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04 17:05:43

번개(유희왕)

썬더 볼트(유희왕)에서 넘어옴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동음이의어에 대한 내용은 번개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OCG의 종족에 대한 내용은 번개족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러시 듀얼의 종족에 대한 내용은 유희왕 러시 듀얼/종족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번개족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병합 토론 중

1. 개요

유희왕의 일반 마법 카드.

2. 설명

2.1.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파일:Raigeki-DM2-JP-VG.png
한글판 명칭 번개 (비공식 번역명)
일어판 명칭 サンダー・ボルト
영어판 명칭 Raigeki
마법
상대 몬스터 전부에게 전격을 먹여 전멸시킨다! (DM1~DM4)
적 필드에 있는 몬스터 전부에 뇌격을 먹여, 소멸시킨다! (DM7, DM8)
DM1에서부터 등장. 자신 몬스터까지 파괴해버리는 블랙홀의 상위 호환 카드.

유희왕 진 듀얼몬스터즈 봉인된 기억에선 게임을 클리어하기 위해 필수적인 카드 중 하나로, 초기 덱엔 이 카드나 블랙홀 중 하나가 포함되어 있지만 공략본에선 이 카드가 나올 때까지 리셋하는 것을 추천하고 있다.

2.2.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유희왕 OCG 최초의 금지 카드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2px -1px -10px;word-break:keep-all"
파일:attachment/사이버 포드/card100005979_1.jpg파일:external/img15.shop-pro.jp/59460455.jpg파일:attachment/주사천사 리리/card100001104_1.jpg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04409_1.jpg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04495_1.jpg
사이버 포드
(제한)
파이버 포드 주사천사 리리
(무제한)
야타 까마귀
(무제한)
짓궂은 쌍둥이 악마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21849_1.jpg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ChangeofHeart-V5-JP-UR.jpg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21899_1.jpg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21102_1.jpg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14906_1.jpg
고통의 선택 마음의 변화
(무제한)
번개
(무제한)
해피의 깃털
(제한)
왕궁의 칙명
(에라타 후 재금지)
}}}
}}}
파일:サンダー・ボルト(QCCU).jpg 파일:サンダー・ボルト(イラスト違い).jpg
일반판 쿼터 센츄리 크로니클 side:UNITY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일반=,
한글판명칭=번개,
일어판명칭=サンダー・ボルト,
영어판명칭=Raigeki,
효과1=①: 상대 필드의 몬스터를 전부 파괴한다.,)]

리미트 레귤레이션
[[리미트 레귤레이션/OCG|
OCG
]]파일:유희왕_OCG
OCG'display:nonTCG=e'>[[리미트 레귤레이션/TCG|
TCG
]]파일:유희왕_ 아이콘.png
[[리미트 레귤레이션/KCG|
KCG
]]파일:유희왕_KCG
KCG'display:non마스터듀얼=e'>[[유희왕 마스터 듀얼/리미트 레귤레이션|
마스터 듀얼
]]파일:유희왕_준제한 카드 아이콘.png
준제한 카드
[[유희왕 듀얼링크스/금지 및 제한 카드|
듀얼링크스
]]파일:유희왕_듀얼링크스
듀얼링크스'display:non리모트듀얼=e'>[[리미트 레귤레이션/TCG#리모트 듀얼 금지 카드|
리모트 듀얼
]]파일:유희왕_ 아이콘.png
[[리미트 레귤레이션(유희왕 러시 듀얼)|
러시 듀얼
]]파일:유희왕_러시듀얼
러시듀얼@

상대 필드의 몬스터를 전부 파괴하는 효과를 가진 일반 마법이다. 초기 카드답게 내리꽂는 번개만 그려진 심플한 일러스트이나, 쿼터 센추리 크로니클 side: 유니티에서 오시리스의 천공룡의 썬더포스로 그려지는 2nd 일러스트가 등장했다.

영문명은 당시 번역 추세에 따라 '뇌격(雷擊)'의 발음을 로마자로 적은 'Raigeki'다. 처음 나왔을 땐 "상대 몬스터를 전부 파괴한다."라는 다소 성의 없는 텍스트였는데, 이렇게 써버리면 패나 덱에 있는 몬스터까지 전부 파괴시킬 수 있다고 해석할 수 있기에 텍스트가 바뀌었다.

2.2.1. 성능과 역사

상대 필드의 몬스터들을 조건도 코스트도 없이 전부 파괴하는 단순명료한 제거 효과를 가졌다. 유사 카드인 블랙홀와 마찬가지로 대상을 지정하지 않아 대상 내성을 뚫으며, 카드명 턴 제약과 코스트도 없다. 일반 마법이라 삼전의 호로 서치할 수 있다는 특징도 공유한다. 하지만 번개의 차별점은 블랙홀과 달리 상대 필드에만 영향을 끼치는 덕에 자신 필드의 몬스터가 쓸려가는 위험을 감수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즉, 일반적인 상황에서 블랙홀의 상위호환이다.

이렇게 코스트와 조건 없이 상대 전열을 모두 제거하는 효과는 12기 시점에서도 결코 약하지 않다. 일단 퍼미션을 뚫고 통과시키기만 하면 큰 아드 차이를 낼 수 있기 때문이다. 번개 같은 대량 제거 효과를 가진 다른 카드들은 긴 준비가 필요하거나 큰 제약이 동반되는 경우가 흔하다. 반면 번개는 아무 준비 없이 패 단 한 장으로 상대 몬스터를 전부 쓸어버리며, 그 뒤 별다른 제약이 걸리지도 않아 그대로 역공을 가해 게임을 끝낼 수 있다.

하지만 이 카드는 상대 필드가 비어 있을 자신 선공에는 쓸모가 거의 없다. 그래서 상대가 몬스터를 늘어놓은 후공 상황에서 쓰게 되는데, 오늘날의 유희왕 OCG는 마법 퍼미션과 효과 파괴 내성이 너무나 흔해졌다는 게 문제다. 광역 제거 효과라 한들 퍼미션에 당하면 결국 일대일 교환에 그치고, 효과 파괴 내성을 뚫는 바운스, 뒷면 제외 같은 파괴를 대체하는 다양한 제거 수단도 많이 등장했다. 이러한 이유로 번개의 위상은 금지 카드였을 때보다 확실히 낮아졌으나, 그래도 우수한 제거 성능과 높은 범용성을 겸비했다는 장점은 여전히 유의미하기에 환경에 따라 사이드 덱에 모습을 자주 비친다.

유희왕 OCG 극초창기부터 존재한 데다가 효과가 직관적이고 강력하다 보니 제재의 역사도 길다.
  • 1999년: 무제한 → 제한
    OCG 초창기에 이 카드의 위력은 실로 어마어마했다. 당시에는 퍼미션은커녕 내성조차 희귀했고, 파괴되어 묘지로 간 몬스터를 복구하거나 재활용할 방법도 드물었다. 그러니 이 카드가 패에 잡히기만 하면 아무리 불리한 상황이라도 판을 그대로 뒤엎을 수 있었다. 12기 환경으로 비유해보면 "상대 필드의 몬스터를 전부 뒷면으로 제외한다" 수준의 위상이었다. 이런 막강함 때문에 블랙홀과 함께 해당 금제에서 최초의 제한 카드로 이름을 올렸다.
  • 2004년 3월: 제한 → 금지
    금지 카드가 신설되며 최초의 금지 카드 10장에 선정됐다. 이후 블랙홀이 2010년 9월에 풀릴 때에도 금지를 고수했기에 어지간해선 풀릴 일이 없을 카드로 여겨졌다.
  • 2019년 4월: 금지 → 제한
    그러다가 본 금제에서 무려 15년 만에 석방됐다. 오랜 세월이 흐르며 상술한 이유로 번개의 위력이 더 이상 금지에 놔둬야 할 정도로 강력하다 보기 어려워졌기 때문이다. 이런 환경을 감안해 2014년 10월 TCG 금제에서 번개를 먼저 제한으로 내렸음에도 OCG는 오랫동안 소식이 없다가 4년 넘게 지나서야 이를 따랐다.
  • 2022년 4월: 제한 → 준제한
  • 2022년 7월: 준제한 → 무제한
    11기 후반부에 스프라이트를 시작으로 티아라멘츠, 비스테드, 크샤트리라로 대표되는 엄청난 파워 인플레가 환경권에 일어났다. 이들 대부분이 내성이 부족하다는 점에 주목해 패 트랩보다 제거 카드를 대량으로 채용하는 게 유행하면서 블랙홀과 함께 메타에서 활약했다. 코나미 또한 이를 고려했는지 번개의 제재를 두 번에 걸쳐 완화해, 2022년 7월에는 번개가 끝내 무제한까지 내려왔다. 마스터 듀얼 또한 9월 금제로 번개를 준제한으로 완화했다.
  • 2023년 1월: 무제한 → 준제한
    당시 환경권을 지배하던 테마들에게 대대적인 제재가 내려진 관계로 번개 또한 이에 영향받아 준제한으로 돌아갔다.
  • 2024년 10월: 준제한 → 무제한
    유희왕 OCG를 대표하는 패 트랩인 증식의 G가 준제한이 된 것의 여파인지, 다시 제재가 완화되어 무제한이 됐다.

2.2.2. 기타

몬스터 파괴 카드의 조상 격이라고 할 수 있는 이 카드를 의식해선지, 이후로도 몬스터를 대량 파괴하는 카드는 번개와 관련된 이름을 갖고 나오는 경우가 많다. 길포드 더 라이트닝이나 라이트닝 보텍스만 해도 그렇고, 썬더 크래시, 썬더엔드 드래곤, No.91 썬더 스파크 드래곤 등도 몬스터를 싹 쓸어버리는 효과를 지니고 있다. 또 1장 제거이긴 하지만 썬더 브레이크 역시 영어판 명칭은 이 카드의 이름인 Raigeki가 들어가 있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에서는 마리크 이슈타르에게 세뇌된 죠노우치 카츠야무토우 유우기와의 듀얼에서 사용한 것으로 처음 등장했다. 원작에서 발동한 라이트닝 보텍스를 대체해 나왔으며, 효과도 일치한다. 이 세계관에서도 금지를 먹은 카드라고 한다.[1] 그러나 마리크 이슈타르는 카드 불법 복제 & 조작으로 듀얼 디스크에서도 써먹을 수 있게 마개조해서 어둠의 유우기의 몬스터를 번개로 지져버렸다.

실제로 발매되지 않은 상호 호환으로 환마의 문이 있다. 이쪽은 유희왕 태그 포스에서 쓸 수 있지만 사이좋게 금지를 먹었기에 금지 카드 해방 후에나 쓸 수 있다. 또 닌텐도 DS유희왕 월드 챔피언십 시리즈에선 라이딩 듀얼용으로 Sp 마법 카드 버전인 'Sp-썬더 볼트'가 생겨나면서 나름대로 부활을 이루었다. 효과는 같지만 이땐 스피드 카운터를 12개 제거한다는 무거운 코스트가 생겼기에 원본만큼 강하지는 않다. 하지만 원래 TCG란 게 이만큼의 리스크는 있어야 한다. 리스크를 주면서도 유희왕스러움을 잃지 않는 것이 사실 높게 평가되어야 할 카드. 물론 현실은 훨씬 더 가벼운 코스트로 비슷한 짓을 할 수 있는 카드들이 있어서 묻혀버렸다.

파일:유희왕 마스터 듀얼 번개 연출.gif

유희왕 마스터 듀얼에서는 2022년 8월 5일 업데이트를 통해 전용 발동 연출이 추가되었다.

2.2.3. 수록 팩 일람

수록 시리즈
1999-03-06 |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 | STARTER BOX 劇場限定版
1999-03-18 |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 | STARTER BOX
2000-05-18 |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LB-52 | 青眼の白龍伝説 - Legend of BlueEyesWhiteDragon -
2002-03-21 |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PE-25 | 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 - ペガサス・J・クロフォード編 -
2002-08-22 |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DL2-034 | DUELIST LEGACY Volume 2
2004-06-24 |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BE1-JP114 | BEGINNER'S EDITION 1
2011-05-14 |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BE01-JP099 | BEGINNER'S EDITION 1 [ 2011 ]
2019-03-23 |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ST19-JP025 | STARTER DECK 2019
2019-06-08 |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DP22-JP000 | デュエリストパック - レジェンドデュエリスト編5 -
2020-02-08 |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RC03-JP031 | RARITY COLLECTION - PREMIUM GOLD EDITION -
2021-08-07 |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SR12-JP031 | 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R-ロスト・サンクチュアリ-
2022-12-03 |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SD45-JP025 | 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蟲惑魔の森-
2024-02-03 |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TDS2-JP025 | 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 蟲惑魔の森 -決闘者伝説 QUARTER CENTURY EDITION-
2024-02-23 |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QCCU-JP194 | QUARTER CENTURY CHRONICLE side:UNITY
2024-06-08 |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TT01-JPA20 | TACTICAL-TRY DECK 終撃竜サイバー・ドラゴン
2002-03-08 |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LOB-053 | LEGEND OF BLUE EYES WHITE DRAGON
2004-10-12 |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DB1-EN114 | DARK BEGINNING 1
2008-07-08 |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RP01-EN005 | RETRO PACK
2008-11-21 |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DLG1-EN006 | DARK LEGENDS
2012-05-28 |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BP01-EN032 | BATTLE PACK EPIC DAWN
2012-10-02 |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LCYW-EN054 | LEGENDARY COLLECTION 3 YUGI'S WORLD MEGA PACK
2013-10-11 |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LCJW-EN057 | LEGENDARY COLLECTION 4 JOEY'S WORLD MEGA PACK
2015-03-20 |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PGL2-EN048 | PREMIUM GOLD: RETURN OF THE BLING
2018-03-09 |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LCKC-EN088 | LEGENDARY COLLECTION KAIBA MEGA PACK
2019-08-30 |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TN19-EN010 | 2019 GOLD SARCOPHAGUS TIN
2020-10-23 |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SDCH-EN021 | STRUCTURE DECK: SPIRIT CHARMERS
2021-11-19 |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MGED-EN038 | MAXIMUM GOLD: EL DORADO
2023-02-24 |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SDBT-EN025 | STRUCTURE DECK: BEWARE OF TRAPTRIX
2023-04-21 |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LOB-EN053 | LEGEND OF BLUE EYES WHITE DRAGON (LC01 25th Anniversary Edition)
2003-12-09 |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LOB-K053 | 푸른 눈의 백룡의 전설
2006-04-11 |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BP1-KR114 | 비기너즈 팩 Vol.1
2019-08-14 |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ST19-KR025 | 스타터 덱 2019
2019-09-06 |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DP22-KR000 | 듀얼리스트 팩 -레전드듀얼리스트 편 5-
2020-06-05 |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RC03-KR031 | 레어리티 컬렉션 2020
2021-11-24 |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SR12-KR031 | 스트럭처 덱 R 잃어버린 성역
2023-03-11 |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SD45-KR025 | 스트럭처 덱 충혹마의 숲
2024-03-26 |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QCCU-KR194 | 쿼터 센추리 크로니클 side: 유니티

3. 관련 카드

3.1. 블랙홀

번개와는 달리 필드의 몬스터 전체를 파괴하는 마법 카드.

3.2. 해피의 깃털

번개처럼 상대의 마법 / 함정 카드를 전부 파괴하는 마법 카드.

3.3. 피뢰침

번개의 안티 카드.

3.4. 썬더 크래시

3.5. 라이트닝 보텍스

원작에서 번개의 효과를 가졌던 마법 카드. OCG에서는 번개의 하위 호환으로 나왔다.

3.6. 썬더 보틀

3.7. 라이트닝 스톰


[1] 정확히는 이 카드가 나온 대회 배틀 시티 편에서의 배틀 시티 룰(신 익스퍼트 룰 기반)에서의 제한. 파이어 볼처럼 상대의 라이프나 몬스터를 직접 공격하는 마법 카드가 금지였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