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11 14:42:34

사회성분


{{{#!wiki style="color:black,white;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tablebgcolor=white,black> 출신성분
백두혈통
기본 군중 복잡한 군중 적대계급잔여분자
사회성분
노동계급 군인계급 사무원계급 농민계급
상위 둘러보기 틀로 이동하기
}}}}}}}}} ||

1. 개요2. 분류
2.1. 노동 계급2.2. 군인 계급2.3. 사무원 계급2.4. 농민 계급
3. 참고 링크

1. 개요



북한에서 사용되는 공민에 대한 분류 체계.

흔히 출신성분은 잘 알려져 있지만 사회성분은 일반적인 한국인들에게 생소한 개념이다. 심지어 탈북자와 북한 주민들도 이 개념에 대해선 잘 모르는 경우가 많다. 출신성분은 북한의 수직적 신분제라면, 사회성분은 이 신분제를 범주 별로 분류하는 체계라고 할 수 있다. 즉, 쉽게 말해서 Y축이 출신성분이라면 X축이 사회성분이다.

예를 들어 출신성분기본 군중인데 사회성분이 농민계급인 사람이 있다고 치자. 이 사람은 기본군중으로서 나은 혜택을 받지만 사회성분이 농민계급이기 때문에 평생 동안 농업에 관련된 일에만 종사해야 한다.

북한의 악질적인 인권 탄압을 엿볼 수 있는 대목으로 모든 북한 주민들은 태어나면서 부터 이미 운명이 결정된 셈이나 다름 없다. 군인 가정에서 태어난 자식들은 그 가정의 사회 성분을 따라 똑같이 군인이 되고, 노동자 가정에서 태어난 자식들은 그 가정의 사회 성분에 따라 노동자가 된다. 이들은 자신들에게 들씌워진 굴례를 벗어날 수가 없다.

다만 김씨일가에게 밉보여 숙청되면 사회성분이 낮아지는 것은 순식간이다.

2. 분류

2.1. 노동 계급

사회성분상 가장 높은 분류. 조선노동당 간부들도 사회성분 분류상 노동 계급이고, 일반 공장에서 일하는 노동자 역시 노동 계급이다. 이들의 차이는 출신성분에 의해 또 나뉘어진 것이다.

2.2. 군인 계급

노동 계급 못지 않게 높은 대우를 받는 분류. 군인 계급 역시 사실상 세습으로, 북한군 장성의 대다수가 사회성분상 군인이고 아버지들이 고위 장성이었다.

2.3. 사무원 계급

행정부의 일꾼, 외교관, 학자, 의사, 기자 등 북한 사회를 지탱하는 분류. 노동/군인 계급보다 낮아도 아래의 농민 계급보다는 훨씬 나은 대우를 받는 분류이다.

2.4. 농민 계급

사회성분상 최하층 계급. 농민 계급은 평생 농촌에서 농업에 종사해야 하며 농민의 자식은 90% 이상 농민이 된다. 그나마 신분을 바꿀 가능성 있는 건 군대를 나가 복무 중 추천을 받아 군관(장교)이 되면 자식 때부터 사회성분이 군인으로 바뀐다. 정말 공부를 잘하는 수재면 대학 교원 또는 연구사가 되어 자식 때부터 사회성분이 사무원으로 바뀐다. 여성의 경우, 노동자나 군관과 결혼하면 도시에서 살 수 있고 신분도 세탁되었으나 이러한 현상이 잦아 농촌 인구가 감소하자 김정은 시대 들어서 농민 여성과 결혼하면 남편도 농촌에서 거주하도록 바뀌었다. 그 영향으로 농민 계급은 결혼 상대로 터부시된다. 북한 사회에서 농민은 절대 중앙으로 진출할 수 없으며, 농민이지만 그나마 출신성분이라도 좋으면 농업 대학을 나와 농장 간부가 되는 게 최대의 출세라고 할 수 있다. 농민은 집단농장에서 고된 농사일을 하지만 추수 후 식량 배급에 있어서 가장 후순위에 있으며 배급을 받아도 개인적으로 소토지를 일구지 않으면 먹고 살 수 없다. 처우와 생활 수준을 봤을 때 사실상 중세 농노, 천민과 다름없다.

3. 참고 링크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