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고려 제6대 국왕}}}에 대한 내용은 [[성종(고려)]]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성종(고려)#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성종(고려)#|]]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조선 제9대 국왕}}}에 대한 내용은 [[성종(조선)]]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성종(조선)#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성종(조선)#|]]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인피니트 멤버}}}에 대한 내용은 [[이성종]]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이성종#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이성종#|]]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고려 제6대 국왕: }}}[[성종(고려)]]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성종(고려)#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성종(고려)#|]]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조선 제9대 국왕: }}}[[성종(조선)]]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성종(조선)#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성종(조선)#|]]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인피니트 멤버: }}}[[이성종]]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이성종#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이성종#|]]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동아시아 군주의 묘호 성종 | 成宗 | |||
시법 | 백성을 편안하게 하고 정사를 확립한 것을 성이라 한다. (安民立政曰成) | ||
표기 | 한자 | 成宗 | |
한글 | 성종 | ||
베트남어 | Thánh Tông(타인 똥) | ||
최종 수여자 | 6명 | ||
분류 | 묘호 |
1. 개요
동아시아에서 군주에게 붙이는 시호나 묘호의 하나. 대체적으로 국가 체제와 문물, 제도 정비를 완성시킨 군주라는 뜻이 담긴 시호/묘호이다.2. 成宗
성(成)은 인이 들어간 시호보다는 조금 못하지만[1] 상당히 좋은 시호 중 하나다. 대체로 이 묘호를 받은 군주들은 유교적인 군주들이 많다.<rowcolor=#683235> 성명 | 묘호 | 시호 | 재위 기간 | 비고 |
한국사 | ||||
<colbgcolor=#FFF6E8,#000> 왕치(王治) | 고려성종 (高麗成宗) | 양정헌명광효장헌강위문의대왕 (襄定獻明光孝章獻康威文懿大王) | 981년 ~ 997년 | 6대 대왕 |
이혈(李娎) | 조선성종 (朝鮮成宗) | 인문헌무흠성공효대왕 (仁文憲武欽聖恭孝大王) | 1469년 ~ 1495년 | 9대 대왕 |
중국사 | ||||
전홍좌(錢弘佐) | 오월성종 (吳越成宗) | 충헌왕 (忠獻王) | 941년 ~ 947년 | 3대 왕 |
이초(李超) | 남당성종 (南唐成宗) | 효평황제 (孝平皇帝) | - | 남당열조 추존 |
패아지근철목이 (孛兒只斤鐵穆耳) | 원성종 (元成宗) | 흠명광효황제 (欽明光孝皇帝) | 1294년 ~ 1307년 | 2대 황제 |
애신각라다이곤 (愛新覺羅多爾袞) | (淸成宗) | (懋德修遠廣業定功安民立政誠敬義皇帝) | - | 순치제 추존[2] |
- | 예충친왕 (睿忠親王) | 옹정제 복권 | ||
총 수여자 6명 |
3. 聖宗
성(聖)의 경우 "성스럽다"는 뜻에서부터 알 수 있지만 시법에 따르면 격이 매우 높다. 성조(묘호) 참조.<rowcolor=#683235> 성명 | 묘호 | 시호 | 재위 기간 | 비고 |
중국사 | ||||
<colbgcolor=#FFF6E8,#000> 야율문수노(耶律文殊奴) | 요성종(遼聖宗) | 문무대효선황제 (文武大孝宣皇帝) | 982년 ~ 1031년 | 6대 황제 |
베트남사 | ||||
이일존(李日尊) | 이성종(李聖宗) | 인효문무황제 (仁孝文武皇帝) | 1054년 ~ 1072년 | 5대 황제 |
진황(陳晃) | 진성종(陳聖宗) | 헌천체도현공성덕인명문무선효황제 (憲天體道玄功盛德仁明文武宣孝皇帝) | 1258년 ~ 1278년 | 2대 황제 |
여사성(黎思誠) | 후여성종(後黎聖宗) | 숭천광운고명광정지덕대공성문신무달효순황제 (崇天廣運高明光正至德大功聖文神武達孝淳皇帝) | 1460년 ~ 1497년 | 5대 황제 |
총 수여자 4명 |
[1] 한국사에서는 고려 성종과 조선 성종이 성군의 이미지를 가진 반면 고려 인종은 유약한 임금, 조선 인종은 성군의 기질이 있었으나 지나치게 짧은 재위기간으로 인해 존재감마저 희미한 임금이라 의아하게 생각할 수도 있다. 그러나 조선 성종이 죽은 후 일부 관원들은 ‘성(成)은 인(仁)만 못하니 묘호를 인종(仁宗)으로 하자.’고 주장했으나 연산군이 ‘성’을 관철해 성종이 묘호가 되었다. 그 이유는 세종대왕 초기 시절때 집권한 명 홍희제의 묘호가 인종이라 이와 겹치게 하는 것은 사대의 예가 아니라는 일각의 주장을 받아들였기 때문.[2] 순치제가 친정을 시작한 이후 모두 삭탈되었다. 이후 1778년 친왕의 시호로 복권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