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30 22:23:24

수고


파일:나무위키+유도.png  
ㅅㄱ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ㅅㄱ로 이루어진 한 글자(ㅺ)에 대한 내용은 ㅅ계 합용병서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수원고등학교에 대한 내용은 수원고등학교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김성규의 팬미팅 ㅅㄱ에 대한 내용은 ㅅㄱ(팬미팅)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1.1. 인사말
1.1.1. 존댓말 논란
1.2. 인터넷에서1.3. 일본어의 사례
2. 樹高3. 邃古4. 후한 말의 흑산적 眭固

1.

일 하느라 힘을 들이고 애를 씀.

한자대로 해석하면 '고통을 받는다'가 된다. 석보상절중세 한국어 문헌에서는 단어 그대로 '고통을 받는다'는 뜻으로 쓰였지만,[1] 점차 '애쓰다'에 가깝게 의미가 변화하게 되었다.

현대 한국어에서는 일을 마치고 나서 동료에게 '수고하셨습니다', '수고하세요' 등의 인사말을 사용하곤 한다.

온라인상에서는 초성만 남겨 'ㅅㄱ', 'ㅅㄱㅇ' 라고 쓰기도 한다.[2]

1.1. 인사말

보통 업무상 만나는 관계에서 헤어질 때의 인삿말로 수고라는 단어를 많이 쓴다. 다만 단어 본래의 뜻부터가 "고통을 받다" 라는 의미이기에, 아래와 같은 논란이 존재한다.

1.1.1. 존댓말 논란

'수고하셨습니다.'와 '수고하세요.'는 동년배나 아랫사람에게는 쓸 수 있어도, 윗사람에게 쓰기엔 부적절한 말이라는 인식이 있다. 국립국어원에서는 이러한 인식을 받아들여 되도록 다른 말을 쓰도록 권하며, 상황에 따라 '애쓰셨습니다' '노고가 많으셨습니다'[3] '고맙습니다' '안녕히 가세요' '안녕히 계세요' '먼저 가보겠습니다' '내일 뵙겠습니다'등을 제안한다.[4][5]

'수고하셨습니다', '수고하세요'를 윗사람에게 쓰면 안 된다고 주장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수고하세요'는 힘들게 일이나 하라는 뜻으로 받아들여질 수 있으며, '수고하셨습니다'는 윗사람에 대한 평가로 받아들여질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인사말은 그 표면적 의미와 상관없이 관용적으로 굳어져 쓰이는 경우가 있음을 고려하면, 상기한 인사말들이 실제 언어생활에서 널리 쓰인다면 인정하지 못할 것은 없다. 예를 들어 웃어른이 귀가했을 때 '다녀오셨어요?' 하는 말은 정말 돌아온 것인지 몰라서 묻는 말이 아니라, 귀가한 어른을 맞이할 때 성의를 표하는 말이다.

관용적인 단어의 예시로 다른 언어에는 더욱 극단적인 경우가 있다. 일본어의 낮 인사인 '곤니치와(今日は)는 직역하면 '오늘은'이라는 말이 되는데, 역시 표면적 의미에서 멀어져 관용적으로 인사로 쓰이는 것이다.[6] 영어에서는 Thank you for your efforts. 라고 말할 수 있다.

게다가 "수고하세요"가 결례라는 주장은 일리가 있어도 "수고하셨어요"가 결례라는 인식은 너무 나갔다는 의견도 많다. 어디가 문제점인지 명확한 수고하세요에 비해, 수고하셨다는 말은 상대의 노고를 인정하고 칭찬하는 말이라 오히려 수고하세요와는 정 반대의 의미이다. 긍정적인 평가까지 결례적인 표현에 들어간다면 "잘하셨어요", "훌륭하십니다", "큰 일을 해내셨네요" 등의 말도 전부 쓰면 안 되며, 실제로는 "수고하세요"는 사실 무례한 표현이다. → '수고'라는 단어가 들어가면 무례한 표현이다. → "수고하셨어요"도 무례한 표현이다. 라는 단순한 삼단논법에 의해 무례하다고 인식하는 사람이 많다. [7]

거기다 이 점을 지적하면서 바꿔 부를 것을 요구하는 견해에서 곧잘 웃사람에게 쓸 때의 대체안으로 내세운 게 다른 것도 아니고 "고생하세요"인지라 직관성이 더더욱 떨어진다. '수고하세요'나 '고생하세요'나 뉘앙스적으로는 별 차이도 없을 뿐더러, 오히려 불쾌감만 놓고 보면 뜻이 조금 더 직관적인 '고생하세요'가 더 상대한테 일이나 더 하고 가라는 뜻으로 받아들여지기가 쉬운지라, 대체 뭔 기준으로 고생하세요 쪽을 존댓말로 주장하는 건지를 알 수가 없다. 사실 국립국어원에서도 이때문에 그냥 둘 다 쓰지 말고 웃사람에게 하는 인삿말로는 '내일 뵙겠습니다'나 '먼저 가보겠습니다' 같은 말만 쓸 것을 권장하고 있지만, 이상하게도 한국 사회에서는 고생하세요가 올바른 표현이라고 알고 있는 사람들이 많다.

언어는 사회적인 약속에 기초하는데, 어떤 개인이 특정 낱말이나 어구를 특정 의미로 쓰고 싶다고 해서 무작정 쓸 수 없는 것이다. 사회의 절대 다수가 특정 표현을 특정 의미로 받아들이고 이를 자주 써야 올바른 표현으로 인정받을 수 있다.

어느 논문[8]에서는 '수고하십시오'와 같은 표현을 쓰지 않도록 체계적인 교육 시스템을 마련할 것을 제언하였다.

1.2. 인터넷에서

보통 'ㅅㄱ'로 줄여쓴다.

현실에서와 마찬가지로 상황에 따라 쓰이는 용도와 어감이 완전히 다른데, 서로 어떠한 결과에 만족하여 진심으로 수고 많았다는 의미나 헤어질때의 간단한 인사로 사용하기도 하지만, 상대와의 사이가 험악한 경우에는 "그래, 어디 한번 잘 해 봐라"라는 조롱의 의미로 쓰이는 경우도 있다.

문장 끝에 붙이는 경우 "내 말이 맞고 반박을 수용할 생각은 없음" 이라는 뜻으로 쓰이기도 한다.

1.3. 일본어의 사례

일본어에서도 이런 논란이 있다. 수고나 고생의 의미로 쓰는 단어로 오츠카레(お疲れ)와 고쿠로(ご苦労)가 있는데, 보통 오츠카레가 위아래를 가리지 않고 범용적으로 쓰이고 고쿠로는 윗사람이 아랫사람에게 쓰는 뉘앙스가 있다. 하지만 한국어에서와 마찬가지로 원래는 둘 다 윗사람에게는 쓰는 말이 아니기에 오츠카레를 써도 언짢아 하는 사람이 종종 있다.

일어 회화 수업에서는 이러한 연유로 윗사람에게는 둘 다 쓰지 말고 “고마웠습니다(ありがとうございました)” 등을 쓰라고 가르치기도 한다.

물론 오츠카레, 더불어 고쿠로라는 표현까지 위아래를 가리지 않고 일상적으로 나오는 등 심각하게 생각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가끔씩 거론하는 정도이다. 게다가 실제로는 뒤에 사마를 붙여 존칭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압도적으로 많다.

2. 樹高

한자 뜻 그대로 수목의 고도, 즉 나무의 키를 의미한다. 실생활에서도 나무의 크기에 대해 말한다면 키를 가장 먼저 언급하는 것처럼 식물들을 식재하는 과정에서도 교목, 관목등을 가리지 않고 가장 중요하게 다루는 요소라고 볼 수 있다.

참고로 지구상에 존재하는 나무중 가장 높은 수고를 가진 나무는 미국 캘리포니아주 레드우드 국립공원에 있는 세쿼이아속 레드우드종의 나무 하이페리온으로 그 높이가 약 115.61m(379.3피트)에 육박한다.[9] 이런 엄청난 수고를 가진 나무들은 일반적인 나무들처럼 뿌리의 수분을 수관의 힘만으로 전체에 전달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그 윗부분은 안개에서 수분을 얻어 생장한다는 특징이 있다.

3. 邃古

한문투로 '아득한 옛날'을 이르는 말. 邃古時代(수고시대)라고 하면 '먼 옛날 시대'라는 뜻이다.

4. 후한 말의 흑산적 眭固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수고(삼국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중국어나 일본어에서는 해당 한자어가 여전히 이 뜻으로 사용된다.[2] 보통 이런 경우에는 인터넷 상에서 상대를 놀릴엿먹일때 사용한다.[3] 근데 정작 노고는 수고스럽게 힘들이고 애쓰는 것을 말하기 때문에 수고하셨습니다와 다를 바가 없다.[4] 표준 언어 예절 - 일상생활의 인사말 (국립국어원, 2011) 171-172쪽 내용 참고[5] https://www.korean.go.kr/front/onlineQna/onlineQnaView.do?mn_id=216&qna_seq=180939https://www.korean.go.kr/front/onlineQna/onlineQnaView.do?mn_id=216&qna_seq=160557https://twitter.com/urimal365/status/152278668733980672[6] 참고로 '오늘은'은 今日は(쿄-와)가 대체했다.[7] 물론 삼단논법이 그렇듯 전제가 잘못될 경우 도출된 결론 또한 잘못될 수 있다. 때문에 수고라는 단어가 들어가면 무례한가라는 부분에 대해 논란이 있다.[8] 박창균,임칠성(2010). 인사말의 '표준 화법' 실태 조사 연구. 화법연구, 16(0), 227-258.[9] 자유의 여신상(약 93.1m)보다 22m나 더 높으며 사실상 수명이 절반이상 남은 상태라 더 성장하고 있는 상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