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01 22:47:09

석굴사원

석굴 사원에서 넘어옴
파일:afghan-landscapes-10.jpg
아프가니스탄의 바미안 석굴[1]
파일:Yungang11_2010-1.jpg
중국의 윈강 석굴

1. 개요2. 석굴 목록
2.1. 대한민국2.2. 해외


한자 石窟寺院
영어 Cave temple / Grotto

1. 개요

암석 절벽 혹은 바위산을 뚫어 조성한 사원. 주로 불교에서 많이 조성하며, 힌두교자이나교에서도 석굴 사원을 조성한다. 기원전 2세기 경에 인도에서 시작하여 실크로드를 통해 중앙아시아, 중국에 유행하였다. 인도나 중국에는 무른 석질의 바위가 많기 떄문에 자연스럽게 생긴 굴을 그대로 이용하거나 인공암굴을 파는 식으로 석굴사원이 많이 조성되었다.

주로 사람의 접근이 힘든 절벽에 조성되다 보니 한번 조성된 이래 훼손이 덜한 경우가 많으며, 아잔타 석굴이나 막고굴처럼 수세기 동안 세간에 잊혀져 있다가 다시 발견되기도 한다. 이렇게 보존 상태가 좋은 석굴사원은 고분 벽화와 함께 오래전 사회상을 보여주는 귀중한 문화유산이다. 실제로 많은 석굴 사원이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되어 있다.

한국의 경우 단단한 화강암 산이 많아 인공암굴을 조성하기 힘들고, 이로인해 석굴사원도 많이 조성되지 않았다. 그러나 한국에도 전국적으로 여러 석굴사원이 존재하며, 신라 시대에 지어진 경주의 석굴암이 대표적인 한국의 석굴사원이다. 하지만 한반도의 지형상 석굴을 파는 것이 상당히 힘들고, 조성할 만한 산도 많지 않기 때문에 인도나 중국처럼 대규모로 조성하지 못해 비교적 작은 편이다.

2. 석굴 목록

2.1. 대한민국

파일:2493438_image2_1.jpg
군위 아미타여래삼존 석굴

2.2. 해외

막고굴, 윈강 석굴, 룽먼 석굴을 중국 3대 석굴이라고 지칭하기도 한다.


[1] 암벽이 파인 부분 안에 거대한 석불이 있었으나 탈레반 정권에 의해 완전히 파괴되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