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6-13 21:38:38

아즈마카가미


[[일본사 관련 정보|
파일:일본 황실.svg
일본의 역사서
日本史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FE0000><colcolor=#FFF> 고사기 고사기
정사 육국사 일본서기 | 속일본기 | 일본후기 | 속일본후기 | 일본 몬토쿠 천황 실록 | 일본삼대실록
근현대 실록 고메이 천황기 | 메이지 천황기 | 다이쇼 천황실록 | 쇼와 천황실록
무가정권 사서 아즈마카가미 | 도쿠가와 실기
기전체 대일본사
편년체 본조통감 | 부상략기
씨족지 신찬성씨록
기타 풍토기 | 유취국사 | 신장공기 | 선대구사본기
실전 제기 | 구사 | 천황기 | 국기 | 일본세기 | 상궁기 }}}}}}}}}

파일:azuma_kagami.jpg

1. 개요2. 내용3. 참고 링크

1. 개요

아즈마카가미([ruby(吾妻鏡, ruby=あずまかがみ)])는 가마쿠라 막부가 편찬한 역사서이다. 1180년 4월부터 1266년 7월까지, 역대 쇼군의 연대기 형태로 작성되었다. 편찬시기는 명확하지 않으나 1300년 경으로 추정하고 있으며, 편찬자는 알려져 있지 않다.

2. 내용

일본서기 등 육국사 및 고사기가 조정 중심의 역사서인 것에 비해, 가마쿠라 막부의 역대 쇼군을 중심으로 무가 사회의 역사를 상세하게 기술하고 있다. 또한 아즈마카가미는 일본 센고쿠 시대 무사들에게 널리 읽혔고, 도쿠가와 이에야스도 즐겨 읽었다.[1]

다만 군데 군데 빠진 시기들이 있는데다가, 호조가에 대해 유리하게 서술했기 때문에 아즈마카가미가 호조 가의 영향이 매우 큰 서적이라는 평이며, 이 때문에 사학자들도 가마쿠라 연대기같은 타 서적과 교차검증을 하면서 연구하고 있다. 그래도 가마쿠라 막부 시대 연구에는 중요한 1차 사료로 손꼽힌다.

3. 참고 링크


[1] 가마쿠라도노의 13인 최종회 프롤로그에서 어떡할래 이에야스의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읽고 있던 책이 이 책이다. 다음 후속작이 바로 어떡할래 이에야스이기 때문에 특별출연의 형식으로 등장한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