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15 05:07:10

반동 작동식

쇼트 리코일에서 넘어옴
1. 개요2. 종류
2.1. 장주퇴 방식2.2. 단주퇴 방식2.3. 혼합주퇴 방식

1. 개요

Recoil-operated. 반자동/자동 총기의 작동 방식의 하나를 말하며, 가스 작동식과 함께 자동화기의 대표적인 작동 방식이다. 가스 작동식이 총탄 발사시에 나오는 가스를 이용해서 탄을 재장전 하는 것이라면, 반동작동식은 실탄 발사시에 생기는 반동과 주퇴복좌용 스프링의 힘을 이용해 다음 실탄을 자동으로 재장전되도록 하는 방식이며, 반동 대부분은 탄피를 밀어내는데 쓰이고, 총열 전체 또는 일부가 노리쇠 쪽으로 후퇴하며 잠겨있는 노리쇠를 후퇴시킨 후, 스프링의 힘으로 노리쇠를 다시 앞으로 전진시키며 차탄을 장전한다.

아이디어는 1883년 하이럼 맥심이 화포의 주퇴복좌기의 작동 원리를 참조하여 맥심 기관총을 발명하는 과정에서 나왔으며 가스 작동식이 완성되기 전까지 자동화기 작동방식의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었다. 하지만 가스작동식이 보편화되고선 개인화기 영역에서는 거의 사장된 방식이다.

반동 작동식을 사용하는 최초의 총기는 미국계 영국인인 하이럼 맥심이 만든 맥심 기관총이였으며, 개인화기로는 1896년 개발된 마드센-라스무센 1896이 있다.[1]

가스 작동식과 달리 가스관을 넣을 공간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구조가 가스 작동식보다 상대적으로 단순하며, 특히 권총에 많이 사용되는 방식이다.[2]

거의 모든 현대 자동화기가 가스 작동식 구조를 기반으로 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구조적인 단순함 때문에 권총 같은 소형 화기나 대물저격총, 대포 같은 대구경 포탄을 사용하는 무기에서는 아직까지도 사용하고 있다.

2. 종류

2.1. 장주퇴 방식

흔히 롱 리코일(long recoil)이라고 불리는 방식이다. 격발 후 반동에 의해 총열이 노리쇠하고 같이 끝까지 후퇴한 후,노리쇠에 붙어있는 고정장치가 노리쇠를 후부에 일시 고정 시키면서 총열이 노리쇠와 분리되어 전진하며 탄피를 배출하고, 총열이 앞으로 돌아가고 나서야 노리쇠가 전진하며 차탄을 장전하는 방식이다. 구조가 단순하여 비용이 싸고 개발이 쉬우며 단발 사격의 반동을 길게 후퇴하는 무거운 총열이 받아 준다는 장점이 있지만, 총열이 탄을 발사할 때마다 길게 왕복하는 덕에 연발 사격 시 진동이 크고 명중률이 낮은 것과 길게 왕복하는 부품이 많아서 내구성과 연사력이 낮아진다는 단점이 있다.

프랑스가 1차 대전 때 개발했던 쇼샤가 바로 롱 리코일 방식을 사용한 자동화기인데 촉박한 개발시간으로 인하여 시간을 아끼고 대량 공급을 목표로 개발한 무기였다. 문제가 많았던 무기임에도 불구하고 단순함과 상대적으로 저렴한 비용으로 인하여 1차 대전 중에 20만 정 넘게 생산이 됐었다.
이외에도 존 브라우닝이 개발한 Auto-5와 그 정신적 후속작인 레밍턴 11-48, 레밍턴 모델 8 반자동 소총, 헝가리의 자동권총인 프로머 스토프도 이 방식을 차용했다.

구조적인 문제로 인하여 현대 소형 자동화기에서는 사실상 사장된 방식이나, 곡사포 같은 대구경 화포에서는 무지막지한 반동을 견뎌내기 위해 주퇴복좌기를 이용하여 사격을 할 때마다 롱 리코일 방식처럼 포신이 전면 후퇴하는 구조를 채용하고 있다. 다만 그렇다고 롱 리코일을 사용하는 소형 화기가 아주 없어진 것은 아닌데, 현재까지도 롱 리코일 방식을 사용하는 대표적인 화기로는 프랑키 사의 AL-48 반자동 산탄총, 헝가리의 불펍식 대물 저격총 M6 Lynx가 있다. 공통적으로 사람이 받아내기엔 큰 편인 반동을 가지며, 단발 사격하는 화기란 걸 알 수 있다. 이 외엔 러시아의 30mm 기관포인 2A72가 롱 리코일 작동 방식을 사용한다. 같은 30*165mm 탄약을 사용하지만 가스 작동식에 최대 연사율이 550~800발/분으로 빠른 2A42에 비해, 경량화/단순화/저반동화에 중점을 두고 롱 리코일 작동 방식을 채택하였다. 300~330발/분의 낮은 연사율을 가지지만, 반동력을 평균 20톤에서 7톤으로 크게 줄여 포 자체에 더해 마운트까지도 경량화가 용이하게 만든 것이 특징이다.

2.2. 단주퇴 방식

쇼트 리코일(short recoil)방식이라고도 하며, 격발 후 반동에 의해 총열이 노리쇠와 결합되어 함께 후퇴하다가, 도중에 노리쇠와 분리되어 총열은 후퇴를 멈추고, 노리쇠만이 뒤로 끝까지 가서 차탄을 장전하는 구조다. 구조는 롱 리코일 방식에 비해 복잡하지만 총의 내구성을 깎아먹지 않고 명중률에도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반동흡수라는 리코일 방식 특유의 장점 덕에 근현대 반동 작동식 자동, 반자동 화기의 대부분은 쇼트 리코일 구조로 이루어져있다.

대표적으로 근대의 화기를 꼽자면 맥심 기관총이 있으며 주변국에서 맥심 기관총의 영향을 받아 제작한 기관총들도 다 이 방식을 따르고 있다. 나치독일이 개발한 MG34MG42, 그리고 존 브라우닝이 개발한 M1917 브라우닝기관총과 이의 파생형 또한 쇼트 리코일 구조를 따르고 있다. 덴마크에서 개발한 반자동 소총인 마드센-라스무센 1896도 쇼트 리코일 방식이다.

현대에 와서는 가스작동식이 대세가 되면서 권총을 제외한 소형 자동화기에서는 거의 사라진 방식이지만, 짧게나마 후퇴하는 총열이 반동을 흡수한다는 장점 덕에 대구경 화기에서는 현대에도 종종 쓰이고 있는 장전방식이다. 비교적 최근 이를 채택한 경우로는 바렛 M82Mk.47 고속유탄기관총가 대표적인 화기이다. 반면 자동권총에서는 최초로 자동권총이 개발되던 시절부터 지금까지 쇼트 리코일 방식이 대세이다. 자동권총이 처음 개발될 당시에도 맥심 기관총의 토글 작동 구조를 참고한 보르하르트 C93이나 이의 완성형인 루거 P08이 쇼트 리코일 방식을 채택하였고, 경쟁작이면서 주로 기병용 시장을 공략한 마우저 C96도 쇼트 리코일 구조를 채택하였다. 이후 M1911 권총에서 총열이 살짝 위아래로 기울어지며 폐쇄가 풀리는 브라우닝식 쇼트 리코일 방식이 처음 실용화 되고, 브라우닝 하이파워에서 총열을 기울이는 캠이 총열과 하나의 부속으로 통합되어 완성된 이후 전 세계 대부분의 9mm 파라블럼 내지.45 ACP 이상급 군용 권총탄을 사용하는 자동권총들은 브라우닝 쇼트 리코일 작동 구조를 채택하였다. 작동 구조 자체는 너도 나도 브라우닝 쇼트 리코일을 갖다 쓰되, 총몸 재질(강철제, 알루미늄제, 폴리머제 등)/격발 방식 및 방아쇠 그룹(싱글액션, 더블액션/싱글액션, DAO, 패스트액션, 해머리스 스트라이커 등)/안전 장치(수동 안전장치, 그립 세이프티와 같은 자동 안전장치 등) 등 각종 인터페이스에서만 차이가 나는 게 대부분이다. 탄두가 강선에 물려 회전하는 반작용력으로 총열이 회전하며 폐쇄가 풀리는 베레타 Px4 Storm, 총열은 앞뒤로만 움직이고 총열이 후퇴할 때 총열 옆의 레버가 내려가며 폐쇄가 풀리는 발터 P38 및 이의 영향을 받은 베레타 M9 등 작동 구조가 브라우닝 쇼트 리코일이 아닌 경우도 왕왕 있긴 하나, 어쨌든 쇼트 리코일인 건 매 하나. 아예 쇼트 리코일 이외의 작동 방식[3]을 쓰는 경우는 .380 ACP나 9mm 마카로프 이하 급의 약한 탄을 사용하여 권총 슬라이드 정도의 무게로도 블로우백 방식을 구현하기 적합한 경우가 대부분이다.[4] 이보다 강한 군용 권총탄들은 H&K P7처럼 별난 지연 요소가 들어간 지연 블로우백 방식을 쓰거나, 기관단총 정도의 무게는 되어야 블로우백 방식 노리쇠를 쓸 수 있으므로 권총으로 만들 때는 그냥 쇼트 리코일 작동 구조를 쓰는 것이다.

2.3. 혼합주퇴 방식

말 그대로 장주퇴와 단주퇴 장전이 결합된(mixed recoil)방식이며, 이 구조가 적용된 방식은 현재까지도 마드센 경기관총이 유일하다.


[1] 다만 소총 같은 경우는 만리허가 최초로 그 개념을 제시하였다.[2] 다만 데저트 이글 같은 경우는 총의 특성상 권총임에도 불구하고 가스작동식과 회전노리쇠 구조를 사용하고 있다.[3] 이 경우 주로 블로우백 방식이다.[4] 아니면 데저트 이글처럼 소총탄 싸대기 때리는 고위력탄을 써서, 가스 작동식으로 만들기에 가스압이 충분하고 슬라이드와 총의 무게도 권총이라기엔 크고 아름다운 경우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