 가덕삼거리 - 지석리 - 충화초교 → 청남리 → 샛뜸부락 → 오덕리 → 가화리 → 현미리 → 충화초교 → 충화 → 이후 역순 |
| |||||
기점 |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가증리(부여여객) | 종점 | 충청남도 부여군 충화면 오덕리(오덕리) | ||
종점 행 | 첫차 | 09:15 | 기점 행 | 첫차 | 10:45 |
막차 | 13:30 | 막차 | 14:55 | ||
운수사명 | 부여여객 | 배차간격 | 1일 2회 | ||
노선 | 부여여객 - 대향로로타리 - 부여여고 - 정림사지 - 부여중 - 성요셉병원(부여시외버스터미널) - 부여시장 - 부여경찰서 - 규암농협 - 규암초교 - 백제중 - 합송초교 - 구봉리 - 먹고개 - 구룡삼거리 - 논티 - 조현리 - 좌홍리 - 홍산정류소 - 가덕삼거리 - 지석리 - 충화초교 → 충화 → 현미리 → 가화리 → 샛뜸부락 → 오덕리 → 청남리 → 충화 → 충화초교 → 이후 역순 |
| |||||
기점 |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가증리(부여여객) | 종점 | 충청남도 부여군 홍산면 북촌리(홍산정류소) | ||
종점 행 | 첫차 | 18:57 | 기점 행 | 첫차 | 미운행 |
막차 | 18:57 | 막차 | 미운행 | ||
운수사명 | 부여여객 | 배차간격 | 종점행 1일 1회 | ||
노선 | 부여여객 → 대향로로타리 → 부여여고 → 정림사지 → 부여중 → 성요셉병원(부여시외버스터미널) → 부여시장 → 부여경찰서 → 규암농협 → 규암초교 → 백제중 → 합송초교 → 구봉리 → 먹고개 → 구룡삼거리 → 논티 → 조현리 → 좌홍리 → 홍산정류소 - 가덕삼거리 - 지석리 - 충화초교 → 충화 → 현미리 → 가화리 → 샛뜸부락 → 오덕리 → 청남리 → 충화 → 충화초교 → 이후 역순 |
105-1번의 경우 첫차만 충화면을 반시계방향(삼성-오덕-가화)으로 순환하며, 나머지 시간대는 시계방향(가화-오덕-삼성)으로 순환한다.
105-2번은 충화면을 경유하여 홍산정류소에 종착한 뒤 106번으로 운행한다.
2024년 8월 기준 / 출처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횟수 | 번호 | 부여 | 번호 | 충화 | ||||
1 | 105-1 | 06:10 | 105 | 07:20 | |||||
2 | 105 | 08:00 | 105 | 09:00 | |||||
3 | 105-1 | 09:15 | 105 | 10:45 | |||||
4 | 105 | 11:20 | 105 | 12:45 | |||||
5 | 105-1 | 13:30 | 105 | 14:55 | |||||
6 | 105 | 15:28 | 105 | 16:30 | |||||
7 | 105-2 | 17:15 | 106 | 18:35 | |||||
8 | 105 | 18:57 | 105 | 19:50 |
2.1.5. 106번
| |
106번 | 106-1번 |
| |||||
기점 |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가증리(부여여객) | 종점 | 충청남도 부여군 홍산면 북촌리(홍산정류소) | ||
종점 행 | 첫차 | 15:45 | 기점 행 | 첫차 | 11:00 |
막차 | 15:45 | 막차 | 18:50 | ||
운수사명 | 부여여객 | 배차간격 | 종점행 1일 1회 / 기점행 1일 4회 | ||
노선 | 부여여객 - 대향로로타리 - 부여여고 - 정림사지 - 부여중 - 성요셉병원(부여시외버스터미널) - 부여시장 - 부여경찰서 - 규암농협 - 규암초교 - 백제중 - 합송초교 - 구봉리 - 먹고개 - 구룡삼거리 - 만자 - 내산 - 밤고개 - 천보리 - 무정리 - 홍산정류소 |
| |||||
기점 |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가증리(부여여객) | 종점 | 충청남도 부여군 홍산면 북촌리(홍산정류소) | ||
종점 행 | 첫차 | 12:28 | 기점 행 | 첫차 | 07:37 |
막차 | 12:28 | 막차 | 07:37 | ||
운수사명 | 부여여객 | 배차간격 | 1일 1회 | ||
노선 | 부여여객 - 대향로로타리 - 부여여고 - 정림사지 - 부여중 - 성요셉병원(부여시외버스터미널) - 부여시장 - 부여경찰서 - 규암농협 - 규암초교 - 백제중 - 합송초교 - 구봉리 - 먹고개 - 구룡삼거리 - 만자 - 내산 - 밤고개 - 묘원리 - 천보리 - 무정리 - 홍산정류소 |
내산면을 경유하여 홍산면까지 운행하는 노선으로, 버스 상단 LED 전광판에 '홍산'이 표출되지 않는다.
부여 12시 28분 출발 차량은 홍산정류소에 종착한 뒤 103번으로 운행하며, 홍산 18시 50분 출발 차량은 홍산에서 무정리로 가는 승객이 있을 때만 무정리를 경유한다.
2024년 8월 기준 / 출처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횟수 | 번호 | 부여 | 번호 | 홍산 | ||||
1 | 106-1 | 12:28 | 106-1 | 07:37 | |||||
2 | 106 | 15:45 | 106 | 11:00 | |||||
3 | - | - | 106 | 13:35 | |||||
4 | - | - | 106 | 16:45 | |||||
5 | - | - | 106 | 18:50 |
2.1.6. 114번
| |||||
기점 |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가증리(부여여객) | 종점 | 충청남도 부여군 옥산면 대덕리(대덕1리) | ||
종점 행 | 첫차 | 10:45 | 기점 행 | 첫차 | 11:55 |
막차 | 10:45 | 막차 | 11:55 | ||
운수사명 | 부여여객 | 배차간격 | 1일 1회 | ||
노선 | 부여여객 - 대향로로타리 - 부여여고 - 정림사지 - 부여중 - 성요셉병원(부여시외버스터미널) - 부여시장 - 부여경찰서 - 규암농협 - 규암초교 - 백제중 - 합송초교 - 구봉리 - 먹고개 - 구룡삼거리 - 논티 - 조현리 - 좌홍리 - 홍산정류소 - (→ 가덕리 → 내대리 →/← 홍양리 ← 수암리 ←) - 옥산 - 신안리 - 대덕1리 |
| |||||
기점 |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가증리(부여여객) | 종점 | 충청남도 부여군 옥산면 대덕리(대덕1리) | ||
종점 행 | 첫차 | 08:40 | 기점 행 | 첫차 | 09:55 |
막차 | 14:45 | 막차 | 16:00 | ||
운수사명 | 부여여객 | 배차간격 | 1일 2회 | ||
노선 | 부여여객 - 대향로로타리 - 부여여고 - 정림사지 - 부여중 - 성요셉병원(부여시외버스터미널) - 부여시장 - 부여경찰서 - 규암농협 - 규암초교 - 백제중 - 합송초교 - 구봉리 - 먹고개 - 구룡삼거리 - 논티 - 조현리 - 좌홍리 - 홍산정류소 - (→ 가덕리 → 내대리 →/← 홍양리 ← 수암리 ←) - 옥산 - 신안리 - (중양리) - 대덕1리 |
홍산면과 옥산면을 경유하여 서천군 경계(대덕리)까지 운행하는 노선으로, 버스 상단 LED 전광판에는 '군계'로 표출된다.
114-2번의 경우 대덕리 출발 첫차와 부여 출발 막차만 중양리를 경유한다.
2.1.7. 121번
| |||||
기점 |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가증리(부여여객) | 종점 | 충청남도 부여군 홍산면 북촌리(홍산정류소) | ||
종점 행 | 첫차 | 17:30 | 기점 행 | 첫차 | 미운행 |
막차 | 17:30 | 막차 | 미운행 | ||
운수사명 | 부여여객 | 배차간격 | 종점행 1일 1회 | ||
노선 | 부여여객 → 대향로로타리 → 부여여고 → 정림사지 → 부여중 → 성요셉병원(부여시외버스터미널) → 부여시장 → 부여경찰서 → 규암농협 → 규암초교 → 백제중 → 합송초교 → 구봉리 → 먹고개 → 구룡삼거리 → 만자 → 내산 → 내산초교 → 숙동 → 주암리 → 내산초교 → 내산 → 밤고개 → 천보리 → 홍산정류소 |
내산면을 경유하여 홍산면까지 운행하는 노선으로, 버스 상단 LED 전광판에 '홍산'이 표출되지 않는다.
2.2. 103번
| |||||
기점 | 충청남도 부여군 홍산면 북촌리(홍산정류소) | 종점 | 충청남도 부여군 외산면 만수리(외산정류소) | ||
종점 행 | 첫차 | 08:20 | 기점 행 | 첫차 | 07:55 |
막차 | 17:35 | 막차 | 18:00 | ||
운수사명 | 부여여객 | 배차간격 | 종점행 1일 3회 / 기점행 1일 4회 | ||
노선 | 홍산정류소 - 상천리 - 산정 - 지티리 - 반교리 - 외산정류소 |
홍산면과 외산면을 연결하는 노선이다.
2024년 8월 기준 / 출처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횟수 | 홍산 | 외산 | ||||||
1 | 08:20 | 07:55 | |||||||
2 | - | 10:30 | |||||||
3 | 13:35 | 14:00 | |||||||
4 | 17:35 | 18:00 |
2.3. 110번
| |||||
기점 |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가증리(부여여객) | 종점 | 충청남도 부여군 은산면 내지리(내지2리) | ||
종점 행 | 첫차 | 10:05 | 기점 행 | 첫차 | 10:50 |
막차 | 16:27 | 막차 | 14:55 | ||
운수사명 | 부여여객 | 배차간격 | 종점행 1일 3회 / 기점행 1일 2회 | ||
노선 | 부여여객 - 대향로로타리 - 부여여고 - 정림사지 - 부여중 - 성요셉병원(부여시외버스터미널) - 부여시장 - 부여경찰서 - 규암농협 - 규암초교 - 백제중 - 합송초교 - 구봉리 - 먹고개 - (구룡삼거리) - 죽절리 - 현암리 - (현암1리) - 내지2리 |
| |||||
기점 |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가증리(부여여객) | 종점 | 충청남도 부여군 은산면 내지리(내지2리) 충청남도 부여군 구룡면 현암리(현암1리) | ||
종점 행 | 첫차 | 18:40 | 기점 행 | 첫차 | 17:20 |
막차 | 18:40 | 막차 | 19:20 | ||
운수사명 | 부여여객 | 배차간격 | 종점행 1일 1회 / 기점행 1일 2회 | ||
노선 | 부여여객 - 대향로로타리 - 부여여고 - 정림사지 - 부여중 - 성요셉병원(부여시외버스터미널) - 부여시장 - 부여경찰서 - 규암농협 - 규암초교 - 백제중 - 합송초교 - 구봉리 - 먹고개 - (→ 구룡삼거리 →) - (현암1리) - (내지2리) |
구룡면을 경유하여 현암리와 내지리까지 운행하는 노선으로, 내지리가 목적지라면 221번과 222번을 이용할 수도 있다.
110번의 경우 내지리 출발 차량들은 내지리나 현암리에서 구룡으로 가는 승객이 있을 때만 구룡을 경유한다.
2024년 8월 기준 / 출처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횟수 | 번호 | 부여 | 경유지 | 번호 | 내지 | 경유지 | ||
1 | 110 | 10:05 | 구룡 | 110 | 10:50 | 현암회관, (구룡) | |||
2 | 110 | 14:15 | 구룡, 현암회관 | 110 | 15:03 | (구룡) | |||
3 | 110 | 16:27 | 구룡, 현암회관 | 110-1 | 17:20 | - | |||
4 | 110-1 | 18:40 | 구룡 | 110-1 | | 현암회관 출발 |
2.4. 112번
|
| |||||
기점 |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가증리(부여여객) | 종점 | 충청남도 부여군 규암면 용당리(용당4리.부두) | ||
종점 행 | 첫차 | 13:18 | 기점 행 | 첫차 | 06:55 |
막차 | 19:35 | 막차 | 20:10 | ||
운수사명 | 부여여객 | 배차간격 | 종점행 1일 4회 / 기점행 1일 7회 | ||
노선 | 부여여객 - 대향로로타리 - 부여여고 - 정림사지 - 부여중 - 성요셉병원(부여시외버스터미널) - 부여시장 - 부여경찰서 - 규암농협 - 규암초교 - 백제중 - 합송초교 - 구봉리 - 먹고개 - (구룡삼거리 - 논티 - 동방리 - 용당초교) - 용당4리.부두 |
| |||||
기점 |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가증리(부여여객) | 종점 | 충청남도 부여군 규암면 용당리(용당4리.부두) | ||
종점 행 | 첫차 | 06:20 | 기점 행 | 첫차 | 미운행 |
막차 | 07:50 | 막차 | 미운행 | ||
운수사명 | 부여여객 | 배차간격 | 종점행 1일 2회 | ||
노선 | 부여여객 → 대향로로타리 → 부여여고 → 정림사지 → 부여중 → 성요셉병원(부여시외버스터미널) → 부여시장 → 부여경찰서 → 규암농협 → 규암초교 → 백제중 → 합송초교 → 구봉리 → 먹고개 → 용당4리.부두 |
| |||||
기점 |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가증리(부여여객) | 종점 | 충청남도 부여군 규암면 용당리(용당4리.부두) | ||
종점 행 | 첫차 | 10:58 | 기점 행 | 첫차 | 미운행 |
막차 | 10:58 | 막차 | 미운행 | ||
운수사명 | 부여여객 | 배차간격 | 종점행 1일 1회 | ||
노선 | 부여여객 → 대향로로타리 → 부여여고 → 정림사지 → 부여중 → 성요셉병원(부여시외버스터미널) → 부여시장 → 부여경찰서 → 규암농협 → 규암초교 → 백제중 → 합송초교 → 구봉리 → 먹고개 → 구룡삼거리 → 용당4리.부두 |
구룡면 일대를 순환하는 노선이다.
부여두리 6시 55분 출발 차량은 서독안경원에 종착한 뒤 603번으로, 부여두리 8시 45분 출발 차량은 서독안경원에 종착한 뒤 507번으로 운행한다.
부여두리 20시 10분 출발 차량은 용당리나 부여두리에서 읍내로 가는 승객이 없으면 차고지까지 공차회송한다.
2024년 8월 기준 / 출처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횟수 | 번호 | 부여 | 경유지 | 번호 | 부두 | 경유지 | ||
1 | 112-1 | 06:20 | - | 112 | 06:55 | 용당, 구룡 | |||
2 | 112-1 | 07:50 | - | 112 | 08:45 | 용당, 구룡 | |||
3 | 112-2 | 10:58 | - | 112 | 11:43 | 용당, 구룡 | |||
4 | 112 | 13:18 | 구룡, 용당 | 112 | 14:15 | 구룡 | |||
5 | 112 | 15:00 | 구룡, 용당 | 112 | 16:00 | 구룡 | |||
6 | 112 | 17:45 | 구룡, 용당 | 112 | 18:30 | - | |||
7 | 112 | 19:35 | 구룡, 용당 | 112 | | - |
2.5. 외산면 방면
2.5.1. 120~123번
| |||||
기점 |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가증리(부여여객) | 종점 | 충청남도 부여군 외산면 만수리(외산정류소) | ||
종점 행 | 첫차 | 06:05 | 기점 행 | 첫차 | 06:40 |
막차 | 20:10 | 막차 | 21:00 | ||
운수사명 | 부여여객 | 배차간격 | 1일 4회 | ||
노선 | 부여여객 - 대향로로타리 - 부여여고 - 정림사지 - 부여중 - 성요셉병원(부여시외버스터미널) - 부여시장 - 부여경찰서 - 규암농협 - 규암초교 - 백제중 - 합송초교 - 구봉리 - 먹고개 - 구룡삼거리 - 만자 - 내산 - 내산초교 - 저동리 - 지티리 - 반교리 - 외산정류소 |
| |||||
기점 |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가증리(부여여객) | 종점 | 충청남도 부여군 외산면 화성리(화성3리) | ||
종점 행 | 첫차 | 미운행 | 기점 행 | 첫차 | 08:40 |
막차 | 미운행 | 막차 | 08:40 | ||
운수사명 | 부여여객 | 배차간격 | 기점행 1일 1회 | ||
노선 | 부여여객 ← 대향로로타리 ← 부여여고 ← 정림사지 ← 부여중 ← 성요셉병원(부여시외버스터미널) ← 부여시장 ← 부여경찰서 ← 규암농협 ← 규암초교 ← 백제중 ← 합송초교 ← 구봉리 ← 먹고개 ← 구룡삼거리 ← 만자 ← 내산 ← 내산초교 ← 저동리 ← 온해리 ← 지티리 ← 반교리 ← 외산정류소 ← 외산초교 ← 복덕리 ← 화암 ← 화성3리 |
| |||||
기점 |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가증리(부여여객) | 종점 | 충청남도 부여군 외산면 만수리(외산정류소) | ||
종점 행 | 첫차 | 07:00 | 기점 행 | 첫차 | 미운행 |
막차 | 07:00 | 막차 | 미운행 | ||
운수사명 | 부여여객 | 배차간격 | 종점행 1일 1회 | ||
노선 | 부여여객 → 대향로로타리 → 부여여고 → 정림사지 → 부여중 → 성요셉병원(부여시외버스터미널) → 부여시장 → 부여경찰서 → 규암농협 → 규암초교 → 백제중 → 합송초교 → 구봉리 → 먹고개 → 구룡삼거리 → 만자 → 내산 → 내산초교 → 저동리 → 지티리 → 갈산리 → 반교리 → 외산정류소 |
| |||||
기점 |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가증리(부여여객) | 종점 | 충청남도 부여군 외산면 만수리(외산정류소) | ||
종점 행 | 첫차 | 미운행 | 기점 행 | 첫차 | 07:05 |
막차 | 미운행 | 막차 | 07:05 | ||
운수사명 | 부여여객 | 배차간격 | 기점행 1일 1회 | ||
노선 | 부여여객 ← 대향로로타리 ← 부여여고 ← 정림사지 ← 부여중 ← 성요셉병원(부여시외버스터미널) ← 부여시장 ← 부여경찰서 ← 규암농협 ← 규암초교 ← 백제중 ← 합송초교 ← 구봉리 ← 먹고개 ← 구룡삼거리 ← 만자 ← 내산 ← 내산초교 ← 숙동 ← 주암리 ← 저동리 ← 마전리 ← 지티리 ← 반교리 ← 외산정류소 |
| |||||
기점 |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가증리(부여여객) | 종점 | 충청남도 부여군 외산면 만수리(외산정류소) | ||
종점 행 | 첫차 | 미운행 | 기점 행 | 첫차 | 08:45 |
막차 | 미운행 | 막차 | 17:05 | ||
운수사명 | 부여여객 | 배차간격 | 기점행 1일 3회 | ||
노선 | 부여여객 ← 대향로로타리 ← 부여여고 ← 정림사지 ← 부여중 ← 성요셉병원(부여시외버스터미널) ← 부여시장 ← 부여경찰서 ← 규암농협 ← 규암초교 ← 백제중 ← 합송초교 ← 구봉리 ← 먹고개 ← 구룡삼거리 ← 만자 ← 내산 ← 내산초교 ← 저동리 ← 금지리 ← 지티리 ← 반교리 ← 외산정류소 |
| |||||
기점 |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가증리(부여여객) | 종점 | 충청남도 부여군 외산면 만수리(외산정류소) 충청남도 부여군 외산면 화성리(화성3리) | ||
종점 행 | 첫차 | 09:00 | 기점 행 | 첫차 | 11:55 |
막차 | 09:00 | 막차 | 16:15 | ||
운수사명 | 부여여객 | 배차간격 | 종점행 1일 1회 / 기점행 1일 2회 | ||
노선 | 부여여객 - 대향로로타리 - 부여여고 - 정림사지 - 부여중 - 성요셉병원(부여시외버스터미널) - 부여시장 - 부여경찰서 - 규암농협 - 규암초교 - 백제중 - 합송초교 - 구봉리 - 먹고개 - 구룡삼거리 - 만자 - 내산 - 내산초교 - 저동리 - 지티리 - 가덕리 - 반교리 - 외산정류소 (← 외산초교 ← 화성3리) |
| |||||
기점 |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가증리(부여여객) | 종점 | 충청남도 부여군 외산면 만수리(외산정류소) | ||
종점 행 | 첫차 | 14:30 | 기점 행 | 첫차 | 미운행 |
막차 | 14:30 | 막차 | 미운행 | ||
운수사명 | 부여여객 | 배차간격 | 종점행 1일 1회 | ||
노선 | 부여여객 → 대향로로타리 → 부여여고 → 정림사지 → 부여중 → 성요셉병원(부여시외버스터미널) → 부여시장 → 부여경찰서 → 규암농협 → 규암초교 → 백제중 → 합송초교 → 구봉리 → 먹고개 → 구룡삼거리 → 만자 → 내산 → 내산초교 → 저동리 → 온해리 → 지티리 → 갈산리 → 가덕리 → 반교리 → 외산정류소 |
내산면을 경유하여 외산면까지 운행하는 노선들로, 120-1번과 123번 기점행 첫차는 화성3리가 종점이므로 아래 125번 시간표를 참고할 것.
부여 7시 출발 차량과 9시 33분 출발 차량은 외산정류소에 종착한 뒤 103번으로 운행한다.
외산 6시 40분 출발 차량은 대향로로타리에 종착한 뒤 403번으로 운행하며, 부여 9시 33분 출발 차량은 대향로로타리에서 출발한다.
2024년 8월 기준 / 출처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횟수 | 번호 | 부여 | 번호 | 외산 | ||||
1 | 120 | 06:05 | 120 | 06:40 | |||||
2 | 120-2 | 07:00 | 121 | 07:05 | |||||
3 | 123 | 09:00 | 122 | 08:45 | |||||
4 | 120 | 09:33 | 120 | 10:03 | |||||
5 | 123-1 | 14:30 | 122 | 14:30 | |||||
6 | 120 | 19:20 | 123 | 16:15 | |||||
7 | 120 | 20:10 | 122 | 17:05 | |||||
8 | - | - | 120 | 20:10 | |||||
9 | - | - | 120 | 21:00 |
2.5.2. 124번
| |||||
기점 |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가증리(부여여객) | 종점 | 충청남도 부여군 외산면 문신리(문신2리) | ||
종점 행 | 첫차 | 16:17 | 기점 행 | 첫차 | 07:40 |
막차 | 16:17 | 막차 | 07:40 | ||
운수사명 | 부여여객 | 배차간격 | 1일 1회 | ||
노선 | 부여여객 - 대향로로타리 - 부여여고 - 정림사지 - 부여중 - 성요셉병원(부여시외버스터미널) - 부여시장 - 부여경찰서 - 규암농협 - 규암초교 - 백제중 - 합송초교 - 구봉리 - 먹고개 - 구룡삼거리 - 만자 - 내산 - 내산초교 - 저동리 - 지티리 - 반교리 - 외산정류소 - 외산초교 - (← 복덕리 ←) - 옥산정류소 - 삼산리 - (← 지선리 ←) - 비암리 - 무술 - 문신2리 |
| |||||
기점 |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가증리(부여여객) | 종점 | 충청남도 부여군 외산면 문신리(문신2리) | ||
종점 행 | 첫차 | 06:27 | 기점 행 | 첫차 | 미운행 |
막차 | 06:27 | 막차 | 미운행 | ||
운수사명 | 부여여객 | 배차간격 | 종점행 1일 1회 | ||
노선 | 부여여객 → 대향로로타리 → 부여여고 → 정림사지 → 부여중 → 성요셉병원(부여시외버스터미널) → 부여시장 → 부여경찰서 → 규암농협 → 규암초교 → 백제중 → 합송초교 → 구봉리 → 먹고개 → 구룡삼거리 → 만자 → 내산 → 내산초교 → 저동리 → 금지리 → 지티리 → 반교리 → 외산정류소 → 외산초교 → 옥산정류소 → 삼산리 → 비암리 → 무술 → 문신2리 |
| |||||
기점 |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가증리(부여여객) | 종점 | 충청남도 부여군 외산면 문신리(문신2리) | ||
종점 행 | 첫차 | 11:40 | 기점 행 | 첫차 | 10:15 |
막차 | 11:40 | 막차 | 13:05 | ||
운수사명 | 부여여객 | 배차간격 | 종점행 1일 1회 / 기점행 1일 3회 | ||
노선 | 부여여객 - 대향로로타리 - 부여여고 - 정림사지 - 부여중 - 성요셉병원(부여시외버스터미널) - 부여시장 - 부여경찰서 - 규암농협 - 규암초교 - 백제중 - 합송초교 - 구봉리 - 먹고개 - 구룡삼거리 - 만자 - 내산 - 내산초교 - 저동리 - 지티리 - 반교리 - 외산정류소 - 외산초교 - 옥산정류소 - 삼산리 - (→ 지선리 →) - 비암리 - 무술 - 문신2리 |
| |||||
기점 |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가증리(부여여객) | 종점 | 충청남도 부여군 외산면 만수리(외산정류소) | ||
종점 행 | 첫차 | 15:10 | 기점 행 | 첫차 | 미운행 |
막차 | 15:10 | 막차 | 미운행 | ||
운수사명 | 부여여객 | 배차간격 | 종점행 1일 1회 | ||
노선 | 부여여객 → 대향로로타리 → 부여여고 → 정림사지 → 부여중 → 성요셉병원(부여시외버스터미널) → 부여시장 → 부여경찰서 → 규암농협 → 규암초교 → 백제중 → 합송초교 → 구봉리 → 먹고개 → 구룡삼거리 → 만자 → 내산 → 내산초교 → 저동리 → 지티리 → 반교리 → 외산정류소 → 외산초교 → 복덕리 → 옥산정류소 → 삼산리 → 지선리 → 삼산리 → 옥산정류소 → 외산초교 → 외산정류소 |
외산면을 경유하여 지선리, 문신리 방면으로 운행하는 노선이다.
124-3번은 지선리를 경유하여 외산정류소에 종착한 뒤 122번으로 운행한다.
2024년 8월 기준 / 출처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횟수 | 번호 | 부여 | 번호 | 문신 | ||||
1 | 124-1 | 06:27 | 124 | 07:40 | |||||
2 | - | - | 124-2 | 10:15 | |||||
3 | 124-2 | 11:40 | 124-2 | 13:05 | |||||
4 | 124-3 | 15:10 | - | 지선리 출발 | |||||
5 | 124 | 16:17 | 124-2 | 17:35 |
2.5.3. 125번
| |||||
기점 |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가증리(부여여객) | 종점 | 충청남도 부여군 외산면 화성리(화성3리) | ||
종점 행 | 첫차 | 07:25 | 기점 행 | 첫차 | 15:05 |
막차 | 07:25 | 막차 | 18:20 | ||
운수사명 | 부여여객 | 배차간격 | 종점행 1일 1회 / 기점행 1일 2회 | ||
노선 | 부여여객 - 대향로로타리 - 부여여고 - 정림사지 - 부여중 - 성요셉병원(부여시외버스터미널) - 부여시장 - 부여경찰서 - 규암농협 - 규암초교 - 백제중 - 합송초교 - 구봉리 - 먹고개 - 구룡삼거리 - 만자 - 내산 - 내산초교 - 저동리 - 지티리 - 반교리 - 외산정류소 - 외산초교 - (→ 마동 →) - 화성3리 |
| |||||
기점 |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가증리(부여여객) | 종점 | 충청남도 부여군 외산면 화성리(화성3리) | ||
종점 행 | 첫차 | 13:45 | 기점 행 | 첫차 | 미운행 |
막차 | 17:00 | 막차 | 미운행 | ||
운수사명 | 부여여객 | 배차간격 | 종점행 1일 2회 | ||
노선 | 부여여객 → 대향로로타리 → 부여여고 → 정림사지 → 부여중 → 성요셉병원(부여시외버스터미널) → 부여시장 → 부여경찰서 → 규암농협 → 규암초교 → 백제중 → 합송초교 → 구봉리 → 먹고개 → 구룡삼거리 → 만자 → 내산 → 내산초교 → 저동리 → 지티리 → 반교리 → 외산정류소 → 외산초교 → 화암 → 마동 → 화성3리 |
| |||||
기점 |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가증리(부여여객) | 종점 | 충청남도 부여군 외산면 화성리(화성3리) | ||
종점 행 | 첫차 | 10:30 | 기점 행 | 첫차 | 미운행 |
막차 | 10:30 | 막차 | 미운행 | ||
운수사명 | 부여여객 | 배차간격 | 종점행 1일 1회 | ||
노선 | 부여여객 → 대향로로타리 → 부여여고 → 정림사지 → 부여중 → 성요셉병원(부여시외버스터미널) → 부여시장 → 부여경찰서 → 규암농협 → 규암초교 → 백제중 → 합송초교 → 구봉리 → 먹고개 → 구룡삼거리 → 만자 → 내산 → 내산초교 → 저동리 → 지티리 → 반교리 → 외산정류소 → 외산초교 → 복덕리 → 화암 → 마동 → 화성3리 |
외산면을 경유하여 화성리까지 운행하는 노선이다.
2024년 8월 기준 / 출처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횟수 | 번호 | 부여 | 번호 | 화성 | ||||
1 | 125 | 07:25 | 120-1 | 08:40 | |||||
2 | 125-2 | 10:30 | 123 | 11:55 | |||||
3 | 125-1 | 13:45 | 125 | 15:05 | |||||
4 | 125-1 | 17:00 | 125 | 18:20 |
2.5.4. 126번
| |||||
기점 |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가증리(부여여객) | 종점 | 충청남도 부여군 외산면 문신리(무술.구신입구) | ||
종점 행 | 첫차 | 18:15 | 기점 행 | 첫차 | 19:25 |
막차 | 18:15 | 막차 | 19:25 | ||
운수사명 | 부여여객 | 배차간격 | 1일 1회 | ||
노선 | 부여여객 - 대향로로타리 - 부여여고 - 정림사지 - 부여중 - 성요셉병원(부여시외버스터미널) - 부여시장 - 부여경찰서 - 규암농협 - 규암초교 - 백제중 - 합송초교 - 구봉리 - 먹고개 - 구룡삼거리 - 만자 - 내산 - 내산초교 - 저동리 - 지티리 - 반교리 - 외산정류소 - 외산초교 - 옥산정류소 - 삼산리 - 비암리 - 무술.구신입구 |
외산면을 경유하여 비암리까지 운행하는 노선이다.
2.5.5. 127번
| |||||
기점 |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가증리(부여여객) | 종점 | 충청남도 부여군 외산면 만수리(외산정류소) | ||
종점 행 | 첫차 | 08:20 | 기점 행 | 첫차 | 미운행 |
막차 | 08:20 | 막차 | 미운행 | ||
운수사명 | 부여여객 | 배차간격 | 종점행 1일 1회 | ||
노선 | 부여여객 → 대향로로타리 → 부여여고 → 정림사지 → 부여중 → 성요셉병원(부여시외버스터미널) → 부여시장 → 부여경찰서 → 규암농협 → 규암초교 → 백제중 → 합송초교 → 구봉리 → 먹고개 → 구룡삼거리 → 만자 → 내산 → 내산초교 → 저동리 → 지티리 → 반교리 → 외산정류소 → 무량마을 → 외산정류소 |
| |||||
기점 |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가증리(부여여객) | 종점 | 충청남도 부여군 외산면 만수리(외산정류소) | ||
종점 행 | 첫차 | 13:00 | 기점 행 | 첫차 | 미운행 |
막차 | 13:00 | 막차 | 미운행 | ||
운수사명 | 부여여객 | 배차간격 | 종점행 1일 1회 | ||
노선 | 부여여객 → 대향로로타리 → 부여여고 → 정림사지 → 부여중 → 성요셉병원(부여시외버스터미널) → 부여시장 → 부여경찰서 → 규암농협 → 규암초교 → 백제중 → 합송초교 → 구봉리 → 먹고개 → 구룡삼거리 → 만자 → 내산 → 내산초교 → 저동리 → 마전리 → 금지리 → 지티리 → 반교리 → 외산정류소 → 무량마을 → 외산정류소 |
외산면을 경유하여 무량사까지 운행하는 노선이다.
외산정류소에 종착한 뒤 127번은 129번으로, 127-1번은 122번으로 운행한다.
2.5.6. 129번
| |||||
기점 | 충청남도 부여군 외산면 만수리 (외산정류소) | 종점 | 충청남도 부여군 외산면 문신리(문신2리) | ||
종점 행 | 첫차 | 09:30 | 기점 행 | 첫차 | 미운행 |
막차 | 09:30 | 막차 | 미운행 | ||
운수사명 | 부여여객 | 배차간격 | 종점행 1일 1회 | ||
노선 | 외산정류소 → 외산초교 → 옥산정류소 → 삼산리 → 비암리 → 무술 → 문신2리 |
외산면을 출발하여 문신리까지 운행하는 노선으로, 문신2리에 종착한 뒤 124-2번으로 운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