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A50000, #D62612 20%, #D62612 80%, #A50000); color: #F6DE26;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초대 | 제2대 | 제3대 | 제4대 |
사오 슈웨 타익 | 바 우 | 윈 마웅 | 네 윈 | |
제5대 | 제6대 | 제7대 | 제8대 | |
산 유 | 셩 룬 | 마웅 마웅 | 테인 세인 | |
제9대 | 제10대 | 권한대행 | 권한대행 | |
틴 초 | 윈 민 | 민 슈웨 | 민 아웅 흘라잉 | |
꼰바웅 왕조 미얀마 총리 · 미얀마 최고지도자 |
<colbgcolor=#D62612><colcolor=#F6DE26> | |
| |
출생 | 1895년 10월 16일 |
영국령 버마 샨 주 냐웅슈웨[1] | |
사망 | 1962년 11월 21일(향년 67세) |
버마 랑군 | |
재임기간 | 제1대 대통령 |
1948년 1월 4일 ~ 1952년 3월 16일 | |
배우자 | Sao Nang Yi Sao Nang Sanda Sao Nyunt May Sao Nang Hearn Kham Sao Mya Win |
자녀 | 슬하 1남 1녀 |
학력 | 샨 치프스 스쿨(Shan Chiefs School)[2] |
소속 정당 | 반파시스트 인민자유연맹 |
1. 개요
Sao Shwe Thaikၸဝ်ႈၶမ်းသိူၵ်ႈ
미얀마의 초대 대통령이다.
2. 주요
1895년 영국령 버마 샨 주 나웅슈웨의 샨족 집안에서 태어났다.1차 대전 때 영국군에 입대하여 1923년까지 복무했으며, 1920년부터 1923년까지는 미얀마 북동부 지역 국경 수비대에서 장교로 복무했다. 전역 후인 1929년 샨족 지도자로 선출되었으며, 1939년에는 군에 복귀해 1942년까지 복무했다.
1947년 국가 헌법 초안 위원회 위원, 같은 해 6월 1일 만장일치로 국회의장에 임명되었으며, 1948년 미얀마가 영국으로부터 독립하자 초대 대통령이 되어 1952년까지 집권했다. 대통령에서 물러난 이후에도 1960년까지는 국회의장 겸 국회의원을 역임했다.
1962년 네윈이 쿠데타를 일으킬 당시 그의 늦둥이 어린 아들이 총에 맞아 사망했다. 사오 슈웨 타익 본인도 쿠데타군에게 체포되어 감옥에 구금되었고, 같은 해 11월 옥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