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bgcolor=#428ce8><colcolor=#ffffff> | ||
이름 | 양태화 Yang Taewha | 이천군 Lee Chuengun |
출생 | 1982년 1월 13일 ([age(1982-01-13)]세) | 1980년 10월 26일 ([age(1980-10-26)]세) |
서울특별시 | 서울특별시 | |
국적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미국| ]][[틀:국기| ]][[틀:국기| ]] |
신체 | 155cm | 178cm |
이후 파트너 | - | 케이트 슬래터리 |
은퇴 | 2002년 | 2007년 3월 28일 |
링크 | | - |
종목 | 피겨 스케이팅 | |
학력 | 한양대학교 체육학과 |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前 피겨 스케이팅 아이스 댄스 선수이다.1.1. 양태화
2002 세계선수권이 끝나고 은퇴했으며 국제 테크니컬 심판을 맡고 있다. 2022-23 시즌부터 해설위원도 병행하는데 임해나 / 예콴 조가 2022 JGP 프랑스 금메달, 2023 주니어 세계선수권에서 은메달을 획득할 때 울컥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1.2. 이천군
양태화가 은퇴한 후, 이천군은 미국의 케이트 슬래터리와 팀을 결성하여[1] 미국 대표[2]로 각종 대회(네벨혼 트로피, 보프로스트 컵[3], 전미선수권 등)에 출전했다. 그들은 2007년 3월 28일 해체를 발표했고, 현재는 선수들을 가르치고 있다.2. 선수 경력
1999 강원 동계 아시안 게임에서 한국 피겨 스케이팅 사상 최초로 동메달을 땄다.[4] 2002 솔트레이크시티 동계올림픽 아이스 댄스 종목에 한국 최초로 출전하였다.3. 커리어
아시안 게임 | ||
동메달 | 1999 강원 | 아이스 댄스 |
국제대회:시니어 | |||||||
대회 | 95–96 | 96–97 | 97–98 | 98–99 | 99–00 | 00–01 | 01–02 |
올림픽 | 24th | ||||||
세계선수권 | 31st | 31st | 23rd | ||||
사대륙선수권 | 7th | ||||||
골든 스핀 오브 자그레브 | 9th | ||||||
유니버시아드 | 12th | ||||||
아시안 게임 | 3rd | ||||||
국제대회:주니어 | |||||||
주니어 세계선수권 | 23rd | 25th | 21st | 28th | 20th | ||
JGP 일본 | 9th | ||||||
JGP 노르웨이 | 15th | ||||||
국내대회 | |||||||
종합선수권 | 1st | 1st | 1st | 1st | 1st | ||
JGP=주니어 그랑프리 |
4.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ffffff)" {{{#!wiki style="margin-top:-8px;margin-bottom:-8px;" | <table bordercolor=#ffffff,#1f2023>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52회 ~(1998년 ~)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fff> |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fff> 52회 | 1998 서울 | 양태화 / 이천군 | ||
53회 | 1999 서울 | 양태화 / 이천군 | 54회 | 2000 서울 | 양태화 / 이천군 | |
55회 | 2001 서울 | 양태화 / 이천군 | 56회 | 2002 서울 | 양태화 / 이천군 | |
57회 | 2003 서울 | 김혜민 / 김민우 | 58회 | 2004 서울 | 김혜민 / 김민우 | |
59회 | 2005 서울 | 김혜민 / 김민우 | 60회 | 2006 서울 | 아이스 댄스 부문 미개최 | |
61회 | 2007 서울 | 아이스 댄스 부문 미개최 | 62회 | 2008 고양 | 아이스 댄스 부문 미개최 | |
63회 | 2009 고양 | 아이스 댄스 부문 미개최 | 64회 | 2010 서울 | 아이스 댄스 부문 미개최 | |
65회 | 2011 서울 | 아이스 댄스 부문 미개최 | 66회 | 2012 서울 | 아이스 댄스 부문 미개최 | |
67회 | 2013 서울 | 아이스 댄스 부문 미개최 | 68회 | 2014 고양 | 민유라 / 티모시 콜레토 | |
69회 | 2015 서울 | 아이스 댄스 부문 미개최 | 70회 | 2016 서울 | 김레베카 / 키릴 미노프 | |
71회 | 2017 강릉 | 민유라 / 알렉산더 겜린 | 72회 | 2018 서울 | 민유라 / 알렉산더 겜린 | |
73회 | 2019 서울 | 아이스 댄스 부문 미개최 | 74회 | 2020 의정부 | 민유라 / 다니엘 이튼 | |
75회 | 2021 의정부 | 아이스 댄스 부문 미개최 | 76회 | 2022 의정부 | 아이스 댄스 부문 미개최 | |
77회 | 2023 의정부 | 아이스 댄스 부문 미개최 | 78회 | 2024 의정부 | 임해나 / 예콴 | |
79회 | 2025 의정부 | 임해나 / 예콴 | 80회 | 2026 | ? | }}}}}}}}} |
피겨 스케이팅 내셔널 역대 챔피언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c3b6e; font-size: 1em;" | }}}}}}}}} |
<rowcolor=#ffffff> 남자 싱글 | 여자 싱글 | 아이스 댄스 |
이규현 | 박빛나 | 양태화 / 이천군 |
[1] 그들의 코치는 나탈리야 리니츄크, 겐나디 카포노소프였다.[2] 케이트 슬래터리는 대한민국 국적으로 국제대회 출전을 하기 위해 국적 변경 신청을 하기도 하였으나, 당시 대한빙상경기연맹은 규정에 따라 외국인 파트너를 인정하지 않았기 때문에 한국 국적을 취득하지 못했다.[3] 2002-03 시즌까지 그랑프리 시리즈 중 하나였다. 2003-04 시즌부터는 컵 오브 차이나로 대체되었다. 그래서인지 2004 컵 오브 차이나에는 쟁쟁한 선수들이 많이 출전했다.[4] 이후 곽민정이 2011 아스타나·알마티 동계 아시안 게임에서 동메달을 땄고, 최다빈이 2017 삿포로 동계 아시안 게임에서 금메달을 땄다.