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3-27 16:27:29

서울형 R&D

서울형 R&D 지원사업
Seoul R&D Program
<colbgcolor=#00B493> 운영주체 서울특별시 , 서울경제진흥원
시작연도 2005년
2025년 투자규모 410억원
지원분야 신성장산업 및 기술실증 등 11개 분야
지원대상 서울 소재 중소·벤처·창업기업 중심 산학연 컨소시엄
홈페이지 파일:서울R&D지원센터 로고.jpg
포스터 파일:[꾸미기]서울형R&D지원사업 신문광고(o) 355x499.jpg
1. 개요2. 특징3. 역사4. 지원 분야
4.1. 인공지능(AI) R&D4.2. 바이오·의료 R&D4.3. 양자기술 R&D4.4. 로봇 R&D4.5. 창조산업 R&D4.6. 핀테크 R&D4.7. 서울혁신챌린지4.8. 민간투자연계 R&D(서울형 TIPS)4.9. 기술보증기금 연계 R&D4.10. 테스트베드 서울4.11. 약자기술 R&D
5. 지원방법6. 사업홍보
6.1. 유튜브 홍보6.2. 언론보도
7. 여담

1. 개요

서울시가 중소·벤처·창업기업의 기술 개발과 혁신기술을 적용한 제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실증 기회를 제공하여 서울시의 미래성장동력을 확충하려는 사업이다.

2. 특징

2005년부터 시작하여 현재는 1년 단위 위주로 중소·벤처·창업기업의 기술개발을 지원한다. 서울특별시와 서울시 출연기관인 서울경제진흥원(SBA)이 협력하여 운영하며, 정부 지원 없이 서울시 예산으로 진행하는 자체 사업임에도 불구하고 예산 규모가 상당히 크다. 2025년 예산은 410억원이다.

서울형 R&D 포스터
파일:[꾸미기]서울형R&D지원사업 신문광고(o) 355x499.jpg 파일:[[꾸미기]서울형 R&D 머투 지면광고.jpg

연도별 투자규모 현황
파일:사본 -output (3).jpg

3. 역사

2005년부터 시작하여 약 4,000개 이상의 과제에 총 8,000억 원 이상을 지원하였다. #
초기에는 원천 기술 기초 연구를 위한 대학과 연구기관 중심의 산학연 협력사업으로 시작하였으나, 2012년부터 대학 뿐 아니라 중소기업의 기술 개발을 위한 사업을 추가하였다. 2018년부터는 도시 문제를 해결하고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하기 위해 인공지능(AI), 바이오, 로봇, 핀테크, 양자기술 같은 혁신 기술 개발과 기술의 상용화를 위한 실증 사업을 중점 지원한다. 중소·벤처·창업 기업을 육성하고 많은 기업의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단기·소형과제 위주로 선발하고 있으며, 2024년 신규과제 평균 경쟁률은 9:1 정도이다.
서울시는 사업을 기획·총괄하고 있으며, 2005년~2011년에는 서울연구원에서, 2011년 이후서울경제진흥원(SBA)에서 운영하고 있다.

4. 지원 분야

4.1. 인공지능(AI) R&D

4.2. 바이오·의료 R&D

4.3. 양자기술 R&D

4.4. 로봇 R&D

4.5. 창조산업 R&D

4.6. 핀테크 R&D

4.7. 서울혁신챌린지

4.8. 민간투자연계 R&D(서울형 TIPS)

4.9. 기술보증기금 연계 R&D

4.10. 테스트베드 서울

4.11. 약자기술 R&D

5. 지원방법

서울경제진흥원 R&D지원센터 누리집 분야별 공고문에서 세부 내용을 확인하고 지원할 수 있다.

6. 사업홍보

서울형 R&D는 여러 홍보채널을 활용해 기업과 시민들에게 사업을 홍보하고 있다. 대표적인 활용매체는 유튜브와 언론사이다.

6.1. 유튜브 홍보

6.2. 언론보도

* 사업보도 : 일반적으로 그 해 사업계획이나 행사를 홍보하기 위해 보도한다.
* 기획보도 : R&D 정책에 대한 설명이나 인터뷰, 참여기업 홍보를 한다.

* 서울형 R&D에 참여하는 기업들이나 실증기관에서 자체적으로 언론 보도를 내기도 한다. 예시 #, #

7. 여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