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26 01:55:46

숙명여자대학교/학부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숙명여자대학교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의 대학별 학부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가톨릭대학교 앰블럼.svg 가톨릭대학교/학부 파일:감리교신학대학교 UI.svg 감리교신학대학교/학부 파일:건국대학교 앰블럼.svg 건국대학교/학부 파일:경기대학교 로고.svg 경기대학교/학부
파일:경희대학교 로고.svg 경희대학교/학부 파일:고려대학교 심볼.svg 고려대학교/학부 파일:광운대학교 엠블럼.svg 광운대학교/학부 파일:국민대학교 엠블럼.svg 국민대학교/학부
파일:덕성여자대학교 상징.svg 덕성여자대학교/학부 파일:동국대학교 심볼.svg 동국대학교/학부 파일:동덕여자대학교_UI.svg 동덕여자대학교/학부 파일:명지대학교 엠블럼.svg 명지대학교/학부
파일:삼육대학교 UI.svg 삼육대학교/학부 파일:상명대학교 엠블럼.svg 상명대학교/학부 파일:서강대학교 심볼.svg 서강대학교/학부 파일:서경대학교 심볼.svg 서경대학교/학부
파일:서울과학기술대학교 심볼.svg 서울과학기술대학교/학부 파일:서울교육대학교 교표.svg 서울교육대학교/학부 파일:서울대학교 로고.svg 서울대학교/학부 파일:서울시립대학교 엠블럼.svg 서울시립대학교/학부
파일:서울여자대학교_UI.svg 서울여자대학교/학부 파일:성공회대학교 UI.svg 성공회대학교/학부 파일:SKKU_Emblem.svg 성균관대학교/학부 파일:성신여자대학교 엠블럼.svg 성신여자대학교/학부
파일:세종대학교 교표.svg 세종대학교/학부 파일:숙명여자대학교 엠블럼.svg 숙명여자대학교/학부 파일:숭실대학교 엠블럼.svg 숭실대학교/학부 파일:연세대학교 문장.svg 연세대학교/학부
파일:이화여자대학교 심볼.svg 이화여자대학교/학부 파일:육군사관학교 부대마크.svg 육군사관학교/학부 파일:중앙대학교 엠블럼.svg 중앙대학교/학부 파일:총신대학교 엠블럼.svg 총신대학교/학부
파일:추계예술대학교 엠블럼.svg 추계예술대학교/학부 파일:한국외국어대학교 엠블럼.svg 한국외국어대학교/학부 파일:한국체육대학교 엠블럼.svg 한국체육대학교/학부 파일:한성대학교 엠블럼.svg 한성대학교/학부
파일:한양대학교 로고.svg 한양대학교/학부 파일:홍익대학교_UI_Blue.svg 홍익대학교/학부 }}}}}}}}}

파일:숙명여자대학교 흰색 로고.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대학 정보
{{{#!wiki style="margin: -16px -10.5px" 상징 역대 총장 학부 대학원
캠퍼스 출신 인물 학교 생활 이모저모 }}}
재학생 정보
{{{#!wiki style="margin: -16px -10.5px" 동아리 리더십그룹 }}}
관련 기관 및 사이트
{{{#!wiki style="margin: -16px -10.5px" 숙명여자대학교 홈페이지 중앙도서관 }}}
}}}}}}}}} ||

파일:숙명여자대학교 엠블럼.svg 숙명여자대학교의 단과대학
문과대학 공과대학 생활과학대학
사회과학대학 음악대학
약학대학 미술대학
영어영문학부 미디어학부



기호 설명
공학
한국공학교육인증원(ABEEK)의 인증을 획득한 학과임
교직
교직과정 설치 학과임
약학
한국약학교육평가원(KACPE)의 인증을 획득한 학과임

1. 개요

숙명여자대학교 학부의 각 단과대학과 전공에 관한 문서이다.

참고로 총 11개의 단과대학과 3개의 독립학부(미디어학부, 글로벌서비스학부, 영어영문학부)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15개의 연계전공 과정이 운영되고 있다. 대학원은 일반대학원, 특수대학원, 전문대학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2. 단과대학

2.1. 문과대학

문과대학
College of Liberal arts
학부 / 과 전공
한국어문학부
교직
국어국문학전공
국제한국어교육전공
미디어문예창작전공
역사문화학과
교직
역사문화학과
프랑스언어·문화학과
교직
프랑스언어·문화학과
중어중문학부
교직
중어학전공
중문학전공
통번역전공
독일언어·문화학과
교직
독일언어·문화학과
일본학과
교직
일본학과
문헌정보학과
교직
문헌정보학과
교육학부 교육경영전공
교수학습자전공
문화관광외식학부 문화관광학전공
르 꼬르동 블루 외식경영전공

2.2. 이과대학

파일:숙명여자대학교 엠블럼.svg 이과대학 홈페이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숙명여자대학교/학부/이과대학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이과대학
College of Math & Science
학부 / 과 전공
화학과
교직
화학과
생명시스템학부[1]
교직
생명시스템학부
수학과
교직
수학과
통계학과 통계학과
체육교육과 체육교육과
무용과 한국무용전공
발레전공
현대무용전공

2.3. 공과대학

파일:숙명여자대학교 엠블럼.svg 공과대학 홈페이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숙명여자대학교/학부/공과대학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공과대학
College of Engineering
학부 / 과 전공
기계시스템학부 기계시스템학부
화공생명공학부 화공생명공학부
기초공학부 기초공학부
소프트웨어학부 컴퓨터과학전공
교직
SW융합전공
ICT융합공학부 IT공학전공
전자공학전공
응용물리전공
교직

2.4. 생활과학대학

파일:숙명여자대학교 엠블럼.svg 생활과학대학 홈페이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숙명여자대학교/학부/생활과학대학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생활과학대학
College of Human Ecology
학부 / 과 전공
가족자원경영학과
교직
가족자원경영학과
아동복지학부
교직
아동복지학부
의류학과
교직
의류학과
식품영양학과
교직
식품영양학과

2.5. 사회과학대학

파일:숙명여자대학교 엠블럼.svg 사회과학대학 홈페이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숙명여자대학교/학부/사회과학대학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사회과학대학
College of Social Sciences
학부 / 과 전공
정치외교학과
교직
정치외교학과
행정학과 행정학과
홍보광고학과 홍보광고학과
소비자경제학과 소비자경제학과
사회심리학과 사회심리학과

2.6. 법과대학

파일:숙명여자대학교 엠블럼.svg 법과대학 홈페이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숙명여자대학교/학부/법과대학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법과대학
College of Law
학부 / 과 전공
법학부 법학부

2.7. 경상대학

파일:숙명여자대학교 엠블럼.svg 경상대학 홈페이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숙명여자대학교/학부/경상대학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경상대학
College of Economics & Business Administration
학부 / 과 전공
경영학부
교직
경영학부
경제학부
교직
경제학부

2.8. 음악대학

파일:숙명여자대학교 엠블럼.svg 음악대학 홈페이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숙명여자대학교/학부/음악대학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음악대학
College of Music
학부 / 과 전공
피아노과
교직
피아노과
관현악과
교직
관현악과
성악과
교직
성악과
작곡과
교직
작곡과

2.9. 약학대학

파일:숙명여자대학교 엠블럼.svg 약학대학 홈페이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숙명여자대학교/학부/약학대학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대한민국의 약학대학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서울 국립 <colbgcolor=#fff,#191919>파일:서울대학교 로고.svg 서울대학교 약학대학
사립 파일:경희대학교 로고.svg 경희대학교 약학대학 · 파일:덕성여자대학교 상징.svg 덕성여자대학교 약학대학 · 파일:동덕여자대학교_UI.svg 동덕여자대학교 약학대학 · 파일:삼육대학교 UI.svg 삼육대학교 약학대학 · 파일:숙명여자대학교 엠블럼.svg 숙명여자대학교 약학대학 · 파일:이화여자대학교 심볼.svg 이화여자대학교 약학대학 · 파일:중앙대학교 엠블럼.svg 중앙대학교 약학대학
인천 사립 파일:가천대학교 엠블럼.svg 가천대학교 약학대학 · 파일:연세대학교 문장.svg 연세대학교 약학대학
경기 사립 파일:가톨릭대학교 앰블럼.svg 가톨릭대학교 약학대학 ·파일:동국대학교 심볼.svg 동국대학교 약학대학 · 파일:SKKU_Emblem.svg 성균관대학교 약학대학 · 파일:아주대학교 엠블럼.svg 아주대학교 약학대학 · 파일:차의과학대학교 심볼.svg 차의과학대학교 약학대학 파일:한양대학교 로고.svg 한양대학교 ERICA 약학대학
강원 국립 파일:강원대학교 엠블럼.svg 강원대학교 약학대학
충남 사립 파일:단국대학교 엠블럼.svg 단국대학교 약학대학
대전 국립 파일:충남대학교 엠블럼(Blue).svg 충남대학교 약학대학
충북 국립 파일:충북대학교 심볼.svg 충북대학교 약학대학
세종 사립 파일:고려대학교 심볼.svg 고려대학교 세종캠퍼스 약학대학
부산 국립 파일:부산대학교 심벌마크.svg 부산대학교 약학대학
사립 파일:경성대학교 UI.svg 경성대학교 약학대학
대구 국립 파일:경북대학교 엠블럼.svg 경북대학교 약학대학
사립 파일:계명대학교 로고.svg 계명대학교 약학대학
경북 사립 파일:대구가톨릭대학교 엠블럼.svg 대구가톨릭대학교 약학대학 · 파일:영남대학교 엠블럼.svg 영남대학교 약학대학
경남 국립 파일:경상국립대학교 엠블럼.svg 경상국립대학교 약학대학
사립 파일:인제대학교 로고.svg 인제대학교 약학대학
광주 국립 파일:전남대학교 교표.svg 전남대학교 약학대학
사립 파일:조선대학교 엠블럼.svg 조선대학교 약학대학
전남 국립 파일:목포대학교 심볼.svg 목포대학교 약학대학 · 파일:순천대학교 엠블럼.svg 순천대학교 약학대학
전북 국립 파일:전북대학교 엠블럼.svg 전북대학교 약학대학
사립 파일:우석대학교 UI.svg 우석대학교 약학대학 · 파일:원광대학교 엠블럼.svg 원광대학교 약학대학
제주 국립 파일:제주대학교 엠블럼.svg 제주대학교 약학대학
}}}}}}}}} ||
약학대학
College of Pharmacy
학부 / 과 전공
약학부
약학
-

2.10. 미술대학

파일:숙명여자대학교 엠블럼.svg 미술대학 홈페이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숙명여자대학교/학부/미술대학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미술대학
College of Fine Arts
학부 / 과 전공
시각·영상디자인과 -
산업디자인과 -
환경디자인과 건축전공(4년제), 공간환경디자인전공
공예과 금속, 도자, 섬유, 목칠
회화과 -

2.11. 글로벌융합대학

파일:숙명여자대학교 엠블럼.svg 글로벌융합대학 홈페이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숙명여자대학교/학부/글로벌융합대학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글로벌융합대학
Division of International Convergence
학부 / 과 전공
글로벌융합학부 글로벌융합학부
Division of Global Convergence

2024년 신설되었다. 정원 외로만 모집한다.

2.12. 글로벌서비스학부

파일:숙명여자대학교 엠블럼.svg 글로벌서비스학부 홈페이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숙명여자대학교/학부/글로벌서비스학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글로벌서비스학부
School of Global Service
전공
글로벌협력전공
앙트러프러너십전공

2.13. 영어영문학부

파일:숙명여자대학교 엠블럼.svg 영어영문학부 홈페이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숙명여자대학교/학부/영어영문학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영어영문학부
School of English
전공
영어영문학전공
교직
테슬(TESL)전공
교직

2.14. 미디어학부

파일:숙명여자대학교 엠블럼.svg 미디어학부 홈페이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숙명여자대학교/학부/미디어학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미디어학부
School of Communication & Media
전공
미디어학부

3. 연계전공

숙명여자대학교 연계전공 교육과정

위에 개설된 학과들 이외에도 아래에 나열된 별도의 연계전공을 선택해 공부할 수 있다. 그러나 교육과정의 변동이 잦고 제때제때 관련 과목을 수강하지 못하면 학교를 몇 년 더 다니는 불의의 사고가 발생할 수도 있으니 유의하자.[2]


<rowcolor=white> 개설 연계전공 및 학위
구분 주관학과 연계전공명 학위명
문과대학 한국어문학부 국제한국어교육전공 문학사
스토리텔링전공 [3] 문학사
이과대학 수학과 금융공학전공 금융공학사
생활과학대학 아동복지학부 상담학전공 문학사
사회과학대학 행정학과 공공인재학전공 공공인재학사
법과대학 법학부 기업법무전공 기업법무학사
통상학전공 국제통상학사
경상대학 경영학부 세무회계학전공 경영학사
글로벌비즈니스개발학전공 글로벌비즈니스개발학사
기초교양대학 기초교양학부 순헌융합인문학전공[4] 융합인문학사
융합학부 기술인문융합전공 기술인문융합학사
글로벌서비스학부 앙트러프러너십전공 글로벌지식경영전공 글로벌지식경영학사
대학원 기후환경융합전공 글로벌환경학전공 환경학사
빅데이터분석융합학 빅데이터분석학전공 이학사
특수대학원 문화행정학과 문화예술기획전공 문화예술학사

4. 학생자율설계전공

<rowcolor=white> 일반형
임베디드시스템공학전공 IP·콘텐츠전공 K-POP산업경영전공 게임콘텐츠디자인전공
과학저널리즘전공 글로벌융합디자인전공 뇌·인지과학전공 미디어광고마케팅전공
빅데이터비즈니스융합전공 언어학전공 영상문화커뮤니케이션전공 영상예술경영전공
예술창작프로듀싱전공 의류비즈니스전공 젠더학전공
<rowcolor=white> 교원추천형
비즈니스애널리틱스전공 첨단바이오소재융합전공

<rowcolor=white> COSS형
빅데이터전공
<rowcolor=white> SMHM형
빅데이터전공 미래융합자동차공학전공 인공지능·IOT공학전공

5. 세부전공

2011년부터 입학한 신입생들은 '세부전공'이라는 새로 도입된 학제에 맞춰 공부할 수 있다. 물론 어디까지나 학생의 자유 선택이므로 하기 싫으면 안 해도 무방하다. 세부전공은 대체로 단과대학 안에 있는 대형 학과[5]에 설치되어 있는데, 학과에서 정한 일정 트랙에 따라 정해진 교과목을 정해진 학점대로 이수하면 그에 해당하는 세부전공을 인정받을 수 있다. 희망하면 학적부와 학위증에도 세부전공을 기록할 수 있다. 어디까지나 학생의 희망에 따른 것이므로, 11학번 이후 입학생들은 잘 생각해보고 공부하도록 하자.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820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820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의전원, 한의전, 치의전 진학 희망자 대상으로 프리메드 교육 실시[2] 연계전공의 졸업률이 낮은 편이다. #[3] 구) 이야기창작전공[4] 일종의 철학 전공[5] 현재는 한국어문학부, 중어중문학부, 교육학부, 아동복지학부, 약학부, 영어영문학부, 미디어학부에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