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02 11:55:19

하드카피

스니커넷에서 넘어옴
1. 판본/인쇄본2. CLI에서 화면을 출력/저장하는 것을 이르는 말3. Ctrl+C, Ctrl+V4. 저장매체의 물리적 이동을 통한 데이터 전송
4.1. 역사4.2. 현재

1. 판본/인쇄본

문서를 제출할 때, 인터넷을 통한 온라인 파일 제출이 아닌, 종이로 프린트한 인쇄본을 가리키는 말. 대학교에서 리포트논문을 제출할 때에도 쓰이고, 직장에서 업무와 관련한 문서를 전자문서 파일이 아닌 프린트해오라는 의미로 쓰이기도 한다.

하드웨어라는 근본적인 표현부터가 물리적 장치를 뜻했기에, 저 말인 즉 컴퓨터 내부의 자료를 물리적인(종이) 대상에 옮겨 가져오라는 뜻.

과거에는 표지를 두껍게 만든 양장본을 영어로 하드카피라고도 했었지만, 정확히는 하드커버가 맞는 말이다.

2. CLI에서 화면을 출력/저장하는 것을 이르는 말

1980년대와 90년대 초반에 많이 쓰이던 말로, 요새는 스크린샷이라는 말을 많이 쓴다. 현대 GUI 운영 체제들에서 Print Screen 키를 누르면 즉시 클립보드로 저장되거나 파일로 생성되듯이, 당시 MS-DOS같은 CLI 운영 체제들은 특정 프로그램들을 이용해 Print Screen 키를 누르면 바로 프린터가 인쇄했다. 지금까지도 Hardcopy라는 말이 들어가는 스크린 캡처 프로그램들이 있다.

3. Ctrl+C, Ctrl+V

시스템 드라이브 등으로 복붙하는 방법.

고스트 등의 솔루션이 대중화되면서 이쪽을 지칭하는 하드카피는 묻혔다.

4. 저장매체의 물리적 이동을 통한 데이터 전송

Never underestimate the bandwidth of a station wagon full of tapes hurtling down the highway.
테이프를 가득 싣고 고속도로를 질주하는 왜건의 대역폭을 절대 얕보지 마라.
- 앤드루 태넌바움, Minix의 제작자
Sneakernet

하드디스크를 통째로 들고 다른 곳으로 가 다른 하드디스크로 복사하는 것. 1990년대 초중반 대용량 자료 이전 용도로 많이 쓰였다.

4.1. 역사

파일:5mb.jpg
1956년, 이삿짐 센터를 동원해 5 MB짜리 하드디스크를 이동시키는 모습

외장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와 대용량 USB 메모리가 보급되기 전, 그리고 아직 인터넷이 발달되지 않았던 1990년 초중반 시절 대중화된 이동형 저장 매체가 5.25인치/3.5인치 플로피 디스크밖에 없었던 시기, PC 유저간 대용량의 데이터를 복사하기 위한 방법이다. ZIP 드라이브슈퍼디스크 같은 10-100MB 휴대용 저장 장치가 없는 것은 아니었으나 문제는 그 드라이브가 장착된 PC가 거의 없었다. 즉 드라이브도 휴대용으로 가지고 다녀야 했는데 그러려면 아래 서술한대로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를 가지고 다니는 것이 더 편리했다. 물론 집과 회사처럼 한정된 곳만 왔다 갔다 하는 경우나, 대용량 데이터를 많이 취급했던 출력소 같은 곳에서는 ZIP 드라이브를 양쪽에 장착해 디스크만 갖고 다니기도 했다. 그나마 용량이 많은 공CD조차 CD 리코더가 비싸서 어디 대학교나 기업체 같은 곳에서나 볼 수 있었던 시절이었다. 1995년 당시 CD 리코더의 가격이 약 200만원 정도 했다. 참고로 아반떼급 승용차 기본 옵션이 800만원 안 되던 시절이다.

통신망 사정도 좋지 않아서, 1990년대 중반만해도 14,400bps 모뎀으로 1MB를 15분에 받는 것이 놀랍던 시기이자 28,800bps가 '고속' 소리 듣던 시대였다. 56kbps 규격 논쟁은 Windows 98 출시 전까지 한국에서는 딴 나라 이야기였다. 1GB를 빠르면 수 분이 넘어가며 받으면 분노하는 2020년대의 상황에 비교해보면 그야말로 격세지감. 퇴보?

이걸 하기 위해서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를 PC에서 떼고 붙일 줄 알아야 했고, 능숙한 CMOS 설정 능력 등 컴퓨터에 대한 지식이 해박해야 했다. 왜냐하면 지금처럼 BIOS가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를 자동으로 알아채는 게 아니라, 사용자가 프라이머리 또는 세컨더리인지, 마스터 또는 슬레이브인지에 대한 개념을 숙지해야 했고, 실린더, 헤드, 섹터 정보를 입력해야만 했다. CMOS 설정 뿐만 아니라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마다 점퍼 스위치를 건드려 마스터 또는 슬레이브로 설정해야 했다.

보통 이 시기의 대용량이라고 하면 약 10MB이상(1980년대 초중반)/100MB이상(1980년대 후반~1990년대 초반)급이었다. 1993년 파일 압축 프로그램 PKZIP에 처음으로 분할 압축 기능이 들어갔지만 압축한다고 해도 3.5인치 플로피 디스크의 용량은 고작 1.44 MB뿐이었기 때문에 10~20장 정도에 분할 압축해서 들고가야 했다. 이 시절의 운영 체제는 주로 MS-DOS였는데 멀티태스킹도 안 됐기 때문에 복사하는 동안에는 딴일이라도 해야 했고, 거기다 플로피 디스크는 고장나는 일이 많아 10장 정도 돌리다가 단 1장에서라도 오류가 나면 모든 고생이 헛수고로 돌아간다. 예를 들어 부산에서 서울까지 올라와서 플로피 디스크 10장에 복사를 떴는데 부산으로 돌아와서 복사한 데이터를 풀려고 하니까 플로피 디스크가 1장이라도 고장나기라도 하면 헛수고였다.[1] 반면 하드카피하는 건 플로피 디스크보다 확실히 속도는 빨랐다.

이 수단으로 PC통신을 사용하던 친구의 집에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를 들고 찾아가 직접 그 친구가 받아둔 파일을 복사하는 등의 방법으로 많이 이용되었다. 물론 이동 중 실수로 떨어뜨리기라도 하면 끝장이었다. 이시절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는 그야말로 유리몸이었다. 들고 가다 어디 떨어뜨리거나, 정말 재수없으면 정전기에도 고장났다.

실제로 운반 중 계단에서 10GB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를 떨어뜨려 작살내고 멘탈이 붕괴돼서 울먹이던 프로그래머 이야기가 있었다.[2] 또한 떨어지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를 슬라이딩이나 발로 받아내고 온몸의 전율을 경험하는 경우도 있었다.

이 당시 기본적으로 하드카피를 하기 위해 알루미늄 호일이나 정전기 방지 비닐로 포장한 후 뽁뽁이로 두르고, 그 위에 수건 몇 장으로 둘둘 말아서 그걸 신문지 포장 + 박스로 담아야 공포심을 억누를 수 있었다. 이걸 다 해도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를 장착, 분리할 시는 스릴이 넘친다.

SCSI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의 경우 본체뿐 아니라 케이블 무게와 부피도 상당한데다 큼직한 터미네이터까지 갖고 다녀야 했다.

4.2. 현재

이 수단을 위해 한 때 하드랙이라는 이름의 결합/분리가 쉬운 하드디스크 보관 장치가 유행하기도 했다. 지금은 시대의 유물 취급받지만 비슷한 원리를 가진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교환 장치는 지금도 현역이며, 데이터를 많이 가진 사람이 하드디스크를 손쉽게 교체하는 방법으로 쓴다. 콜드 스왑과 핫 스왑으로 나뉘지만, 콜드 스왑은 개인용으로는 사장되었다. 2010년대 들어서는 케이스가 자체적으로 외부 SATA 연결을 지원하는 모델도 나온다.

하드랙도 서버용으로는 현역이며, 지금도 초 고용량을 필요로 하는 분야에서 사용하고 있다. 서버에서의 용도는 이동성보다는 유지 보수용 신속한 교체를 위한 성격이 강하다. 서버의 하드디스크는 가동율이 높아 교체 빈도도 높기 때문이다. 뉴타입에서 코드기아스 흑풍의 제작 과정이 그림으로 약간 나오는데 거기서 용량이 테라바이트 급이라 데이터 전송에 하드카피를 쓴다는 이야기가 나온다. 하드디스크 오류 통계로 유명한 데이터 스토리지 전문업체인 Backblaze에서는 초 거대 용량의 자료를 저장하거나 내려받는 방법으로 전용 제작한 96TB 전용랙을 택배로 배송하는 'Fireball'이라는 서비스가 있다. 고객에게 전용 제작된 Fireball NAS를 보내 그곳에 데이터를 저장하게 한 뒤 물리적으로 회수하는 방식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다. 아마존 웹 서비스에도 UPS의 배송망을 사용하여 페타급 데이터를 이동할 수 있다고 하는 AWS Snowball 서비스가 있다.

여기에 하드카피 장치도 산업용으로는 건재하지만, 그 쓰임이 대량 복사 등으로 줄었을 뿐이다. 이런 장비가 빛을 발하는 것은 같은 사양의 PC를 대량으로 사용하는 시설. PC실/PC방/게임 관련 이벤트 등. 일단 한대만 설치 작업하고 그 한 대를 동시에 여러 대의 하드디스크로 복사하면 설치 시간이 압도적으로 줄어든다. 대량 하드카피 장비의 예시

2019년 4월 10일에 공개된 블랙홀 사진의 데이터도 하드카피로 옮겼었다. 데이터 용량이 수 페타바이트라서 도저히 회선으로 전송할 수 없어 비행기로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를 옮기는 방식으로 전송했다고 한다.

특히 아직도 교통 및 인터넷 환경이 열악한 지역에서는 여전히 필요하다. 독일의 한 언론에서 4GB 가량 되는 사진 파일을 10km 떨어진 곳에 열악한 인터넷 회선으로 업로드 하는 것과 그걸 구운 DVD를 말로 운반하는 것을 비교했더니 말이 먼저 전달했고 전자의 회선은 말이 마굿간으로 돌아가서도 업로드가 끝나지 않았다고 한다.#

외장 하드디스크를 쓰는 것도 일종의 하드카피라 볼 수 있다. USB 메모리와 외장 하드가 일반화된 요즘 내장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를 들고 직접 하드카피하는 경우는 새 하드디스크나 SSD에 데이터를 마이그레이션하는 경우 외에는 거의 없다.


[1] 이 시절에 중요한 자료를 플로피 디스크로 복사하여 옮기는 경우에는 복사본을 최소한 두 세트 이상 준비하는 것이 상식이었다. 대용량 자료를 1.44MB씩 분할 압축했더니 RAR~R08 까지 파일 10개가 나왔다면 플로피 디스크 20장을 준비해서 두 세트 복사한다. R03 피일이 들어있는 플로피 디스크이 깨져서 열리지 않는다면 다른 세트의 5번 플로피 디스크를 사용하면 되는 것이다. 게다가 두 세트 모두 같은 번호의 플로피 디스크가 깨질 가능성은 별로 없지만 그나마의 위험마저 철저히 회피하고 싶은 사람이면 세 세트를 준비하게 된다. 친구 사이에서 게임 등을 복사하는 경우라면 한장이 깨져도 "내일모레 다시 복사해줄게" 할 수 있지만 업무상 자료등 깨지면 정말 큰일나는 자료를 옮겨야 할 경우 저렇게 무식하고 미련해 보이는 짓이라도 할 수 밖에 없었던 것이다.[2] 당시 못 해도 3~4백만원은 가뿐히 넘어갔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