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28 11:17:12

아우디 R8C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아우디 R8R
,
,
,
,
,
파일:아우디 로고.svg파일:아우디 로고 화이트.svg
파일:아우디 R8C.jpg
<rowcolor=#000,#FFFFFF> R8C

1. 개요2. 역사3. 제원4. 둘러보기

[clearfix]

Audi R8C

1. 개요

아우디가 개발한 LMP 레이스카로, LMGTP 클래스로 르망 24시 참전을 위해 개발된 차량이다. 형제차로 오픈 탑 LMP900 차량인 R8R이 있다.

2. 역사

파일:R8RandR8C.jpg
R8R과 R8C
1999년부터 ACO는 기존의 GT1 클래스를 GTS 클래스로 변경하고 원래의 GT1 클래스를 개선해 LMGTP 클래스를 신설한다. 기존 GT1 클래스의 발전과 인기에 대응한 조치였다.

1998년부터 르망 24시 우승을 노리고 참전한 아우디는, 아우디 R8R이란 르망 프로토타입 레이스카를 개발 중이었는데, LMGTP 클래스의 신설로 R8C의 개발을 시작하게 된다. LMGTP 클래스는 조종석이 폐쇄된 프로토타입을 사용하는 것이 규정이었기 때문에, R8C는 R8R과는 다르게 클로즈드 콕핏을 채용해야 했다.

달라라 대신 영국의 레이싱 테크놀로지 노퍽(RTN)에서 개발을 주도했으며, RTN의 수석 디자이너 피터 엘레레이가 개발에서 중요한 역할을 맡았다. 신설 규정에 맞게 휠 아치 및 배치 설계를 조정했고, 전체적으로 공기역학적인 디자인을 채용해 설계했다.

결과적으로 차량은 완성됐지만, R8R보다 더 늦게 완성되어서 차량 테스트를 할 수 있는 시간이 매우 부족했다.[1] 결과적으로 R8C는 핸들링과 차량 안전성에서 문제를 겪었는데, 이러한 문제는 대부분 공기역학적 불안전성으로 발생한 것이었다.

결국 경기에서 큰 성과를 내지 못한 R8C는 일찍이 퇴역했으며, 아우디는 R8R에 개발을 집중하기로 한다.

3. 제원

차량 제원
제조사 영국, 아우디
데뷔년도 1999년
엔진형식 GM/헤네시 LS9 V8
미션형식 리카르도 6단 시퀜셜
구동방식 MR
배기량 6,162 cc
출력 640마력
토크 802 N·m
최고속도 - kph
전장 4,800mm
전폭 2,000mm
전고 980mm
중량 900kg

4.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000><tablealign=center><tablebgcolor=#000>
파일:아우디 로고 화이트.svg
아우디
레이스카 목록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000,#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차급 현역 차량 퇴역 차량
<colbgcolor=#ffffff,#191919> WRC - 콰트로 랠리 · 200 랠리
'''[[파익스 피크 인터내셔널 힐 클라임|파익스 피크 ]]''' - 콰트로 S1 파익스 피크
트랜스 앰 - 200 트랜스 앰
그랜드 앰 GT - R8 그랜드-앰
IMSA GTO - 90 IMSA GTO
LMP - R8R
LMGTP - R8C
LMP900 - R8
LMP1 - R8 · R10 TDI · R15 TDI · R18 TDI · R18 e-트론 콰트로 · R18
DTM - V8 DTM · A4 DTM
FIA 클래스 2 / 슈퍼 투어링 - 80 컴피티션 · A4 STW 콰트로
FIA GT3 - R8 LMS · R8 LMS 울트라
}}}}}}}}}}}} ||


[1] 반면 R8R은 테스트를 완전히 마친 상황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