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9-16 21:30:46

서울대학교/학부/공과대학/전기정보공학부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서울대학교/학부/공과대학
파일:서울대학교 로고.svg 서울대학교의 학과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대학(원) 학부 대학원
<colbgcolor=#E3EDFF,#000F2A>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중어중문학과
영어영문학과
불어불문학과
독어독문학과
노어노문학과
서어서문학과
언어학과
아시아언어문명학부
국사학과
동양사학과
서양사학과
고고학전공
고고미술사학과
고고학전공
미술사학전공
미술사학전공
철학과
동양철학전공
서양철학전공
종교학과
미학과
(협동과정)
서양고전학전공
인지과학전공
비교문학전공
기록학전공
공연예술학전공
사회과학대학
정치학전공
정치외교학부
정치학전공
외교학전공
외교학전공
경제학부
사회학과
인류학과
심리학과
지리학과
사회복지학과
언론정보학과
(협동과정)
여성학전공
평화통일학전공
자연과학대학
수리과학부
통계학과
물리·천문학부
물리학전공
천문학전공
화학부
생명과학부
지구환경과학부
(협동과정)
유전공학전공
뇌과학전공
생물정보학전공
계산과학전공
생물물리및화학생물학전공
간호학과
경영학과
공과대학
건설환경공학부
기계공학부
기계공학전공
멀티스케일기계설계전공
재료공학부
재료공학전공
하이브리드재료전공
전기·정보공학부
컴퓨터공학부
화학생물공학부
화학생물공학전공
에너지환경화학융합기술전공
건축학과
산업공학과
에너지시스템공학부
에너지자원공학전공
원자핵공학전공
조선해양공학과
항공우주공학과
(협동과정)
바이오엔지니어링전공
도시설계학전공
기술경영·경제·정책전공
우주시스템전공
인공지능전공
농업생명과학대학
농업·자원경제학전공
농경제사회학부
농업·자원경제학전공
지역정보전공
지역정보전공
작물생명과학전공
식물생산과학부
작물생명과학전공
원예생명공학전공
원예생명공학전공
산업인력개발학전공
농산업교육과
산림환경학전공
산림과학부
산림환경학전공
환경재료과학전공
환경재료과학전공
식품생명공학전공
농생명공학부
식품생명공학전공
동물생명공학전공
동물생명공학전공
응용생명화학전공
응용생명화학전공
응용생물학전공
식물미생물학전공
곤충학전공
바이오모듈레이션전공
생태조경학전공
생태조경·지역시스템공학부
생태조경학전공
지역시스템공학전공
지역시스템공학전공
바이오시스템공학전공
바이오시스템·소재학부
바이오시스템공학전공
바이오소재공학전공
바이오소재공학전공
#!wiki style="margin:0px;margin-top:-3px;margin-bottom:-3px;
{{{#black,#DDDDDD {{{-2 스마트시스템과학과}}}}}}
(협동과정)
농림기상학전공
농생명유전체학전공
미술대학
디자인학부
시각디자인전공
공업디자인전공
디자인역사문화전공
도예전공
금속공예전공
동양화과
서양화과
서양화전공
판화전공
조소과
(협동과정)
미술경영전공
사범대학
교육학과
교육학전공
교육공학전공
교육상담전공
교육행정전공
평생교육전공
국어교육과
외국어교육과
영어전공
독어전공
불어전공
사회교육과
일반사회전공
역사전공
지리전공
윤리교육과
수학교육과
과학교육과
물리전공
화학전공
생물전공
지구과학전공
체육교육과
스포츠과학전공
인간운동과학전공
글로벌스포츠매니지먼트전공
(협동과정)
음악교육전공
미술교육전공
가정교육전공
특수교육전공
환경교육전공
유아교육전공
글로벌교육협력전공
생활과학대학
소비자학전공
소비자학과
아동가족학전공
아동가족학과
식품영양학과
의류학과
수의학과
약학과
음악과
성악전공
작곡·지휘전공
이론·음악학전공
피아노전공
현악전공
관악전공
국악전공
의학과
의과학과
휴먼시스템의학과
의료기기산업학과
(협동과정)
종양생물학전공
임상약리학전공
의료정보학전공
줄기세포생물학전공
학부대학
보건학과
보건학전공
보건정책관리학전공
환경보건학과
행정학과
행정학전공
정책학전공
도시및지역계획학전공
교통학전공
환경관리학전공
도시·사회혁신전공
환경조경학전공
도시환경설계전공
(협동과정)
조경학전공
국제학과
국제통상전공
국제협력전공
국제지역학전공
한국학전공
경영학과
Executive MBA
법학과
응용바이오공학과
지능정보융합학과
분자의학 및 바이오제약학과
수리정보과학과
헬스케어융합학과
국제농업기술학과
경제동물과학전공
바이오식품산업전공
종자생명과학전공
그린에코시스템공학전공
국제농업개발협력전공
응용공학과
데이터사이언스학과
}}}}}}}}} ||


1. 개요2. 상세
2.1. 규모와 위상2.2. 다양한 전공 테크2.3. 연구분야
3. 연혁4. 여담

1. 개요

Department of Electrical and Computer Engineering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소속의 전기전자공학 전공 학과이다.

홈페이지 인스타그램

2. 상세

2.1. 규모와 위상

과거에는 서울대학교 내 모든 단일학부 중에서 가장 거대한 규모를 자랑했었으나, 2023년 기준으로 신설된 공대 광역 모집에 정원을 내 주면서 사회과학대학의 경제학부가 154명으로 서울대학교에서 가장 큰 규모의 정원을 갖게 되었다.

학부제 전단계로 1992~1994학년도까지 전기·전자·제어공학과군(줄여서 '전전제'라고 불렀다)으로 통합하여 모집[1]했으며 1995년부터 전기공학부로 개편되었다. 이름에 '전자(electron)'라는 용어는 들어가 있지 않고 '전기(electricity)'라는 용어만 포함되어 있어서 (전기공학은 배우지만) 전자공학은 배우지 않는 줄 오해하는 경우도 더러 있는데, 그렇지 않다. 전기공학만을 배우는 전기공학과와는 분명히 다르며, 외국에서도 대개 전기공학, 전자공학, 제어계측공학 등을 통합해서 학부제로 운영하고, 학과명칭을 주로 Electrical engineering이라고 쓴다는 점을 고려하여 '전자'라는 용어를 빼고 간단히 '전기공학부(School of Electrical Engineering)'라고 명명했던 것이다. 다만 2011년부터 현재까지 쓰고 있는 명칭은 '정보'가 추가되어 전기·정보공학부. 전기공학부 소속 연구실 연구분야 및 졸업생 진출 진로에 컴퓨터공학 관련 비중이 크게 늘어 예전부터 명칭 개편에 대한 현실적인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되었으나[2] 이미 컴퓨터공학부가 따로 존재하고 있기에 전기컴퓨터공학부 대신 전기·정보공학부로 개명을 하게 된 것이다. 다만 영문명에선 '정보'가 'information'이 아닌 'computer'로 번역되었다.

2002학년도에는 공대 인원 전체를 선발한 뒤, 1학년 성적을 바탕으로 2학년부터 진학할 학부를 신청받는 방식이었는데, 상위권 학생들이 전기공학부에 많이 지원하였다.

2003~2011학년도에 컴퓨터공학부와 함께 신입생을 모집하고 전기·컴퓨터공학부라는 명칭이 사용되긴 했지만 2학년 때 전공을 나눠 각각 졸업하는 별개의 학부였으며 대학원만 전기·컴퓨터공학부로 통합되어 있었다.[3] 이 시기에는 전기공학부 학생이 컴퓨터공학부의 전공필수 과목을 수강해도, 전공 학점으로 인정되었고, 졸업 요건에 필요한 전공 필수 과목 중 서로 대응되는 과목이 대체되기도 하였다. [4]

2012학년도 이후로는 컴퓨터공학부와 따로 모집하고 대학원도 분리되었다. 상위학년에서 전공이 나뉘는 체제가 아니라 단일학부이기 때문에 별도의 전공배정은 없다. 그러나 여느 대형 학부와 마찬가지로 암묵적인 세부전공은 엄연히 존재한다.

2.2. 다양한 전공 테크

여느 전기·정보공학부와 마찬가지로, 테크가 굉장히 다양하다. 크게 컴퓨터, 디바이스, 시스템 테크로 나뉘고, 가장 선호되는 테크는 컴퓨터와 반도체(디바이스)로 양분되는 추세. 하지만 각각의 테크별 구분을 지나치게 제도화시켰다는 의견도 존재하는데, 가장 논란이 이는 부분은 바로 2021학년도부터 선이수 조건을 강화한 것. 특히 기초전자회로 및 실험의 경우 회로 테크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과목이지만 선이수 조건이 너무 많이 붙어버리는 바람에 주전공 학생들은 선이수 조건이 꼬이지 않도록 1학년부터 주의 깊게 수강 신청을 해야 하고, 타과에서 복수전공할 때에는 거의 졸업 유예가 무조건 확정되는 수준이다보니, 이번 선이수 강화 조치가 개선이 아닌 개악이라고 평가하는 여론이 많다.

과반 슬로건: R반, '룰루반', '랄라반', C반[5]

2.3. 연구분야

3차원 광공학 연구실

광 • 나노 전자소자 연구실

광자 시스템 연구실

레이져 연구실

지능형 디스플레이&센서 연구실

지능형 파동 시스템 연구실

3. 연혁

구제전문학교 - 서울공업대학
1938경성고등공업학교 전기과
1944경성공업전문학교 전기과
경성공업전문학교 전자통신과
경성공업전문학교 전기화학과
1946서울공업대학 전기공학과
서울공업대학 통신공학과
서울공업대학 전기화학과
경성제국대학
1941경성제국대학 이공학부 전기공학과
1945경성대학 이공학부 전기공학과
서울대학교
1946서울대학교 공과대학 전기공학과 강전전공/약전전공
1947서울대학교 공과대학 전기공학과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전기통신공학과
1948서울대학교 공과대학 전기공학과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통신공학과
1959서울대학교 공과대학 전기공학과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전자공학과
1963서울대학교 공과대학 전기공학과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전자공학과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공업교육과 전기전공/전자전공
1978서울대학교 공과대학 전기공학과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전자공학과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계측제어공학과
1982서울대학교 공과대학 전기공학과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전자공학과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제어계측공학과
1992서울대학교 공과대학 전기·전자·제어공학과군
1995서울대학교 공과대학 전기공학부
2012서울대학교 공과대학 전기·정보공학부

4. 여담


[1] 이때까지 법적 근거가 미비했으나 1995년에 교육법 시행령 개정으로 학부제 시행을 위한 법적 근거가 마련됐다. 명칭에 혼선이 있다. '서울대학교60년사'나 전기정보공학부 홈페이지에는 '전기·전자·제어공학군'으로, 공과대학 홈페이지에는 '전기·전자·제어계측공학과군'으로 표기하고 있으나 이 당시 '서울대학교 학칙'에는 '전기·전자·제어공학과군'으로 규정되어 있다.[2] 2010년대 이후로 신설 연구실은 과반이 컴퓨터공학의 범주에 들어갈 수 있는 분야이다.[3] 학사 학위는 전기공학부와 컴퓨터공학부로 개별 수여, 석사 및 박사 학위는 전기·컴퓨터공학부로 수여. 이 시기 '서울대학교 학칙'에 전기공학부와 컴퓨터공학부는 통합된 적이 없다.[4] 예를들면, 1학년 전공 필수 과목인 전기공학부의 컴퓨터의 기초(2학점, 줄여서 '컴기') 대신 컴퓨터공학부의 컴퓨터개론(3학점, '컴개')를 수강하면, 졸업 요건이 충족되는 식[5] 원래는 RLC 회로에서 유래한 R, L, C 세 반이었다.(다만 더 거슬러 올라가면 A, B, C, D였던 적도 있다) 그러다 L반 학생회가 반 인원을 줄여 서로 간 친밀도를 높이기 위한 목적으로 룰루(Lullu), 랄라(Lalla)로 분반을 결정하여, 98학번부터 지금의 체제가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