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02 11:50:19

알렉세이 코시긴

<colbgcolor=#cd0000>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a40000, #cd0000 20%, #cd0000 80%, #a40000); color: #ffd700;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d700> 국가원수
<rowcolor=#ffd700> 소비에트대회 중앙집행위원회 주석 소련 최고회의 상무회 주석
초대 초대 제2대 제3대
미하일 칼리닌 미하일 칼리닌 니콜라이 시베르니크 클리멘트 보로실로프
<rowcolor=#ffd700> 소련 최고회의 상무회 주석
제4대 제5대 제6대 제7대
레오니트 브레즈네프 아나스타스 미코얀 니콜라이 포드고르니 레오니트 브레즈네프
<rowcolor=#ffd700> 소련 최고회의 상무회 주석
제8대 제9대 제10대 제11대
유리 안드로포프 콘스탄틴 체르넨코 안드레이 그로미코 미하일 고르바초프
<rowcolor=#ffd700> 소련 최고회의 주석 소비에트 연방 대통령
초대 초대
미하일 고르바초프 미하일 고르바초프
<rowcolor=#ffd700> 정부수반
<rowcolor=#ffd700> 소련 인민위원장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블라디미르 레닌 알렉세이 리코프 뱌체슬라프 몰로토프 이오시프 스탈린
<rowcolor=#ffd700> 소련 장관회의 주석
제4대 제5대 제6대 제7대
이오시프 스탈린 게오르기 말렌코프 니콜라이 불가닌 니키타 흐루쇼프
<rowcolor=#ffd700> 소련 장관회의 주석 소비에트 연방 총리
제8대 제9대 제10대 제11대
알렉세이 코시긴 니콜라이 티호노프 니콜라이 리시코프 발렌틴 파블로프
<rowcolor=#ffd700> 서기장
<rowcolor=#ffd700> 소련 공산당 중앙위원회 기술서기 소련 공산당 중앙위원회 서기국 주석 소련 공산당 중앙위원회 책임서기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옐레나 스타소바 야코프 스베르들로프 옐레나 스타소바 니콜라이 크레스틴스키
<rowcolor=#ffd700> 소련 공산당 중앙위원회 책임서기 소련 공산당 중앙위원회 서기장 소련 공산당 중앙위원회 제1서기
제5대 제6대 제7대 제8대
뱌체슬라프 몰로토프 이오시프 스탈린 니키타 흐루쇼프 레오니트 브레즈네프
<rowcolor=#ffd700> 소련 공산당 중앙위원회 서기장
제8대 제9대 제10대 제11대
레오니트 브레즈네프 유리 안드로포프 콘스탄틴 체르넨코 미하일 고르바초프
}}}}}}}}} ||
<colbgcolor=#cd0000><colcolor=#ffe400,#ffe300>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 제8대 내각수상
알렉세이 코시긴
Алексе́й Косы́гин | Alexei Kosygin
파일:Алексе́й_Косы́гин.jpg
본명 알렉세이 니콜라예비치 코시긴
Алексе́й Никола́евич Косы́гин
Alexei Nikolayevich Kosygin
출생 1904년 2월 21일
러시아 제국 상트페테르부르크
(現 러시아 북서 연방관구 상트페테르부르크 연방시)
사망 1980년 12월 18일 (향년 76세)
소련 러시아 SFSR 모스크바
(現 러시아 중앙 연방관구 모스크바 연방시)
묘소 크렘린 벽 묘지
재임기간 제9대 러시아 SFSR 인민위원평의회 주석[1]
1943년 6월 23일 ~ 1946년 3월 23일
제14대 장관회의 제1부주석
1960년 5월 4일 ~ 1964년 10월 15일
제8대 장관회의 주석
1964년 10월 15일 ~ 1980년 10월 23일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cd0000><colcolor=#ffe400,#ffe300> 부모 아버지 니콜라이 일리치 코시긴
형제자매 누나 마리야[2]
배우자 클라브디아 안드레예브나 (?~1967)
자녀 딸 류드밀라
학력 레닌그라드 섬유대학교
소속 정당
[[소련 공산당|]]
최종 계급 대위 (소비에트 지상군)
주요 참전 러시아 내전
독소전쟁
주요 서훈 레닌훈장 (6회)
사회주의노력영웅 (2회)
적기훈장
몽골 인민공화국 영웅
}}}}}}}}}
1. 개요2. 생애
2.1. 브레즈네프 집권 이전2.2. 브레즈네프 집권 이후
3. 매체에서

1. 개요

소련정치인. 1964년부터 1980년까지 레오니트 브레즈네프 다음 가는 권력자였으며, 주요 직책으로는 소련 내각 총리가 있다. 서방 세계나 중국으로부터 협상을 잘 이끌어내어 소련을 조금 더 외교적으로 가깝게 다가가게 한 주역으로 뽑히며, 후술할 아프간 전쟁 투입에도 주저하는 태도를 보이기도 했다. 초창기에는 레오니트 브레즈네프와 사이가 괜찮았던 것으로 추정되나, 후에 권력 다툼이 심해지고 브레즈네프가 절대 권력을 구축하면서 후기에는 반쯤 실각한 상태였다고 한다.

2. 생애

2.1. 브레즈네프 집권 이전

1904년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태어난 그는 15세가 되었을 때 붉은 군대에 입대하여 러시아 내전에 참전하였다. 1924년 레닌그라드 협동 기술 학교를 마친 후, 시베리아로 건너가 협동 운동에서 다양한 직위에 일하였다. 시베리아에 있는 동안 1927년 그는 소련 공산당에 입당하였다. 1935년 레닌그라드 섬유 전문 학교를 졸업했다. 거기에서 그는 안드레이 즈다노프를 만나게 되고, 1938년 10월, 시장에 해당하는 레닌그라드 노동자 집행위원회 위원장에 임명되어 3개월 정도 재직하였다. 이후 직물인민위원에 임명되어 소브나르콤으로 조동되었으며, 1939년 3월, 전연방공산당 18차 당대회에서 당중앙위원회 위원에 선출되었다. 이후 소브나르콤 경제협의회 위원, 경제위원장을 거치며 중용되었으며 1941년 4월 17일, 장관회의 부주석에 임명된다. 독소전쟁 시기 산업 철수 및 레닌그라드 방어 등에 참여하면서 후방사업에 종사했으며, 1943년 6월,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장관회의 주석에 임명된다. 1946년 3월, 장관회의 부주석에 재임명되면서 정치국 후보위원에 보선되었으며, 1948년 9월, 정치국 위원으로 승진하였다. 이후 재정상, 무역상 등 주요 직위를 역임했다.

무역상으로 재임하던 중, 1952년, 19차 당대회에서 정치국이 간부회로 확대개편되는 과정에서 간부회 후보위원으로 강등되었다. 1953년 3월, 스탈린이 사망하고 열린 전원회의에서 간부회를 스탈린 이전의 규모로 축소하는 과정에서 간부회 후보위원에서도 소환되었다. 이후 경공업성 및 식료공업상을 거쳐 소비공업상에 임명된다. 1953년 12월, 부수상으로 다시 임명되었으며, 1956년 12월, 제1부수상으로 승진한다. 1957년 6월, 니키타 흐루쇼프에 의해 반당집단으로 몰린 게오르기 말렌코프 등의 고위 정치인들의 대거 몰락으로 인하여 간부회 후보위원으로 복귀한다. 1960년 5월, 간부회 위원으로 다시 승진하였다.

2.2. 브레즈네프 집권 이후

1964년, 흐루쇼프의 지도력에 힘들어진 공산당원들은 그를 몰아낼 계획을 세우게 되고, 결국 흐루쇼프 대신 권력을 양분하여 코시긴은 브레즈네프 휘하 총리로 지내게 되었다. 1965년 북베트남을 방문했을 당시 미군의 폭격을 직접 목격하기도 했으며, 이에 반발하여 팜반동 총리와 만나 소련의 적극적인 지원을 약속했다. 그리고 그해 4월 레주언이 모스크바를 방문하자 미사일 협정을 체결했다.

후에 그는 1969년 중국-소련 국경분쟁 때에 핵무기를 동원하여 중국을 지도상에서 완전히 없애 버리겠다고 경고하였으나 이 소식을 들은 리처드 닉슨 미국 대통령이 "소련핵공격을 시작 시 미국 역시 핵을 이용해 중국을 돕겠다" 라고 경고하자 브레즈네프 서기장 휘하 소련 총리였던 알렉세이 코시긴이 중국을 방문해 저우언라이베이징 공항에서 극적으로 화해함으로써 다행히 이 사건은 종결되었다.
파일:1969년 코시긴 저우언라이 회담.jpg
1969년 9월 11일, 저우언라이와 회담하는 코시긴

한편 그는 일명 '코시긴 개혁'(Косыгинская реформа)으로 불리는 경제개혁 정책을 추진했지만 성과는 좋지 않았다. 1965년에 행한 1차 개혁의 가장 큰 골자는 중앙통제식 경제를 탈피하고 기업의 자율성을 강화하는 것이었다. 이를 촉진시키기 위해 기업의 이윤을 허락했고 성과금까지 지급했다. 그러나 중앙의 통제가 완화된 부작용으로 각 기업소들은 허위 보고와 부패, 근무태만 등을 저지르며 성과금을 타는데 급급했고 각 기업소에 대한 기금 무상제공이 폐지되면서 생산비용의 급증과 암시장의 급증을 야기해버렸다. 이러한 개혁 정책의 실패로 인해 브레즈네프 서기장으로부터 공격을 받았고 더군다나 프라하의 봄으로 인한 자유화의 불똥이 소련에도 튈까 염려한 소련 보수파 집권층의 반발로 1차 개혁은 흐지부지되고 만다. 결국 코시긴의 개혁 실패로 인해 브레즈네프와 코시긴의 집단지도체제는 붕괴되고 브레즈네프의 1인 독재권력이 강화되는 양상으로 나타난다.
파일:alexei_kosygin_tass_5280763_b.jpg
1974년 자신의 사무실에서 촬영한 사진.

1973년에는 중앙 부처의 권력 기능을 부분적으로 약화시키고 지방의 경제 정책 입안자들에게 권한과 기능을 부여하는 2차 경제 개혁을 실시했으나 이 역시 실패로 돌아갔고 1979년에는 반대로 경제 시스템을 다시 집중화시키려는 3차 개혁을 실시했지만 역으로 어느 정도의 자유를 맛본 기업들은 자신의 이권을 내놓지 않았고 개혁도 지지부진해졌다. 결국 니콜라이 티호노프가 이를 중단시키면서 실패로 끝난다.

이러한 3차례의 개혁 실패로 인해 코시긴은 거의 권력을 잃은 뒷방 늙은이 신세가 되었고 막후 실세인 미하일 수슬로프 공산당 제2서기에 비하면 초라한 신세가 되었다. 1980년 10월, 그는 지병으로 입원하였다. 결국 두 달 뒤인 1980년 12월 18일, 사망했고 그의 화장된 유해는 크렘린 벽 묘지에 안장되었다.

3. 매체에서



[1] 후에 장관회의로 개편된다.[2] 1903.~19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