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6:03:20

Sonic Wave

소웨에서 넘어옴
파일:Leaderboard_Top1.webp 파일:ExtremeDemonGMD.png
역대 Pointercrate 포럼 순위 1위

클래식 / 플랫포머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91919> ICE Carbon Diablo X[H]
Future demoness
Cataclysm[V]
Bloodbath
Sakupen Hell[V]
Athanatos[V]
Artificial Ascent
Yatagarasu
Digital Descent
Stalemate Redux
Erebus
Sonic Wave[V]
Plasma Pulse Finale
Bloodlust
Crimson Planet
Zodiac[H]
The Golden
Tartarus
Sakupen Circles[V]
Abyss of Darkness[V]
Slaughterhouse[V]
Acheron
Avernus
Tidal Wave[1]
{{{#!wiki style="color: #FFF;"
{{{#!folding 정확한 순서 열기·닫기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ICE Carbon Diablo X → Cataclysm → Future Demoness → Cataclysm → Bloodbath → Sakupen Hell → Bloodbath → Sakupen Hell →
Athanatos → Sonic Wave → Artificial Ascent → Sonic Wave → Yatagarasu → Sonic Wave → Erebus → Digital Descent → Erebus →
Sonic Wave → Erebus → Stalemate Redux → Erebus → Sonic Wave → Plasma Pulse Finale → Bloodlust → Zodiac → Crimson Planet
→ Zodiac → Tartarus → The Golden → Tartarus → Slaughterhouse → Sakupen Circles → Slaughterhouse → Abyss of Darkness → Slaughterhouse → Acheron → Avernus → Tidal Wave
}}}}}}}}} ||

[H] 핵으로 베리파이된 맵[V] 핵으로 베리파이 되었으나 추후 정상적으로 다시 베리파이된 맵[V] [V] [V] [H] [V] [V] [V] [1] 현재 포럼 1위
}}}}}}}}}


파일:Leaderboard_Top1.webp 파일:ExtremeDemonGMD.png
역대 포럼 순위 1위
Sonic Wave
Sonic Wave - Published by Sunix, Created by Cyclic

캡션
Mythical Demon by Cyclic! Video on my Youtube.
<rowcolor=#ffffff> 레벨 비밀번호 레벨 ID 레벨 길이 오브젝트 수 업로드 일자 및 버전
112516 26681070 2분 2초 24597 2016. 11. 25. (2.0)
{{{#!wiki style="margin: -16px -11px;" 공식 포럼 최고 순위 #1(Hardest Demon)
난이도 Extreme Demon
}}} ||


1. 개요2. 탄생 과정3. 구간4. 여담

1. 개요

Geometry Dash를 대표하는 고전 익스트림 데몬 맵 중 하나로, 남색 나써 버젼. 별이 붙은 나인서클류맵 중 3년 동안이나 난이도 1위를 차지하고 있었으며 나인서클 맵 중에서의 유명세가 가장 높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1] 데몬. 동시에 출시 당시 기준 난이도가 가장 높은 익스트림 데몬 중 하나로, 2016~2017년 Yatagarasu, Erebus와 함께 RGB 트리오를 이루었던 극악맵이며 현재는 이 세 개의 맵들 중에서도 가장 어렵다는 것이 중론이다.

지오매트리 대시에서 가장 유명한 나인써클류 맵 중 하나이며 Bloodbath와 더불어 역사상 가장 유명한 익스트림 데몬중에 하나라고 평가받는다.

난이도가 매우 극악하지만, 나인써클류 특성상[2] 난이도를 분간하기가 다른 맵보다 상대적으로 힘들다. 그 예로 일전에 Artificial Ascent와도 어느 맵이 더 어렵냐는 논란이 있었고, 포럼에서 무엇이 더 어려운가 투표를 하였는데 AA가 더 어렵다는 쪽이 승리하였으나 더 많은 토론 후 이 맵이 더 어렵다고 평가되었다. 2차로 Bausha Vortex와 함께 어느 것이 더 어렵냐는 의견이 많이 오갔는데, Bausha Vortex 항목을 보면 알겠지만 어느 정도 논란이 종결되었다. 물론 Bausha Vortex도 매우 어렵지만, Sonic Wave의 3배속 웨이브는 그야말로 극악 그 자체이다.[3][4] 여하튼 역사에 길이 남을 매우 극악한 나인써클 맵인건 확실하다.

2017년 4월 중 Sonic Wave가 난이도를 재평가 받았는데, Yatagarasu보다 높은 순위를 차지해 논란이 되었다! 유튜버들 사이에서도 평이 갈렸다. 많은 유저들은 Yatagarasu의 하향이 시각적으로는 매우 크게 느껴지나, 직접 해보면 난이도는 거의 비슷비슷하고 Sonic Wave와 달리 Yatagarasu는 모든 모드를 다 능통하게 구사해야 깰 수 있다는 점 때문에 이 재평가는 오류라고 하는 유튜버들이 존재했으며 BlassCFB는 Sonic Wave와 Yatagarasu 두 개를 다 클리어한 유저인데, Yatagarasu가 더 어렵다고 평했으며 Surv와 TrusTa도 마찬가지라고 한다. 사실 난이도는 전체적으로 많은 차이는 없으나 유독 웨이브를 어려워하는 사람이라면 Sonic Wave를 더 어렵다고 생각할 것이다. 이 난이도 재평가로 포럼 1위를 차지했었지만, Erebus의 난이도 재평가로 다시 내려왔다. 사실 Erebus와도 순위 논쟁이 많이 되는 편이다. 클리어한 유저들 사이에서도 Wooshi, Sunix 등등은 Sonic Wave가, EndLevel, DiamondSplash 등등은 Erebus가 더 어렵다고 의견을 냈다. 특히나 둘의 난이도가 비슷해서인지 Skullo와 ThatJ4ke등은 둘 중 뭐가 더 어려운지 모르겠다고 밝혔다. 특히나 포럼이 이 맵을 많이 밀어주는 편.

2017년 9월 17일, DDErebus를 제치고 재평가로 인해 1위로 다시 올라섰다! 그러나 다시 재평가를 받아서 Erebus에 다시 밀렸고 Stalemate Redux의 등장으로 3위로 떨어졌다가 Stalemate Redux의 순위 추락으로 2위로 올라섰다. 2017년 11월 9일 기준으로, Sonic Wave가 1달만에 Erebus를 제치고 다시 1위로 올라섰다. 1위 차지가 당연하다고 생각되었던 Plasma Pulse Finale, Gamma가 Sonic Wave 아래에 랭킹되었는데, 이로 인해서 포럼이 너무 소웨를 밀어주고 있다는 의견이 계속 나오고 있다.[5][6] 다만 함부로 소웨를 밀어내기도 힘든 이유는, 극악맵들을 잘 건드리고 맛보는 초고수 유저들 사이에선 소웨가 나머지 4개의 극악맵[7]보다 어렵다는 의견도 적지 않게 존재하기 때문. 밑인 5위 정도까지 내려가야 한다는 사람들도 있다. 이러다보니 초고수 유저들이 극악 맵들을 베리파이할 때 "어쨌든 Sonic Wave보다 쉬움"이라고 비아냥대기도 한다.
이후 1월 18일 Plasma Pulse Finale가 소웨를 밀어내고 1위를 차지했고,그리고 2월 21일 그 유명한 데몬맵인 Bloodlust가 포럼 1위가 되어 현재 3위, 그리고 후 Spacial Rend가 3위가 되어 4위로 밀려났다. 그리고 Gamma에게도 추월당해 현재 5등[8]

비공식 기록이지만 세계 최초로 클리어한 사람은 J4ke이다.[9].가장 먼저 클리어한 사람은 Superex로, Sunix가 베리파이한 이후로 약 한 달 후 클리어했다. 또 그로부터 며칠 후 BlassCFB가 클리어했고, 잇따라 BlackWolfJake , Kevtom, ChiefFlurry, EndLevel, Dual Kiki, Rampage, DiamondSplash, Skullo, Syne, Spaces, Metalface221, Edstar24, Rainstorm[10] , Cemplix, Enish, 'Atomic, Mycrafted, Kainite[11]. 총 20명이 클리어하였다. 이 유저들이 평균적으로 소웨를 클리어한 어템 수가 평균 30,000어템이다!![12][13]

한국인 유저로는 한국 최초로 Bloodbath를 클리어한 유저 LIFE가 38%를 먹고 startpos를 이용해 29%~65%까지 갔지만 국내 클리어자는 없었다. 그러나 블베를 2번째로 클리어한 Rainstorm이라는 유저가 스타트포스로 28~90%, 28~100%를 가고, 그 후 한국유저 Luciela도 28~100%를 갔다. 28%부터 웨이브가 시작되기 때문에 사실상 웨이브모드는 클리어한 것이다. Rainstorm이 66%를 갔다! 그리고 75%도 갔었다고 한다. 끝내 Rainstorm이 2017년 12월 9일, 한국인 최초로 소웨를 클리어하였다![14] 그 후 VoTcHi가 2018년 8월 3일에 12600어템을 써서 한국인 두번째로 클리어했다! https://www.youtube.com/watch?v=D1FCh0Uhjc0[15]또, Kainite가 2019년 8월 3일13925 어템으로 한국 3번째로 클리어했다!(공식적으론 2번째)'''

또한 무명 유저 Latent가 2018년 12월 20일자로 81%를 갔다. https://youtu.be/4OuBExgLPNM 그렇게 2019년 7월 9일 클리어.
2020년 5월 7일, 한국 유명 유저 Dorami가 한국 5번째로 클리어했다!I FLUKED IT!!!!https://www.youtube.com/watch?v=HaUNAIK8ivo&t=149s

2020년 7월 21일, 한국 유저 Aeidux[16]가 한국 6번째로 클리어했다! https://youtu.be/tpk2fxa7c-o

비공식 기록까지 합쳐서 한때 소웨를 가장 많이 클리어한 사람은 Jake였는데, 현재까지 소웨를 무려 17번(!)이나 클리어했다! 심지어 재클리어 이유가 "따분해서", "쉬워서", "고화질로 녹화하려고", "리퀘받아서" 등. 또한 가장 최근의 17번째 재클리어는 약 6개월만에 소웨를 파는 것이였는데도 7분 만에 클리어해 커뮤니티를 경악하게 만들었다. 지메 역사상 최강의 웨이브 실력을 가진 유저니 더이상 설명이 필요없을 지경이다.소웨 17회독

그러나 현재는 SWI의 베리파이어이자 소웨 3연클에 성공한 Xanii가 기록을 완전히 빼앗았다. 무려 100회 이상 Sonic Wave를 클리어했으며 이제는 고일대로 고여서 깨도 리액션을 하지도 않으며, 운이 좀 따라줘야 하는 1%의 칼타 공점 정도만 제외하면 거의 모든 파트를 공식맵 깨듯이 넘는다. 중간 공점 큐브파트를 괴상한 방법으로 넘으며 여유를 부리기도 한다. 물론 하디스트가 포럼 10위권대인 LIMBO인 만큼 기본적인 실력이 출중한 것도 있지만, 나름 구 1위 데몬이자 200위 안에 드는 상위권 익스트림 데몬을 밥먹듯이 깨는 건 진귀한 광경.

2019년 7월 13일, 아르헨티나의 Muffy450이라는 유저가 무려 60만 어템[17]5배를 뛰어넘는 수치이다. 이게 얼마나 많은 수치나면 Mullsy가 Tartarus에 쓴 어템이 21만 정도이고, Cinci가 언너프 Innards에 쓴 어템이 약 20만 이상이다. 이 기록들의 3~4배를 쓴 것.][18]이라는 경악할만한 수치의 어템을 소비하여 4년의 고생 끝에 드디어 클리어하였으나 이 기록은 어템수를 주작했다는 의혹이 있다.

2020년 3월 4일, Zentel 이라는 유저가 모바일로 73%를 가는 기록을 세웠다. 93%까지 갔는데 영상을 안찍었다고 한다.

2021년 1월 11일, Timor가 등재되어 결국 30위권에서 떨어졌다!-얘는 얼마 못가 소웨보다 더 떨어졌다-

2021년 5월 21일, DashY라는 유저가 세계 최초로 모바일 클리어에 성공했다!

2021년 6월 30일 또다른 리메이크작 Sonic Wave Infinity가 3위로 등재됨으로써 40위권으로 퇴출당했다.

2021년 10월, 결국 50위권으로 퇴출당했다.

2022년 1월, 60위권으로 퇴출당했다.

2022년 6월, 70위권으로 떨어졌다.

2022년 8월 15일, CITRA가 40위에 등재되어 Extended로 떨어졌다.

2022년 9월 21일, 유튜버 Nexus [GD]가 마침내 클리어했다.[19] 영상

2023년 2월 15일, Sazerix가 42위로 등재되며 결국 100위권으로 퇴출당했다.

2023년 9월 13일, Yatagarasu가 Legacy로 강등되면서 구 RGB 트리오중 유일하게 Top 150에 남은 데몬이었었다.

결국 2023년 10월 9일, Legacy로 떨어졌다![20]

2023년 12월 21일, 물리엔진 버그로 인해 어려워진 Sonic Wave를 Sunix가 수정한 후 다시 베리파이 하였다. 방송을 킨지 40분 만에 베리파이해서 모두를 경악하게 만들었다.

2024년 10월 4일, 유저 Vel이 무려 36%에서 플루크를 하며 지메 역사상 가장 큰 플루크 중 하나를 달성했다![21] 영상

2. 탄생 과정

Riot이 Bloodbath의 베리파이를 진행하고 있었을 당시, Riot과 함께 당대 최고의 실력자로 여겨지던 한국인 랭커 Cyclic이 Sonic wave의 프리뷰 영상을 올렸고, 시간이 흘러 2015년 7월에 베리파이하여 Sonic Wave가 처음 세상에 나왔다. 나인써클류 맵 답게 초중반에는 큐브 모드 → 배 모드 → 볼 모드 → 웨이브 모드 → 큐브 모드 클리셰를 따랐으나 웨이브 파트의 간격이 매우 좁았고, 마지막 큐브 미로 이후 웨이브 모드를 한번 더 추가해, '가장 긴 나인써클류 맵'이라며 주목받기도 하였다. 다만, 이때의 Sonic Wave는 현재의 버전보다 훨씬 쉬웠으며, Bloodbath보다도 조금 아래의 난이도였기에 큰 주목을 끌지는 못했다.

얼마 후, Cyclic은 별 10000개를 모으고 커뮤니티에 Sonic Wave를 리뉴얼하겠다고 하며 전체적인 맵의 색상을 어떻게 바꿀지 투표를 열었다. 투표로 뽑힌 색상은 어두운 남색이었으며, 2015년 8월 Cyclic은 기존의 밝은 하늘색에서 어두운 남색으로 색상이 바뀌고, 쉬운 구간이었던 나써 파트 중간의 UFO, 비행 파트를 다시 극악한 웨이브 파트로 바꾸는 등 각종 구간이 극버프된 신버전을 서버에 업로드한다. 얼마 안 있어 8월 중순, Riot이 Bloodbath를 베리파이했다. 동시에 묻혀있던 Sonic Wave도 함께 주목을 받기 시작했는데, 극상향된 신버전의 웨이브 파트가 도저히 불가능해보였기 때문에 커뮤니티에 큰 파장을 일으킨다. Bloodbath는 실시간 스트리밍에서 베리파이 되었지만 Sonic Wave는 아니었기 때문에 Cyclic이 핵을 사용했다는 루머가 한동안 나돌았다. 그리고 Sonic Wave 레이팅 이후 유저들이 맵을 열었을 때 나온 것은 Sonic Wave가 아닌 Back on Track 리메이크 레벨이었다. 사람들은 이에 대해 여러가지 이유를 추측했는데, Cyclic이 해킹 당했다는 설이 제일 유력했다. 며칠 후 2.0이 공개되고, 유저들은 Cyclic의 프로필을 찾았다. 그리고 발견한 것은, 게임을 접겠다는 포스팅이었다. 그날 이후 Sonic Wave를 포함한 Cyclic의 맵은 모두 삭제되었다.

Sonic Wave는 당시 가장 어려운 맵이었다. 그래서 누가 Cyclic의 뒤를 이어 Sonic Wave를 베리파이하게 될 지 세간의 주목을 받았는데, 그 선두주자로 Riot, Mefewe, Wabbit 세 사람이 있었다. 그리고 2015년 10월 11일, Mefewe가 24%를 달성하였다. 10월 21일에는 7000어템 가량을 사용해 64%-100% 프로그레스 영상을 올렸고, 그 후 36%, 49%, 72%까지 기록을 세우며 정말로 클리어할 것처럼 보였다. 하지만 그 후 2016년이 올 때까지 프로그레스 영상은 더이상 올라오지 않았다. 그러다가 2016년 1월, Cyclic이 복귀했다. 그로부터 3일 후 Riot은 64%-100%에, 다음날 28%-82%에 성공한다.

충격적이게도 2016년 2월 말, Cyclic은 Sonic Wave의 구버전에는 베리파이핵을, 신버전에는 스피드핵을 사용했다고 자백했다.[22] 그건 곧 Sonic Wave를 정식으로 클리어 한 사람이 베리파이어가 될 것이란 뜻이었다. 그 때문에 Mefewe가 복귀하여 Sonic Wave를 다시 파기 시작했다. 그리고 무려 98%를 먹었다.[23]

Riot은 Viprin에게 2.0 스타일로 Sonic Wave를 재디자인 하기를 요구했다. 그렇게 해서 몇가지 트리거와 새로운 디자인, 버프로 탄생한게 Sonic Wave Infinity. Mefewe도 Serponge와 Funnygame의 도움으로 재탄생한 Sonic Wave Rebirth를 들고 온다. 그러나 Riot은 SWI를 클리어하기에 가까웠고, Mefewe는 SWR를 클리어하기 한참 멀었었다. 그래서 Riot은 Mefewe가 SWR를 베리파이할 때까지 기다렸다가 SWI를 베리파이하기로 약속했다. 그래야 롭탑이 두 맵에 모두 별을 줄 것이기 때문이다. Bloodbath의 세번째 클리어자인 Surv도 Sonic Wave를 베리파이하고 싶어했다. 그래서 Surv는 Manix648에게 Sonic Wave 재디자인을 요구했고 그것은 Auditory Breaker라는 전혀 다른 이름으로 나왔다. 한편 Riot은 Mefewe가 SWR를 베리파이할 때까지 SWI를 쉬기로 한다. 대신 그동안 Red World Rebirth와 Quantum Processing을 베리파이하고, Yatagarasu는 베리파이하려다가 7월 23일에 결국 게임에 흥미를 잃고 게임을 접은 뒤, Surv에게 Yatagarasu를 넘긴다. 그로 인해 Surv도 Auditory Breaker를 관두게 된다. 그리고 Mefewe도 SWR을 베리파이 하지 못한 채 게임을 접으면서, SWR 역시 폐기되어 한동안 잊혀지게 된다.

SWI, SWR, AB가 트러블을 겪는 중,[24] Aurorus, Archane, Qwer이 Sonic Wave 원본 베리파이에 도전했다. 그리고 2016년 8월, Qwer은 91%까지 다다랐다. 9월 6일에 Archane는 Sonic Wave 28%-90%에 성공하고, 75%까지 깨기도 했다. 하지만 그때 Mefewe가 SWR 대신 원본을 베리파이하겠다고 했다는 루머가 생겨났고, Archane는 포럼에서 논쟁을 벌이다가 결국 게임을 그만두기로 했다. 그리고 새로운 두 유저가 Sonic Wave 원본에 도전하기 시작했다. 첫 번째는 TrusTa. TrusTa는 10월 8일 43%를 먹고, 다음 날 42%-100%에 성공했다. 그리고 두 번째 유저는 복귀한 Riot이었다. Riot은 Sonic Wave Infinity에 약 60000어템, Sonic Wave에 약 40000어템을 소모했다. 10월 12일, 73%까지 달성한 후 Riot은 SWI를 재시도하기로 한다. 그리고 SWI에 확장 파트가 있을 것이라 예고했다. Aurorus, Viprin, Cyclic, Wabbit, Riot은 SWI에 확장 파트를 추가하여 다시 만들었다. Riot은 SWI를 베리파이하기 전 Sonic Wave부터 베리파이하기로 하고, Aurorus도 Sonic Wave에 도전한다. 또한 Sunix도 Sonic Wave를 연습하고 있었다. Aurorus와 Riot, Sunix, 셋 중 한 명이 Sonic Wave를 깰 것처럼 보이는 상황이었다.

2016년 11월 12일에 Aurorus가 91%를 먹었다. 11월 18일에는 Riot이 96%를 먹었다. 그리고 19일, Sunix가 88%를 먹었다. Aurorus는 91%를 먹고 결국 포기하는 대신, Riot에게 Sonic Wave를 맡기고 G4lvatron에게 4번째 Sonic Wave 리메이크 맵을 만들어달라 부탁하길 결정한다. 한편 Sunix는 Artificial Ascent도 베리파이해야 하기 때문에 Riot과 Mefewe가 그랬던 것처럼 Riot에게 Sonic Wave를 넘겨 주는 것을 약속한다.

그러나 Sunix는 약 35000어템을 투자해 2016년 11월 25일 Sonic Wave를 베리파이한다. 이것은 대단한 업적이고 수많은 팬들을 양성했으나, 이 맵에 굉장한 시간을 쏟아부은 Riot의 약속을 어겼다는 것 때문에 Riot, Mefewe 등의 팬들은 Sunix를 비판하는 쪽이다. Riot을 믿었던 Aurorus도 분노하긴 마찬가지였는데, 그래서 Aurorus는 Sunix가 매크로핵을 사용했다고 저격했다. 하지만 Sunix는 스트리밍으로 플레이했고 해명 영상도 올렸기에 Legit으로 확정되었다. 결국, 15개월의 긴 세월 후에 Sonic Wave가 베리파이, 레이팅 되어 Phobos, Bloodbath, Sakupen Hell, Athanatos를 제치고 포럼 1위를 차지했다.

3. 구간


우선 이 맵이 나써류이기 때문에 모든 구간의 특성이 일반 나인써클맵 구성과 비슷하다.
1구간
0~8% 링크.
첫 번째 구간은 큐브 모드인데, 정확한 타이밍에 공을 밟아야 되는 타이밍 공점 투성이여서 이곳을 지나가기도 까다롭다.
분홍-파랑공점 후에 노란 발판을 밟고 나오는 노란 공점, 그 직후에 나오는 공점 3개 중에서 파란 공점은 상당히 어려운 타이밍을 요구하기에 초보들은 첫 구간부터 막히는 경우가 많다.
또 3단 가시가 있다. 하지만 앞의 타이밍 공점의 난이도와 비교하면 매우 쉬운 편이다.
2구간
9~18% 링크.
두 번째 구간은 비행기 구간이다. 톱니 사이를 지나가는 것도 어렵지만, 위아래의 경사면 구조물 끝에 있는 작은 가시들 사이로 지나가는 것과 17%의 경사면을 탄 직후 알맞게 눌러 톱니를 피하는 컨트롤이 꽤나 어렵다. 그 후는 파란 공점 하나만 빼면 오토인 미니 큐브 구간이다.
3구간
19~28% 링크.
어려운 타이밍 천지의 볼 모드로 이어진다. 이 볼 파트는 앞의 큐브나 비행기 파트와는 차원이 다른 난이도를 자랑한다.
22%의 가시 사이를 지나는 것과 24%의 분홍 공점이 특히 어렵고, 그 후 26~27% 미니 듀얼 볼 파트는 픽셀 단위로 상하에 있는 가시를 아슬아슬하게 4차례 지나가야 한다. 그 후 큐브 상태에서 점프를 한 번 하면 Let's go 라는 글자가 나타나고 웨이브 파트에 진입한다.[25]
4구간
29~42% 링크.
나써맵의 하이라이트인 웨이브 구간의 시작이다. 29~33%는 거의 모든 클릭이 칼타이밍으로 이 맵의 하디스트 구간 중 하나이며, 처음의 두 클릭과 32%의 가시 사이를 지나가는 것이 특히 어렵다.
그 뒤의 미니 웨이브로 톱니 사이를 지나가는 구간은 매우 쉽긴 하지만, 마지막 톱니 이후에 보이지 않는 뒤집어진 경사면이 있어 마지막 톱니에 딱 붙어서 가야 하므로 약간 까다롭다.
그 뒤 노멀 웨이브로 바뀌는데, 36%의 짧은 클릭 컨트롤이 꽤나 어렵고, 37~38%는 그리 어렵진 않지만 방심할 순 없는 간격의 구간이다.
그 후엔 듀얼 소형 웨이브 모드가 나오는데, 칸이 꽤나 많이 넓기 때문에 이 맵의 웨이브 파트 중 가장 쉽다.
5구간
43~55% 링크.
우선 43~45%는 짧게 여러번 일정한 속도로 연타를 하는 구간이다.[26] 처음 이 구간을 접했을 땐 이러한 컨트롤이 미숙해 매우 어려울 수 있으나, 적응하고 나면 꽤나 쉬운 구간이 된다.
그 뒤 46~47%는 별로 어렵진 않은 노말 웨이브 구간이고, 48%의 미니 웨이브 연타를 지나 49%의 매우 좁은 간격으로 들어왔다 나가야 한다. 이 49% 파트가 이 맵의 가장 어려운 구간이며, 앞의 하디스트인 29~30%와는 다르게 싱크도 잘 맞지 않아 더욱 어렵다.
그 후 50~52%는 매우 쉬우며, 53~55%는 간격은 넓어 보이지만 장애물 배치가 까다롭게 되어 있어 은근 자주 걸리는 구간이다.
6구간
56~65% 링크.
앞 뒤 극한의 웨이브 중간에 있는 큐브 모드이다. 큐브 포탈을 지난 후 떨어지는데, 바닥에 닿고 아주 잠깐 있다가 저속으로 2단 가시를 넘어야 한다.
그 후 2배속, 3배속으로 점점 빨라지는데, 공점을 잘 누르면 넘어가지는 쉬운 파트이다.[27] 무작정 연타해도 넘어갈 순 있지만, 운이 나쁘면 죽을 수도 있으니 하나하나 눌러주는 것을 추천한다.
7구간
66~81% 링크.
큐브 모드가 끝난 후 바로 좁은 간격의 장애물을 3배속 웨이브로 통과해야 한다. 29~30%의 간격보단 넓지만, 이 장애물은 맵의 중후반부에 있으므로 꽤 부담스러운 구간이다. 그 후 67%는 저속 웨이브로 좁은 간격을 지나가는데, 한 번씩만 눌러서 지나갈 수도 있고 클릭을 좀 더 추가해 타이밍을 쉽게 한 후 지나갈 수도 있다. 앞의 66%에 비하면 쉬운 편이다.
다음으로는 3배속 듀얼 웨이브인데, 40%의 미니 듀얼 웨이브와 마찬가지로 간격이 매우 넓어 죽을 일이 거의 없다.
72~76%는 3배속 중력반전 웨이브 구간인데, 간격이 매우 좁고 중력반전 상태인 데다가 더블클릭(혹은 칼타이밍)까지 요구해 매우 어려운 구간이다. 72~74%가 어렵고, 75~76%는 직전에 비해선 쉽다.
78%의 톱니 사이로 지나가는 구간은 어려울 게 없으며, 79~81% 미니 웨이브 구간은 간격이 꽤 좁긴 하지만 속도가 느려 할만한 구간이다.
8구간
82~87% 링크.
큐브 미로로, 길을 외운 후에는 웨이브 구간에 비해 상당히 쉽지만, 나름의 칼타이밍이 있어 방심하면 죽을 수 있다. 6구간의 큐브 파트보다는 어려운 편.
9구간
88~100% 링크.
시작부터 칼타이밍을 요구하며, 88~89%가 매우 어렵고, 90~93%는 많이 어렵진 않다.
그 뒤 94%는 미니 웨이브로 경사면과 톱니 사이의 좁은 공간을 통과해야 하는데, 간격이 매우 좁아 이 맵의 또다른 하디스트 구간 중 하나이다.
95~97%는 저속 노멀 웨이브로, 난이도는 쉽지만 긴장을 엄청나게 한 상태에서 지나가야 하기에 주의해야 한다.
마지막은 3배속 소형웨이브로 약 3.5칸 넓이의 통로를 연타해 빠져나가면[28] 클리어.

4. 여담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25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25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604
, 2.1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604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물론 원조를 따라갈 수는 없는 게 원조 Nine Circles는 다운로드 수가 압도적으로 더 많다. 애초에 이런 류의 맵이 나인서클류의 맵이라 불리니 인지도 차이는 당연히 있다.[2] 배경이 번쩍이면서 장애물이 잘 안 보이는 것이 나인써클류의 대표적 특징이다.[3] 현재 Bausha Vortex는 Extended List로 쫓겨나고 말았다(...). 라이벌인 소웨가 20위권을 유지하는 걸 보면 꽤나 비교되는 상황. 그렇게 Arctic Lights, Hyper Paracosm, Aquatic Auroras가 차례차례 포럼에 등재되면서 Bausha Vortex의 순위권 시절은 다시 볼수없게 되었다. 지금은 둘다 레거시라서 상관없다[4] 두 맵 다 그렇지만, 특히 소웨는 엄청난 고수가 아니고서야 웨이브파트 진입도 힘들다.[5] Yatagarasu때부터 시작돼서 다수의 유저들에게 포럼 1위라고 평가되었던 재평가만으로 모두 꺾고, 그걸로 인해 빠지지 않고 논란을 불러일으킨 맵은 Sonic Wave가 유일하다.[6] 다른 역대 1위 맵들의 경우, Athanatos는 핵 관련 논란만 있었을 뿐 난이도에 대해서는 맵 제작중일 때부터 당시 1위인 Bloodbath보다 어렵다는 의견이 지배적이였고, 과대평가 논란이 있던 Digital DescentStalemate Redux는 1주일도 안 돼서 내려왔으며 나머지 맵들은 난이도 관련해서 큰 논란이 없었다. 그나마 Bloodbath가 과대평가 논란이 꽤 오래 있었지만 Sakupen Hell에게 결국 1위를 내준 후로는 두 번 다시 1위로 올라오지 못했다.[7] Yatagarasu, Erebus, Plasma Pulse Finale, Gamma.[8] 과거 삼대장이 Bloodlust, Plasma Pulse Finale, Spacial Rend, Gamma 등 최신 익스트림 데몬에게 추월당함에 따라, 갈수록 상향평준화가 얼마나 심한지 느낄 수 있는 상황이다. 다만 이것도 몇 년 전 상황이고 시간이 더 지난 지금은 구 RGB 트리오는 140~170위에 위치해있으며 Bloodlust, PPF, Gamma는 각각 100위, 150~170위권대에 위치해있다.[9] 그는 처음 깼을 때 녹화를 못하여서 영상에 대한 기록은 없다.[10] 한국 최초 클리어 유저다![11] 한국 세번째 클리어 유저다![12] 어템을 이만큼 소비한 만큼 난이도가 엄청나게 어려운 맵이다.[13] Noctafly는 클리어한 어템수가 약 5,000번으로 제일 적었으나, Noctafly의 핵 자백으로 인해 이 기록은 지워졌다. 현재 그 기록은 Wolvez가 2167(!!)어템으로 그 기록을 가져갔다. 가장 어템을 많이 소비한 플레이어는 J4ke으로 약 53,000이상의 어템을 썼다...만 17번 클리어 한거니... 클리어 하지는 못했지만 Riot은 13만 어템을 썼다고 한다. 개인차.[14] 여담으로 다음 목표는 Erebus라고 하는것을 보아 오랫동안 순위경쟁을 하던 맵들인 Erebus, Yatagarasu, Sonic Wave를 전부 클리어할 생각인것 같다. 그리고는 현재는 Yatagarasu를 제외하고 두개의 맵을 전부 클리어하였다![15] 그러나 fps bypass 핵을 썼다.[16] 전닉 Cosine(Team N2 멤버중 한 명으로 실력이 매우 뛰어나다.)[17] Knobbelboy의 Bloodlust 베리파이 당시 12만 어템의[18] 2023년 8월 Vision이 Silent clubstep을 깨는데 82만 어템을 쓰기 전까지는 4년 이상 단일 익스트림 데몬 클리어에 소요된 어템 최고기록이었다. 지금에 와서도 60만 어템을 넘기는 유저는 거의 없다시피하다.[19] 처음에는 74%를 달성했으나 이후에 클리어하였다.[20] Bloodlust도 동시에 Extended로 떨어졌다(...).[21] 버그 때문에 실제로는 34%에서 플루크.[22] 노트북을 통해 지메를 플레이하고 있었는데, 지인에게 노트북을 줘야 할 상황이 와서 최대한 빨리 Sonic Wave를 베리파이했어야 했지만, 그러지 못하여 핵을 사용했다고 자백했다. 추가로 1.2 시절 sohn0924가 버그를 통해 업로드한 극악맵 The Hell Zone의 리메이크 맵도 베리파이어가 Cyclic이었는데, 이 맵 역시 같은 이유로 핵을 사용했다고 밝혔다.[23] Mefewe가 파던 버전은 현재 버전과는 차원이 다르게 버프된 버전이므로, 이 기록이 Sunix의 베리파이보다 어렵다. 만약 이 때 Mefewe가 베리파이에 성공하였다면 포럼의 역사가 크게 바뀌었을 것이라는 말이 나올 정도. 결과적으로 Mefewe의 98% 기록은 지메 역사상 최악의 fail 중 하나로 남게 되었다.[24] 원본 Sonic Wave가 비리파이되고 오랜 시간이 지난 현 시점에서, 트러블을 겪던 3개의 리메이크 레벨 모두 우여곡절 끝에 베리파이되어 레이팅까지 완료되었다. 아이러니하게도 세 맵 중 가장 먼저 공개된 SWI는 맵이 여러 번 갈아엎어지며 레이팅되기까지 가장 오래 걸렸고, 가장 늦게 공개된 Auditoy breaker는 2021년에 레이팅된 SWI와 SWR에 비해 매우 이른 시점인 2019년에 레이팅되었다.[25] 여담으로 최근 소웨 업데이트로 시작할 때의 커스텀 공점을 누르면 웨이브 모드에 들어가기 전에 SONIC WAVE라는 문구와 Cyclic과 Sunix의 아이콘이 뜬다.[26] 다만 사실은 손을 뗀 상태에서 연타를 하는것이 아닌, 누르고 있는 상태에서 짧게 뗐다가 다시 눌러서 바닥으로 붙는것을 반복하는 것이다.[27] 60%쯤 있는 파란공점 2개는 누르지 않아도 된다.[28] 이 부분에서 죽은 사람이 Mefewe, Skullo, Korean AF 등으로 생각보다 많다.[29] Sunix가 이 옛 버전 소닉 웨이브인 Old Sonic wave도 클리어해서 베리파이했으나 그 이전에 클리어한 유저도 많다.[30] 현재 버전과는 다르게 맵 최후반부에 있는 GG Mefewe라는 블럭에 가시가 마구 박혀있었는데, 이 가시들을 피하다가 너무 위로 올라가버려서 98%를 먹었다...[심지어] 당시 이 사람이 깬 가장 어려운 레벨은 인데인 windy landscape로 이는 꽤나 큰 도전이기도 했다.포브스 선정 세상에서 가장 큰 난이도 점프를 한 사람 1위[32] 한국인이 아니다.[33] 포럼에 머문(~150위) 기간이라고 쳐도 5년 6개월인데, 이 기간마저 넘겼다.[34] Bloodlust가 2018년 2월 21일날 포럼 1위에 올랐으므로 2023년 10월 기준 기간으로 5년 7개월째 포럼에 있었다. 아쉽게도 3개월을 버티지 못하고 익텐으로 떨어져버렸다.[35] 비공식적으로는 Crimson Planet이 베리파이 이후 6년째 메인급 위치에 있다.(실제로 메인에 있는 기간은 5년이 조금 안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