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8-27 09:18:31

소포클리스 쇼트사니티스

파일:1000073724.jpg
소포클리스 쇼트사니티스
Sofoklis Schortsanitis | Σοφοκλής Σχορτσανίτης
본명 소포클리스 쇼트사니티스
Sofoklis Schortsanitis
출생 1985년 6월 22일 ([age(1985-06-22)]세)
카메룬 티코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그리스|{{{#!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그리스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그리스}}}{{{#!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카메룬|{{{#!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카메룬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카메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신장 208cm (6ft 10in)
체중 172kg (380lbs)
포지션 센터 / 파워 포워드
등번호 21, 15, 5, 18, 12, 6, 22
NBA 드래프트 2003년 2라운드 34순위
로스앤젤레스 클리퍼스 지명
소속 이라클리스 (2000~2003)
칸투 (2003~2004)
아리스 테살로니키 (2004~2005)
올림피아코스 (2005~2010)
마카비 텔아비브 BC (2010~2012)
파나티나이코스 (2012~2013)
마카비 텔아비브 BC (2013~2015)
KK 츠르베나 즈베즈다 (2015)
파옥 (2015~2016)
트리칼라 아리스테라스 (2017~2018)
이오니코스 니카이아스 (2019~2020)

1. 개요2. 선수 경력
2.1. 클럽2.2. 국가대표
3. 플레이 스타일4. 수상 내역5. 여담

1. 개요

그리스카메룬농구 선수로, 포지션은 센터이다. 유로 리그에서 활약했다.

별명은 베이비 샤크, Big Sofo 등이 있다.

2. 선수 경력

2.1. 클럽

카메룬의 항구 도시 티코에서 그리스인 아버지와 카메룬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난 소포클리스 쇼트사니티스는 어린 나이에 어머니와 함께 그리스로 이주했다. 그는 남동생 알렉산드로스를 두고 있다. 그는 카발라에서 성장했으며, 부모는 그에게 농구를 해보라고 권했다. 처음에는 내켜 하지 않았고 이 스포츠를 싫어했지만, 꾸준한 연습을 거듭하면서 점차 열정을 키워 나갔다. 그의 재능은 곧 스카우트와 코치들의 눈길을 사로잡았고, 결국 그는 농구를 진지하게 받아들이게 되었다.

2000-01 그리스 리그 시즌에 이라클리스에서 프로 농구 선수로 데뷔했다. 17세였던 2002-03 시즌에는 경기당 평균 11.5득점과 6.2리바운드를 기록했다. 그러나 2003-04 시즌 이탈리아 칸투에서 뛸 때는 경험 부족과 미성숙함으로 부진한 성적을 냈다. 그는 2004-05 시즌에 그리스로 돌아와 아리스에서 활약했다.

2005-06 시즌, 올림피아코스로 이적했다. 유로리그 8강에 진출한 팀의 핵심 선수로 활약했으며, 이 모습은 파나기오티스 지아나키스 감독에게 깊은 인상을 주었다. 그 결과 시즌 종료 후 그리스 남자 농구 국가대표팀에 발탁되었다.

이후 2년 동안 꾸준함을 유지하지 못했고, 만성적인 체중 문제가 다시 드러나면서 2007-08 시즌 대부분을 결장했다. 그러나 2008-09 시즌에는 몸 상태를 회복하며 올림피아코스가 유로리그 파이널 포어에 오르는 데 기여했다. 2009-10 시즌에는 더욱 발전된 기량을 보여주며 올림피아코스에서 가장 성숙한 활약을 펼쳤다. 하지만 클럽은 유로리그 결승에서 후안 카를로스 나바로리키 루비오가 이끄는 바르셀로나에 86-68로 패했다.

2010년 8월 5일, 당시 유로리그 5회 우승을 차지한 이스라엘 프리미어리그의 마카비 텔아비브와 2년 계약을 맺었다. 제레미 파르고, 척 에이드슨, 도론 퍼킨스와 함께한 그의 존재는 팀이 2011년 유로리그 결승에 오르는 데 큰 힘이 되었으나, 디미트리스 디아만티디스가 이끄는 파나티나이코스에 78-70으로 패했다. 그는 유로리그 2010-11 시즌 동안 경기당 평균 12득점, 4.1리바운드, 1어시스트를 기록하며 올 유로리그 퍼스트 팀에 선정되었다.

2011-12 시즌, 그는 만성적인 무릎 부상으로 경기력이 크게 저하되어 그해 여름 국가대표팀에 합류하지 못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마카비가 유로리그 8강에 진출하는 데 기여했으나, 파나티나이코스에 3승 2패로 밀려 탈락했다.

2012년 7월 4일, 그는 그리스 클럽 파나티나이코스와 3년 계약을 체결했다. 순수 보수는 150만 유로였다. 그는 바스코니아 비토리아와 갈라타사라이 등에서 더 높은 제안을 받았지만, 고국으로 돌아와 파나티나이코스에서 뛰고 싶다는 열망을 선택했다. 그러나 2013년 7월, 구단은 그가 더 이상 소속 선수로 뛰지 않을 것이라고 발표했다.

2013년 7월 10일, 그는 파나티나이코스를 떠난 뒤 다시 마카비로 복귀해 이스라엘 프리미어리그 챔피언과 3년 계약을 체결했다. 복귀 첫 시즌에 팀은 유로리그 결승에서 우승을 차지했고, 이는 그의 커리어 첫 유로리그 챔피언십이었다. 그는 그 시즌 유로리그에서 29경기에 출전해 평균 14.2분 동안 9.6득점과 2.6리바운드를 기록했다.

2015년 8월 2일, 그는 세르비아 클럽 츠르베나 즈베즈다와 1년 계약을 맺었다. 그러나 2015년 10월 28일 구단과 결별했다. ABA 리그 2015-16 시즌에서 6경기에 출전해 평균 4.8득점과 2.5리바운드를 기록했다.

2015년 11월 2일, 그는 시즌 종료까지 그리스 클럽 파옥과 계약했다. 유럽 2부 리그인 유로컵 2015-16 시즌에서 경기당 평균 13.4득점, 4.4리바운드, 1.8어시스트를 기록했다.

2016년 12월, 그는 그리스 클럽 아폴론 파트라스에 입단했다. 그러나 12월 28일 팀 훈련 도중 아킬레스건 파열이라는 중상을 입었다. 이 부상으로 2016-17 시즌 그리스 리그 잔여 경기에 출전하지 못했고, 결국 아폴론 소속으로 한 경기에도 나서지 못했다.

2017년 10월 18일, 그는 경기에 복귀해 2017-18 시즌 동안 그리스 바스켓 리그의 아리스 트리칼라에 합류했다. 2018년 1월 6일, 레팀노 크레탄 킹스와의 경기에서 데뷔해 벤치에서 출전하며 6득점과 1리바운드를 기록했으나 팀은 76-86으로 패했다.

2019년 7월 24일, 그는 그리스 바스켓 리그 2019-20 시즌을 위해 이오니코스 니카이아스와 계약했다.

2020년 12월 10일, 그는 프로 농구 선수로서 은퇴를 발표했다. 이로써 2003년 NBA 드래프트 클래스 중 NBA에서 한 번도 뛰지 않은 11명의 선수 중 한 명으로 남게 되었다.

2.2. 국가대표

2001년 FIBA 유럽 U-16 챔피언십에 출전했으며, 2002년 FIBA 유럽 U-18 챔피언십에서 동메달, 2003년 FIBA U-19 월드컵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 또한 2002년 알베르트 슈바이처 U-18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는 금메달과 MVP를 차지했다.

친선 경기와 예선을 거쳐 성인 국가대표팀에 데뷔한 그는 2006년 일본에서 열린 FIBA 세계 선수권 대회를 통해 첫 메이저 대회에 출전했다. 준결승에서 미국을 101-95로 꺾고 은메달을 따내는 것에 크게 기여했으며, 이 경기에서 17분 동안 14득점을 기록했다. 이후 2008년 베이징 올림픽에도 출전했다.

2009년 폴란드에서 열린 유로바스켓에서 그는 슬로베니아를 상대로 한 동메달 결정전에서 결정적인 활약을 펼쳤다. 야투 성공률 78%로 23득점을 기록했고, 6리바운드와 2블로킹을 올리며 12개의 파울을 얻어냈다. 그는 또한 2010년 FIBA 세계 선수권 대회에도 출전했다.

3. 플레이 스타일




공격에서는 로우 포스트에서, 수비에서는 림과 페인트존을 지키는 전형적인 올드스쿨 스타일의 센터였다. 공식 경기 체중이 무려 172kg로 기록되었을 정도로 최상급의 파워를 갖춘 선수였다.

4. 수상 내역

유로리그 챔피언(2014)
올 유로리그 퍼스트 팀(2011)
FIBA 유로스타 (2007)
그리스 리그 챔피언(2013)
그리스 컵 우승 2회 (2010, 2013)
올 그리스 리그 팀 (2006)
그리스 올스타 6회 (2005, 2006, 2007, 2010, 2013, 2020)
그리스 올스타전 MVP 2회 수상 (2006, 2010)
그리스 리그 명예의 전당 (2022)
아드리아 리그 챔피언(2012)
이스라엘 슈퍼리그 우승 3회 (2011, 2012, 2014)
이스라엘 주립 컵 4회 우승 (2011, 2012, 2014, 2015)
알베르트 슈바이처 18세 이하 월드 토너먼트 MVP (2002)
아크로폴리스 토너먼트 MVP (2010)

5. 여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