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17 20:16:01

붕괴: 스타레일/차분화 우주


#!wiki
||<tablealign=center><width=600><tablebordercolor=#010101,#2d2f34><tablebgcolor=#010101><color=#ffffff,#e0e0e0> [[붕괴: 스타레일|[[파일:붕괴 스타레일 로고.png|width=200]]]] ||
||<bgcolor=#fff,#191919> {{{#!wiki style="margin:0 -10px -5px"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25%; min-height:2em"
{{{#!folding ⠀[ 스토리 ]⠀
{{{#!wiki style="margin: -5px -1px -6px; word-break: keep-all"
||<tablewidth=100%><table bgcolor=#fff,#1c1d1f><colbgcolor=#010101,#010101><colcolor=#ffffff,#e0e0e0><width=100px> '''[[붕괴: 스타레일/스토리|{{{#ffffff 스토리}}}]]''' ||[[붕괴: 스타레일/임무/개척 임무|개척 임무]] {{{-2 ([[붕괴: 스타레일/임무/개척 임무/프롤로그|프롤로그]] · [[붕괴: 스타레일/임무/개척 임무/제1장|1장]] · [[붕괴: 스타레일/임무/개척 임무/제2장|2장]] · [[붕괴: 스타레일/임무/개척 임무/제3장|3장]] · [[붕괴: 스타레일/임무/개척 임무/제4장|4장]])}}} · [[붕괴: 스타레일/임무/동행 임무|동행]] · [[붕괴: 스타레일/임무/모험 임무|모험]] · [[붕괴: 스타레일/이벤트|이벤트]] {{{-2 ([[붕괴: 스타레일/이벤트/1.n 버전|1]] · [[붕괴: 스타레일/이벤트/2.n 버전|2]] · [[붕괴: 스타레일/이벤트/3.n 버전|3]])}}} ||
|| '''[[붕괴: 스타레일/지역|{{{#ffffff 지역}}}]]''' ||[[은하열차]] · [[우주정거장 「헤르타」]] · [[야릴로-Ⅵ]] · [[선주 「나부」]] · [[페나코니]] · [[앰포리어스]] ||
||<|2> '''[[붕괴: 스타레일/설정|{{{#ffffff 설정}}}]]''' ||'''지역별''': [[붕괴: 스타레일/설정/야릴로-Ⅵ|야릴로-Ⅵ]] · [[붕괴: 스타레일/설정/선주 연맹|선주 연맹]] · [[붕괴: 스타레일/설정/페나코니|페나코니]] · [[붕괴: 스타레일/설정/앰포리어스|앰포리어스]] · [[그라모스(붕괴: 스타레일)|그라모스]] ||
||{{{#!wiki style="letter-spacing: -0.5px"
[[에이언즈]] · [[사도(붕괴: 스타레일)|사도]] · [[기계 제왕 전쟁]]· [[곤충 떼 재난]]}}} ||
||<|2> '''[[붕괴: 스타레일/등장인물|{{{#ffffff 등장인물}}}]]''' ||'''지역별''': [[우주정거장 「헤르타」#등장인물|우주정거장 「헤르타」]] · [[붕괴: 스타레일/등장인물/야릴로-Ⅵ|야릴로-Ⅵ]] · [[붕괴: 스타레일/등장인물/선주 「나부」|선주 「나부」]] · [[붕괴: 스타레일/등장인물/페나코니|페나코니]] · [[붕괴: 스타레일/등장인물/앰포리어스|앰포리어스]] ||
||'''[[붕괴: 스타레일/파벌|파벌]]''': [[스텔라론 헌터]] · [[스타피스 컴퍼니]] · [[천궁의 장군]] · [[갤럭시 레인저]] · [[소멸파]] · [[지니어스 클럽]] · [[황금의 후예]]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25%; min-height:2em"
{{{#!folding ⠀[ 게임 플레이 ]⠀
{{{#!wiki style="margin: -5px -1px -6px; word-break: keep-all"
||<|4><tablewidth=100%><table bgcolor=#fff,#1c1d1f><colbgcolor=#010101,#010101><colcolor=#ffffff,#e0e0e0><width=100px> '''[[붕괴: 스타레일/콘텐츠|{{{#ffffff 콘텐츠}}}]]''' ||[[붕괴: 스타레일/캐릭터|캐릭터]] {{{-2 ([[붕괴: 스타레일/캐릭터/운명의 길|운명의 길]])}}} · [[붕괴: 스타레일/적|적]] {{{-2 ([[붕괴: 스타레일/적/열계 창조물|열계 창조물]] · [[붕괴: 스타레일/적/선주 「나부」|선주 「나부」]] · [[붕괴: 스타레일/적/주간 보스|주간 보스]])}}} ||
||[[붕괴: 스타레일/망각의 정원|망각의 정원]] {{{-2 ([[붕괴: 스타레일/혼돈의 기억|혼돈의 기억]])}}} · [[붕괴: 스타레일/허구 이야기|허구 이야기]] · [[붕괴: 스타레일/종말의 환영|종말의 환영]] ||
||[[붕괴: 스타레일/시뮬레이션 우주|시뮬레이션 우주]] - [[붕괴: 스타레일/시뮬레이션 우주/곤충 떼 재난|곤충 떼 재난]] · [[붕괴: 스타레일/시뮬레이션 우주/황금과 기계|황금과 기계]] · [[붕괴: 스타레일/시뮬레이션 우주/인지 불가 영역|인지 불가 영역]] | [[붕괴: 스타레일/시뮬레이션 우주/기물|기물]] · [[붕괴: 스타레일/시뮬레이션 우주/축복|축복]] ||
||[[붕괴: 스타레일/차분화 우주|차분화 우주]] - [[붕괴: 스타레일/차분화 우주/인간 희극|인간 희극]] · [[붕괴: 스타레일/차분화 우주/천의 얼굴을 가진 영웅|천의 얼굴을 가진 영웅]] | [[붕괴: 스타레일/차분화 우주/기물|기물]] ||
|| '''[[붕괴: 스타레일/시스템|{{{#ffffff 시스템}}}]] ''' ||[[붕괴: 스타레일/전투|전투]] · [[붕괴: 스타레일/속성|속성]] · [[붕괴: 스타레일/워프|워프]] {{{-2 ([[붕괴: 스타레일/워프/캐릭터 이벤트 워프|캐릭터]] · [[붕괴: 스타레일/워프/광추 이벤트 워프|광추]])}}} · [[붕괴: 스타레일/무명의 공훈|무명의 공훈]] · [[붕괴: 스타레일/업적|업적]] ||
|| '''아이템''' ||[[붕괴: 스타레일/광추|광추]] {{{-2 ([[붕괴: 스타레일/광추/파멸|파멸]] · [[붕괴: 스타레일/광추/수렵|수렵]] · [[붕괴: 스타레일/광추/지식|지식]] · [[붕괴: 스타레일/광추/화합|화합]] · [[붕괴: 스타레일/광추/공허|공허]] · [[붕괴: 스타레일/광추/보존|보존]] · [[붕괴: 스타레일/광추/풍요|풍요]] · [[붕괴: 스타레일/광추/기억|기억]])}}} · [[붕괴: 스타레일/유물|유물]] · [[붕괴: 스타레일/육성 아이템|육성]] · [[붕괴: 스타레일/소모품|소모품]] · [[붕괴: 스타레일/재료|재료]] · [[붕괴: 스타레일/기타 아이템|기타]]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25%; min-height:2em"
{{{#!folding ⠀[ 기타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tablewidth=100%><table bgcolor=#fff,#1c1d1f><colbgcolor=#010101,#010101><colcolor=#ffffff,#e0e0e0><width=100px> '''미디어 믹스''' ||[[붕괴: 스타레일/OST|OST]] · [[붕괴: 스타레일/애니메이션|애니메이션]] {{{-2 ([[붕괴: 스타레일/별무리 기행|별무리 기행]] · [[붕괴: 스타레일/단편 애니메이션|단편]])}}} · [[호요랜드|가을 축제]] ||
|| '''기타''' ||[[붕괴: 스타레일/업데이트|업데이트]] · [[붕괴: 스타레일/출시 전 정보|출시 전 정보]] · [[붕괴: 스타레일/오마주 및 패러디|오마주 및 패러디]] · [[붕괴: 스타레일/오역|오역]] · [[붕괴: 스타레일/여담|여담]] · [[붕괴: 스타레일/평가|평가]] · [[붕괴: 스타레일/논란 및 사건 사고|논란 및 사건 사고]] ||
|| '''관련 사이트''' ||[[붕괴 스타레일 마이너 갤러리|갤러리]] · [[붕괴 스타레일 채널|채널]] · [[https://www.hoyolab.com/circles/6/42/feed|HoYoLAB]] ||}}}}}}
}}}}}} ||

파일:붕괴 스타레일 로고.png
[[붕괴: 스타레일/시뮬레이션 우주|
시뮬레이션 우주
]]
기물
기물 목록 (확장 장치 전용 · 차분화 우주 전용)
축복
[[붕괴: 스타레일/시뮬레이션 우주/보존|
{{{#!wiki style="border: currentcolor solid 1px;"
]][[붕괴: 스타레일/시뮬레이션 우주/기억|
{{{#!wiki style="border: currentcolor solid 1px;"
]][[붕괴: 스타레일/시뮬레이션 우주/공허|
{{{#!wiki style="border: currentcolor solid 1px;"
]][[붕괴: 스타레일/시뮬레이션 우주/풍요|
{{{#!wiki style="border: currentcolor solid 1px;"
]][[붕괴: 스타레일/시뮬레이션 우주/수렵|
{{{#!wiki style="border: currentcolor solid 1px;"
]][[붕괴: 스타레일/시뮬레이션 우주/파멸|
{{{#!wiki style="border: currentcolor solid 1px;"
]][[붕괴: 스타레일/시뮬레이션 우주/환락|
{{{#!wiki style="border: currentcolor solid 1px;"
]]
[[붕괴: 스타레일/시뮬레이션 우주/번식|
{{{#!wiki style="border: currentcolor solid 1px;"
]][[붕괴: 스타레일/시뮬레이션 우주/지식|
{{{#!wiki style="border: currentcolor solid 1px;"
]]
확장 장치
곤충 떼 재난 · 황금과 기계 · 인지 불가 영역
파생 콘텐츠
차분화 우주 (인간 희극 · 천의 얼굴을 가진 영웅)

1. 개요2. 차원 장신구 추출3. 방정식4. 진행 방식5. 기물6. 업데이트7. 여담

1. 개요

은하탐구생활——「차분화 우주」 스페셜 프로그램
붕괴: 스타레일시뮬레이션 우주 파생 콘텐츠 '차분화 우주'에 대해 서술하는 문서.

시뮬레이션 우주의 다른 확장 장치들과는 다르게 헤르타가 아닌 스크루룸이 주도하여 만들어졌다는 설정이다.[1] 그렇다고 헤르타가 등장하지 않는 것은 아니며, 거래 구역에서 여전히 만나볼 수 있다.

시뮬레이션 우주와 점수를 공유하고 전반적인 시스템 또한 비슷하지만 가이드에서는 구분하여 사실상 별개의 콘텐츠에 가깝다.

2. 차원 장신구 추출

차분화 우주의 차원 장신구 파밍 컨텐츠. 기존 시뮬레이션 우주와 달리 차분화 우주에서는 똑같은 차원 장신구 세트를 이 기능을 통해 바로 얻을 수 있다.

일반 연산에서 저장한 데이터를 불러와 그 기반으로 전투를 진행한다. 차원 장신구 세트마다 할당된 보스들이 다르며, 「과거」,「현재」,「미래」를 제외하고는 모두 기존 시뮬레이션 우주 세계들의 보스들이다. 균형 레벨 최대 기준으로 각 보스는 1~3페이즈 총합 최소 몇 백만에서 최대 1천만의 체력을 가지고 있으므로 저장된 데이터 없이는 클리어하기 매우 어렵다.

반대로 일반 연산에서 매우 좋은 데이터를 저장했다면 1분도 안 되어서 차원 장신구를 빠르게 얻을 수 있으므로 일반 연산을 많이 해두는 것이 중요하다.

3. 방정식

두 가지 종류의 운명의 길 축복을 특정 개수만큼 모아 얻을 수 있는 고성능 특수 버프. 1성부터 3성까지의 등급이 존재하며 등급이 높을수록 더 많은 축복 개수를 요구한다.

방정식을 가지고 있어도 축복이 없으면 버프를 얻을 수 없다. 반대로 축복이 얼마든지 있어도 방정식이 없으면 버프를 얻을 수 없다.

일반적으로 방정식은 시작할 때 1개를 얻으며 이후로는 [보스], [사건], [보상] 구역 등 다양한 경로에서 얻을 수 있다. 하지만 방정식을 많이 얻어도 축복이 부족하면 방정식을 전개할 수 없으므로 적당히 모으고 축복을 많이 얻는 게 훨씬 낫다. 방정식은 그 자체로 버프가 없지만 축복은 그 자체로 버프가 있기 때문. 축복은 [전투], [조우] 외에도 [거래]나 [정비]에서 스크루룸에게 사는 것도 방법이다.

방정식에 필요한 축복은 축복을 고를 때 특정 표식이 새겨져 쉽게 알아볼 수 있다. 또한 축복 덮어쓰기 시에 방정식에 필요한 축복이나 전개된 방정식에 사용되는 축복은 아래로 배치되어 바꾸려고 할 때도 추가 확인 작업을 거친다.

4. 진행 방식

기본 시뮬레이션 우주처럼 한 구역이 끝난 후 다른 구역을 선택하여 진입하는 방식을 취한다.

시작 시「개척」의 축복[2] 대신 특정 운명의 길[3] 축복이 1~3개 포함된 총합 5개의 축복을 랜덤 획득한다. 추가적으로 2성 방정식 또한 3가지 중 선택할 수 있다.

첫 구역은 반드시 [전투]로 고정된다. 영감 회로 중에 최대 4번까지 전투에서 적 체력을 99% 깎고 시작하는 기능이 있어, 반드시 여기서 3번의 기회를 쓰게 된다. 즉시 피해 비술이나 아케론의 비술을 쓰면 시간 단축에 유리하다.

2~3번째 구역은 2~3가지의 선택지 중 골라 진입하게 된다. 주로 [조우]와 [사건], [전투] 구역의 선택지가 흔하지만 [재물], [모험], [보상] 등도 간혹 등장한다.

4번째 구역은 반드시 [보스] 구역이다. 정예 몬스터가 등장하며 처치 시 초과 전환이 시작된다. 초과 전환에서는 상술했듯이 2마리의 정예 몬스터가 등장하며 처치 시의 초과 데이터 포인트에 따라 추가 보상을 획득할 수 있다. 초과 전환에선 아군이 전멸해도 승리 취급되며 게임이 끝나지 않는다. 또한 초과 전환 시작 시 모든 아군이 필살기 에너지 및 전투 스킬 포인트를 최대로 회복한다.

5~8번째 구역은 [보상], [재물], [모험], [사건], [조우], [전투], [우연한 만남], [거래]가 랜덤으로 나타나며 2~3가지 선택지에서 선택하여 진입할 수 있다.

9번째 구역은 반드시 [보스] 구역이다. 주로 정예 몬스터, 프로토콜 수치가 3 이상이면 시뮬레이션 우주의 3세계~9세계 보스 + 「과거」가 등장한다. 물론 초과 전환은 여전히 정예 몬스터 2마리.

10~11번째 구역은 5~8번째와 같이 [보스], [정비]를 제외한 나머지 구역이 등장한다.

12번째 구역은 반드시 [정비] 구역이다. 스크루룸과 창조물 작업대가 존재한다.

13번째 구역은 반드시 [보스] 구역이다. 아젠티, 부연, 「스텔라론 헌터」 샘, 곤충 떼·완전체 칩충, 「과거」,「현재」,「미래」 등이 등장한다.

5. 기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붕괴: 스타레일/차분화 우주/기물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업데이트

6.1. 인간 희극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붕괴: 스타레일/차분화 우주/인간 희극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2. 천의 얼굴을 가진 영웅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붕괴: 스타레일/차분화 우주/천의 얼굴을 가진 영웅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여담

다른 시뮬레이션 우주처럼 완·매 사건이 낮은 확률로 등장한다. 다만 차분화 우주는「완·매 3」사건이 새롭게 생겼으며, 방정식을 여러 개 획득함과 동시에 그 방정식에 필요한 축복도 같이 받게 된다. 1과 2의 효과는 다른 시뮬레이션 우주와 동일하다.

고성능의 기물인 미의 가운, 충치 은하계 모델 기물이 3성 취급되어 [거래] 구역의 헤르타에게 구매할 수 없게 되었다. 헤르타는 1~2성의 기물만 판매하기 때문이다.[4] 이 때문에 우주 조각을 통한 클리어를 노리기가 더욱 어려워졌다.

일부 기물과 축복의 효과가 다른 시뮬레이션 우주와 조금 다르다. 예를 들어 상술한 미의 가운은 우주 조각 100개 당 가하는 피해가 16% 증가하는 기존 효과에 [보스] 구역에 진입할 때마다 우주 조각을 즉시 10% 획득하도록 추가 효과가 생겼다. 작은 폭으로 변경된 기물이나 축복도 있지만, 아예 다른 모습이 된 경우도 꽤나 존재한다.

특이하게도 공명을 일으키는 기물이 존재한다. 루버트 제국 관련 기물 3개[5]를 모으면 해당 3개 기물을 즉시 잃고 루버트 제국 차분기관 기물을 얻는다. 조건이 매우 까다롭지만 [모험] 구역에서 최대 2개의 기물을 얻을 수 있으므로 도전해보고 싶다면 [모험] 구역을 자주 들러보자. 가지고 있는 조각이 넉넉하거나 톱니바퀴가 있다면 조각 조절 겸으로 [거래] 구역을 가는 방법도 있다. 운이 좋다면 헤르타 기물 상점에서 다른 루버트 기물을 얻을 수 있다.

[1] 한 학자도 함께 참여하는데 묘사상 Dr. 레이시오이다.[2] 기존 시뮬레이션 우주에 존재하는 우주 조각, 치트 코드 및 디버프 기물 획득, 기물 획득, 축복 1~3개 획득 등의 보상 중 1개를 택하는 일종의 스타터팩.[3] 3가지 운명의 길 선택지 중 고르게 된다.[4] 대신 1성 기물은 우주 조각 100개, 2성 기물은 180개로 다른 시뮬레이션 우주보다 싸게 구입할 수 있다.[5] 루버트 제국의 톱니바퀴, 루버트 제국 기계 피스톤, 루버트 제국 기계 지렛대. 루버트 제국 기계 피스톤은 가장 나중에 얻는 것이 좋다. 해당 기물은 다른 기물을 없앨 우려가 있기 때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