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bordercolor=#ddd,#212121><tablealign=center><bgcolor=#ddd,#212121><-5> 날짜를 나타내는 순우리말 ||
1일 하루 | 2일 이틀 | 3일 사흘 | 4일 나흘 | 5일 닷새 | ||||
6일 엿새 | 7일 이레 | 8일 여드레 | 9일 아흐레 | 10일 열흘 | ||||
15일 보름 | 20일 스무날 | 21일 세이레 | 30일 그믐 | ○일 며칠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3~4일 사나흘/사날 | 4~5일 네댓새/너더댓새/나달 | ||||||
3~5일 사나나달 | 5~6일 대엿새 | 6~7일 예니레 | 7~8일 일여드레 | }}} | ||||
다른 순우리말 보기 | ||||||||
|
1. 개요
스물하루가 되는 날짜를 가리키는 낱말.2. 설명
우리나라에는 한자어 표현인 삼칠일(三七日)(3주)이라는 표현이 많이 알려져 있다. 스물하루라고도 부르는데 관형사를 쓴 '스무하루'가 아니다. 전남방언으로 시이레, 전북방언으로 셋이레(발음은 센니레)라는 표현도 있다. 단어를 보면 알 수 있듯 세(3)x이레(7)=세이레(21)[1]에서 온 낱말이다.보통은 아이가 태어난 후 스물하루가 되는 날을 가리킨다. 이 기간동안 산모는 아이를 낳고 조심하였는데, 이 기간 동안 산모와 아기는 되도록 외부인과 접촉을 하지 않도록 금줄을 쳤으며, 미역국을 먹으며 몸조리를 한다. 이 때가 지나면 금줄을 거두었다. 한국민속대백과사전에서 이에 대한 상세한 내용을 설명하고 있으니 참고.
세이레에 대한 가장 오래된 기록은 삼국유사의 단군신화에 대한 기록이다. 여기서는 사람이 되기 위한 기간으로 묘사된다.
[1] 이레(7일 일주일)이 세개(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