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19 21:18:36

스트림스

스트림스
파일:스트림스.jpg
디자이너 요시히카 이츠바키
발매사 아스모디
발매 연도 2011년
인원 보드게임긱: 1 ~ 99명
추천: 2 ~ 6명
플레이 시간 20 ~ 30분
연령 8세 이상
장르 가족게임
테마 수학, 숫자, 퍼즐
시스템 빙고, 페이퍼&펜슬, 퍼즐 빌딩
링크 보드게임긱
1. 개요2. 구성품3. 게임 진행4. 점수 계산
4.1. 점수표
5. 전략6. 여담

1. 개요

무작위로 뽑은 타일에 있는 숫자를 오름차순으로 적으면 이기는 보드게임이다.

2. 구성품

3. 게임 진행

타일 40개를 보이지 않게 뒤집은 다음 섞는다. 그런 뒤 차례대로 타일을 뽑아 나온 숫자를 숫자 칸에 적는다.[3]

이때, 숫자를 '오름차순' 으로 적으면 점수가 올라간다.[4]

4. 점수 계산

스트림스 예시
파일:스트림스예시.png
20개의 숫자를 다 적고나면 오름차순으로 이어진 부분이 얼마나 되는지 본다. 오름차순을 셀 때는 다음과 같은 규칙을 따른다.
기본 점수표에 따르면 예시의 빨간색 부분은 +20점, 노란색 부분은 +9점, 파란색 부분은 +7점이 되고, 이를 모두 합한 +36점이 해당 예시의 최종 점수가 된다.

4.1. 점수표

오름차순 칸 개수별 배점
<rowcolor=#FFF> 개수 배점 개수 배점
1개 0점 11개 +30점
2개 +1점 12개 +35점[6]
3개 +3점 13개 +40점
4개 +5점 14개 +50점
5개 +7점 15개 +60점
6개 +9점[7] 16개 +70점
7개 +11점 17개 +85점[8]
8개 +15점 18개 +100점
9개 +20점 19개 +150점
10개 +25점 20개[9] +300점

5. 전략

1은 가장 왼쪽에, 30은 가장 오른쪽에 적는 것이 정석이다. 조커가 나오지 않는 이상 1보다 작거나 30보다 큰 수가 없기 때문이다.

6. 여담

보통 35점 내외의 점수를 받는다. 50점이 넘어가면 사실상 이긴다고 봐도 된다.[10]

행복한바오밥을 거쳐간 버전에서는 한 판에 200명까지 할 수 있다고 소개되어있다. 왜냐하면 용지가 200장이기 때문이다. 혼자 연습하고나면 한 판에 199명까지

[1] 유일하게 오름차순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2] 20개의 숫자 칸, 플레이어 이름 칸, 점수 칸, 점수 표 등이 적혀있다.[3] 꼭 게임 플레이어 한 명이 차례대로 뽑을 필요는 없다. 한 사람이 20번을 전부 뽑아도 되고, 심지어는 게임을 안하는 사람에게 시켜도 된다.[4] 꼭 오름차순이어야 한다. 내림차순은 인정하지 않는다. 마치 연어같기도 하다[5] 단, ⑦-Ⓙ-④와 같은 형태는 조커가 양 옆의 숫자를 이을 수 없으므로 ⑦-Ⓙ 또는 Ⓙ-④로 해석해야 한다.[6] 변칙 룰에서는 +20점이다.[7] 변칙 룰에서는 +3점이다.[8] 변칙 룰에서는 +50점이다.[9] 최대로 이을 수 있는 개수이다.[10] 다만, 플레이어의 점수 표 정보를 공개하는 분위기라면 흐름을 탈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