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08 09:14:12

양재원(중증외상센터)

<colbgcolor=#0389a6><colcolor=#fff>
양재원
Yang Jae Won
파일:양재원.png
나이 불명
생일 11월 16일
신체 177cm, AB형
국적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학력 한국대학교 의과대학
직업 외상외과 전문의
[ 스포일러 ]
→ 한국대학교 병원 중증외상센터장
소속 한국대학교병원 외상외과
별명 항문, 노예 1호
MBTI ESFJ[1]
배우 추영우
성우
[[일본|]][[틀:국기|]][[틀:국기|]] 사토 타쿠야

[[미국|]][[틀:국기|]][[틀:국기|]] 하워드 웡

1. 개요2. 특징3. 작중 행적4. 인간관계5. 여담

[clearfix]

1. 개요

의학 소설 중증외상센터 : 골든 아워의 등장인물.

2. 특징

일반외과 펠로우로 항문 전공으로 한국대병원에서 근무 중이었으나 도중 백강혁에게 낚여서 중증외상팀으로 온다. 백강혁의 노예 1호[2]이자 자칭 수제자이며 1부의 서브 주인공이다. 작중 병원 내에서는 무골호인으로 유명하다고 한다.

맨날 백강혁 옆에서 비교당해서 그렇지, 이쪽도 엄청난 괴물이다. 작중 국내 top5 의과대학에서 바로 부속 병원에서 인턴십과 레지던트십을 마치고, 펠로우까지. 심지어 전문의 시험에서는 1등을 했다고 한다.

생일은 11월 16일, 키는 177cm로 나름 크다고 한다. 혈액형은 AB형. 친절한 성격과 훈훈하단 소리 듣는 외모 때문에 외상센터로 넘어오기 전에는 나름 인기 있는 의사였던 듯. 안타깝게도 외상센터로 넘어오고 거의 모든 병원 인물에게 항문, 노예, 거지, 벌구(입만 벌리면 구라)등으로 불리게 된다. 백강혁과 지내면서 서서히 백강혁화 된다. 부잣집 아들이다. 나중에 부모님이 간단하게 그려지는데 은퇴하고 건물관리를 하며 강남에 있는 큰 빌딩을 박성민의 선거 캠프로 차릴 수 있게 후원해주었다. 웹툰과 표지에서는 안경을 쓴 것으로 그려졌으나, 작중에서는 2.0 천연기념물이라는 언급이 나왔다.

3. 작중 행적

3화에서 백강혁에 의해 별명이 생겼다. 항문. 이 별명은 후에 항문외과에서 외상 외과로 전과했단 이유로 노예로 변경된다. 수술실에서 한정으로 백강혁의 예스맨이다.

툭하면 백강혁에게 갈굼당한다. 회차가 진행될수록 점점 대담해져서 백강혁에게 역으로 나대기도 한다. 경원과 장미가 말하길, 꽤 친한 사제관계. 강혁에게서 수술뿐만 아니라 의사로서의 마음가짐까지 가르침 받는다. 재원에게는 강혁이 단순한 전공교수가 아닌 인생스승인 셈.

동문 후배인 박경원이 백강혁에게 칭찬을 많이 받자 알게 모르게 박경원에게 경쟁의식을 느끼는 듯하나, 박경원 쪽에서는 그저 한심하게 여기는 듯하다.

외상 외과 3년 차가 다 되어가는 1부 후반에 들어서는 강혁에게 인정받기 시작하고 드디어 이름으로 불리게 된다. 동시에 제 2팀 팀장이라는 직급을 얻는다.

2부에서는 한국대학병원을 나와 국경없는의사회로 간 강혁에게 중증외상센터 센터장을 위임받았다. 이후 백강혁이 불러서 한구 병원에 단기봉사활동을 온다.

후에 '백강혁에게 무사히 개기기'라는 책을 저술하여 리처드에게 선사한다.

4. 인간관계

5. 여담




[1] 2020 최애캐의 MBTI 11화에서 나온 MBTI는 ESFJ이다.[2] 원래 별명은 항문이었으나 백강혁이 부를 때마다 한유림이 생각난다고 항문 꼬리표를 떼고 생각한 별명이다. 하지만 130화에서 드디어 이름으로 불린다.[3] 사실 차였다고 하긴 애매하고 거절과 만남의 중간쯤.[4] 정경원 교수는 이국종 교수의 첫 펠로우로 중증외상학과에서 근무를 시작하였으며, 이국종 교수가 아주대학교 남부권역 외상센터장 자리에서 사임하자 후임으로 그 자리를 이어 받았다. #[5] 실제 작가의 일화라고 한다. 번역하자면 승무원이 "채식주의자이신가요?"라고 물어봤는데 "아뇨, 한국인입니다"라고 말한 것. 둘다 -an(-의 사람)으로 끝나서 Vegetaria라는 나라가 있는 것으로 착각한 듯.[6] 이에 입국 심사원이 식겁한 것을 본 백강혁이 '얘는 내 환자인데 방금 액션영화를 보고 와서 상태가 좀 이상하다'면서 진정시킨다.[7] 2부 시점에선 한국대학교 중증외상센터가 세계적으로 톱클래스의 중증외상센터가 되었는데, 외국에서도 배우려고 오는 수련의들이 많았다고 한다. 재원은 센터장이나 되어서 통역을 쓰는건 창피하다며 열심히 영어 공부했다고 한다. 3부 시점에선 외국의 의료진들과도 능숙하게 영어로 대화하는 모습이 나온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64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64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